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논문 초록 상담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5. 11. 3. 11:19

다음은 모 방문자가 간단한 몇몇 문장을 상담해 온 것입니다.
김지현회계법률번역에서는 간단한 영문장 및 전문용어의 상담을 환영합니다.
상담실에 올려주십시오.

=======================================================

As to music therapy affecting in the attitude change for the intimacy feelings of the general children, there was no any change before and after their video looking and listening in case the 4th grade, but their increased the intimacy feelings after video looking and listening in case the 6th grade.

음악치료활동이 일반아동의 친밀감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4학년 그룹의 경우 비디오 시청전과 후에 변화가 없었지만, 6학년 그룹은 비디오 시청 후에 침밀감이 증가하였다.

In case total analysis of the general children, there was the result that they increased more in their intimacy feelings after their video looking and listening.

일반아동 전체를 분석한 경우 비디오 시청 후에 친밀감이 더 증가하였다.

As for the their attitude changes about good feelings, there were statistically th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4th grade and the 6th grade.

호감도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4, 6학년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차이를 보였다.

Namely, there were no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their video looking and listening. only there was the result that the changes for intimacy and good feelings of total general children more increased after video looking and listening.

즉 비디오 시청 전과 후에 차이가 없었고, 일반아동 전체는 비디오 시청 전보다 시청 후가 증가하였다.

As for their attitude changes for the competitivenesses of the general children, there was no differences between the classification by the grade and total of the 4th and 6th grades, before and after their video looking and listening.

일반아동의 경쟁심에 대한 태도 변화에서는 4, 6학년 그룹전체와, 학년별 분류에서 비디오 시청 전이나 시청 후에 차이가 없었다.

Therefore there were some influences in the attitude changes of the general children for their intimacy and good feelings because of music therapy but no for their competitivenesses.

따라서 음악치료 활동이 친밀감과 호감도에서는 일반아동들의 태도 변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경쟁심에서는 변화를 가져오지 못했다.

Although music therapy has not enough popularity but we can know the fact, video looking and listening, as a music therapy, to affect on the attitude change of the general children considering the special children.

음악치료 활동이 아직은 활성화가 되어 있지는 않지만 음악치료 활동의 비디오를 보는 것도 특수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태도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수 있다.

Accordingly this paper's author thinks that it is pertinent to make the positive effects on their attitudes and knowledges of physically or mentally handicapped children by general children, through the presented methods like a video looking and listening although music therapy not to be shown directly.

그러므로 음악치료 활동을 직접보여 주지는 못하더라도 비디오 시청과 같은 제시방법을 통하여 일반아동이 장애아동에 대한 태도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용인감을 특별히 부르는 용어가 있나요?  (0) 2015.11.03
문장 번역 도움...   (0) 2015.11.03
번역의뢰   (0) 2015.11.03
21세기 회계책임자의 역할은 어떤것일까요?   (0) 2015.11.03
궁금합니다.   (0) 2015.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