3D 디지털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기술은 영화, TV, 광고, 인터넷, CD타이틀 등에서 활용이 많아지고 있지만 교육현장에서는 단편적 지식전달로 인해 교육이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3D디지털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필요한 기술과 개념을 체계화 시켜 효율적인 교육이 되도록 연구하였다.
3D Digital Charater Animation Production Technology has been a lot of the use in Movie, TV, Advertisement, Internet, CD Title etc., but there are not fully in the actual spot of education because of the simple knowledge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paper is written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3D Digital Charater Animation Production and to become the efficient education with systematizing the needed technology and concept.
3D 디지털 캐릭터 애니메이션 제작과정은 컨셉 개발단계의 캐릭터 설정과 3D모델링, 애니메이션으로 구분된다. 캐릭터 디자인에 있어서 발상과 표현은 미술해부학 지식을 바탕으로 만들어져야 하는 점과 독창적이며 고유의 이미지를 가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3D모델링에는 여러 방법이 있지만 애니메이션을 전제로 하는 모델, 즉 폴리곤수의 최적화를 통해 작업을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The course of production in 3D Digital Character Animation is divided into Character Setting Up of the concept development step, 3D Modeling and Animation. In Character's Design the conception and expression are made to be based on the analytic knowledge of the Fine Arts, and there is to prepare the methods to have the creative and unique image of the design in this paper. The various methods are in 3D Modeling, but, Models to premise animations, namely, there is to heighten the work's efficiency through the optimization of the number of Polygon.
완성된 캐릭터와 골격을 연결할 때는 얼굴과 손이 별도로 연결하는 것이 좋으며 다양한 표정 짓는 얼굴을 만들어 애니메이션 연출이 풍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디지털 환경에서의 모델링 역시 해부학적 지식을 토대로 구조와 비례를 종합적으로 관찰하여 제작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3D 애니메이션은 전통 애니메이션의 원리를 바탕으로 디지털 캐릭터의 속성과 제한성을 인지해서 움직임을 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In time the link of the completed character and frame there is good to link in separately between the face and the hand, the creating the face to make variously expressions is very important because of the abundant animation presentation. Also there is good that the Modeling in Digital Environment is produced to observe synthetically the construction and proportion based on the analytic knowledges. In 3D Animation there is desirable to produce the motions after understanding the Digital Character's attribute and limitation nature with being based on the traditional ani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