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美 '예상대로' 금리 동결..옐런 "경제 확신 부족 때문 아니다"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6. 9. 22. 11:05

[머니투데이 뉴욕=서명훈 특파원] [(종합)저금리 유지 '당분간' 못 박아, 전문가들 '12월 인상' 전망… 성장률·물가 전망 하향 조정]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가 기준금리를 예상대로 동결했다. 하지만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임을 강력히 시사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오는 12월에 기준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FRB는 21일(현지시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을 통해 현재 0.25%~0.5%인 기준금리를 그대로 유지한다고 밝혔다.

 

 

재닛 옐런 FRB 의장은 FOMC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고용 시장이 추가적으로 개선되는 것을 지켜보길 희망하고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지적한 뒤 “당분간 경기지표를 지켜보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성명서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해야 하는 여건들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며 “하지만 경기지표들이 목표치에 더 근접하고 있는 추가적인 증거를 기다리기로 했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옐런 의장은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경제에 대한 확신이 부족하는 신호가 아니다”며 “새로운 충격이 없다면 연내 금리 인상을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저금리 유지 기간에 대해 ‘당분간(for the time being)’이라고 명확히 밝힌 것도 눈에 띄는 대목이다. 이는 앞으로 남은 11월과 12월 FOMC에서 반드시 금리를 올리겠다는 신호로 읽힌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11월 FOMC가 대선 직전에 열리는 만큼 불필요한 오해와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12월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옐런 의장은 “모든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 여지가 있다”며 11월 FOMC에서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금리 인상 전망은 다소 후퇴했다. 정책위원들의 금리 전망을 보여주는 ‘점도표(dot plot)’에 따르면 정책위원 17명 가운데 14명이 연내 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10명은 한 차례 금리 인상을, 4명은 한 차례 이상 인상을 예상했다.

 

반면 에릭 로젠그렌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와 에스더 조지 캔자스시티 연은 총재, 로레타 메스터 클리블랜드 연은 총재는 즉각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특히 6월 3차례로 예상했던 금리 인상 횟수는 내년과 2018년에 2회로 줄었다.

 

이에 대해 옐런 의장은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신중한 접근이 적절하고 점진적 금리 인상 정책을 유지할 것”이라며 “이번 회의에서 금리 인상 필요성이 아닌 금리 인상 시점에 대해 중점적인 토론이 이뤄졌고 외부에 드러난 것만큼 의견 차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미국 경제에 대한 평가는 다소 엇갈렸다. 성명서에서 미국 경제가 직면한 리스크에 대해 ‘거의 균형 잡힌(roughly balanced)’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이는 ‘완만한 속도로 확대되고 있다’는 7월 평가보다는 나아진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올해 성장률과 물가상승률 전망을 하향 조정했다. 올 성장률 전망은 지난 6월 2%로 제시했지만 이번에 1.8%로 하향 조정했다.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상승률도 1.4%에서 1.3%로 낮췄다. 또 올해 실업률은 종전 4.7%에서 4.8% 상향 조정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올 상반기까지 경기지표들이 예상보다 나빠졌고 3분기에도 회복세가 더디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과거 성적표가 예상보다 좋지 않았기 때문이지 전망이 악화된 때문은 아니라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옐런 의장은 앞으로 3년간 경제성장률이 더디게 회복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옐런 의장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비판에 대해 "정치적으로 타협하지 않으며 통화정책을 결정하는데 당파 정치는 어떤 역할도 하지 않는다는 점을 단호하게 말할 수 있다"고 일축했다.

 

트럼프 후보는 지난 12일 CNBC와의 인터뷰에서 "그(옐런 의장)는 확실히 정치적이며 오바마가 원하는 일을 하고 있다. 금리 인상 과제를 차기 대통령에게 떠넘기고 있다"고 비판한 바 있다.

 

뉴욕=서명훈 특파원 mhsu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