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이미영 기자] [소득불평등 '지니계수' 악화 가속화…시장 확대 예상에 못 미칠 듯 ]
인구 15억 거대시장, 1인당 GDP 8261달러, 여전히 6%대를 유지하는 경제성장률. 중국은 기업들에게 '마르지 않는 샘'과 같은 존재다. 인구의 천분의 일만 잡아도 웬만한 나라 인구만큼의 소비자가 확보된다. 그래서 글로벌 기업들은 중국 정부가 각종 규제와 장벽을 설치해도 중국 시장 진출에 상당히 적극적이다.
중국의 '오만한 태도'는 한국을 향한 사드 보복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겉으로는 자유무역을 천명하면서 자본유출 금지를 위한 각종 규제, 비관세 진입장벽 확대 등의 조치를 하는 '언행불일치'가 나타나는 이유기도 하다.
하지만 이 같은 중국의 '배짱'이 미래에는 가능하기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나왔다. 소득불평등이 심화되면서 중국 내 시장이 생각보다 확대되기 어려울 것이란 이유에서다.
2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잠시 줄어들었던 중국의 소득격차가 다시 벌어지고 있다. 중국의 지니계수는 2009년에서 2015년 사이 평균 0.4%포인트씩 하락했지만 지난해에만 0.3%포인트가 증가했다. 지니계수는 1이면 완전한 불평등을 뜻한다. 2009년 49.1%에서 2015년 46.2%를 기록해 최저점을 찍었다. 2016년 46.5%로 올랐다.
반면 중국 경제매체인 '훈룬 리포트' 발표에 따르면 중국의 억만장자의 수는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이 같은 경제지표는 사회에서 다양한 징후들로 나타나고 있다. 농어촌에 홀로 고립된 '화난 중국 남성들'이 대표적이다. 도시에서의 경제 부흥이 본격화되면서 농어촌 지역의 경제와의 격차는 확대됐고 이로 인한 사회 불만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중국 공산당도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고 있으며 사회 안정과 공정한 분배를 주요한 과제로 삼고 있다.
전반적인 1인당 소득 성장 둔화는 글로벌 기업들의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를 축소시키고 있다. 얌차이나, 코카콜라와 같은 식음료 유통업체들이 대표적이다. 이미 정부 감시와 규제로 경영활동이 자유롭지 않은 상황에서 소비자 증가마저 여의치 않은 까닭이다.
사치재에 주력하는 기업들은 입장이 조금 다를 수 있다. 명품, 여행, 부동산 등 산업에는 중국 경제 성장 속 불평등이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애플사또한 소비층을 확대하는 전략보다 프리미엄 상품을 특정 소비층에게 판매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도 있다.
이미영 기자 mylee@mt.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증시, 美 정책 지연 우려에 금융주↓..英 테러 영향도 (0) | 2017.03.23 |
---|---|
UBS "뉴욕증시 '조정' 개시..앞으로 5~10% 떨어진다" (0) | 2017.03.22 |
"연말 3% 성장"..탄핵쇼크 반년만에 경기침체 벗어난 브라질 (0) | 2017.03.20 |
유럽 증시, 극우파 패한 네덜란드 총선·美 점진적 통화정책에 상승 (0) | 2017.03.17 |
금값 상승랠리 기대감 '솔솔'..온건한 금리인상에 '환호' (0) | 2017.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