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트럼프, 북미정상회담 장소로 '판문점' 거듭 언급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8. 5. 2. 10:28

SBSCNBC | 전혜원 기자 | 2018.05.02 09:18

 

 

◇ 문정인 "평화협정땐 미군 주둔 어렵다"

 

남북 정상회담이 이후 주한미군 철수 문제가 잇따라 제기돼 향후 논란이 예상됩니다.

 

미국 NBC 방송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월 주한미군 철수 방안을 고려했다고 보도했는데요.

 

하지만 내부 격론 끝에 결국 철회됐다고 전했습니다.

 

또 문정인 대통령 외교안보특보도 어제(1일) 미국 언론 기고를 통해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되면 주한 미군의 지속적인 주둔을 정당화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20일경 판문점’ 北-美회담 준비 착수

 

북미정상회담은 이번 달 중하순쯤 판문점에서 개최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이 '평화 상징성'을 강조하면서 거듭 '판문점'을 직접 거론하고 있는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또 오늘(2일) 백악관에서 진행된 사우스웨스트항공 비상 착륙 사고 기자회션에서 며칠 안에 구체적 회담 날짜와 장소가 발표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회담 장소로 판문점이 급부상하고 있는 이유에 대해 워싱턴 포스트는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보여진 극적 장면들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 "왕이, 中 포함 4자회담 개최 설득할듯"

 

차이나'패싱'을 우려한 중국은 왕이 외교부장을 북한에 급파합니다.

 

왕이 부장은 오늘과 내일(3일) 북한에 머물 예정입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왕이 외교부장이 북한을 방문해 중국을 포함하는 4자회담 개최를 설득할 예정이라고 보도했습니다.

 

중국의 역할론을 강조하기 위해서입니다.

 

특히 왕이 부장은 판문점 선언에서 나온 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회담 개최'라는 문구에 대해 명확하게 파악할 예정인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렇게 한반도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북미 정상회담이 급물살을 타자, 중국이 당황하고 있습니다.

 

◇ 아베 "北과 국교정상회 추진"

 

일본 역시 한반도 정세 급변 속에서 소외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는데요.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북한과 국교 정상화를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시작된 대화를 통해 일본인 납치 문제와 핵, 미사일 등 모든 현안을 포괄적으로 해결하겠다고 말했는데요.

 

아베 총리는 또 "북일대화 개최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지금까지 이 시각 세계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