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도급계약: Undertaking Contracts
어떤 분이 hire contract 라고 하는 데, 부연 설명합니다.
* 공사별 도급 sectional contract, separate contract
업종이 다른 것을 포함한 일건공사의 부분별 도급.
* 단가 도급 unit cost constract
도급 금액을 정하는 데 있어 우선 각 공사종류마다 단가를 정하여 공사 수량에 따라 도급 총액을 구하는 방법. 현재 도급방법은 대개 이 방법을 택하고 있음
* 협동 도급 (協同都給), joint venture 공동 도급 (共同都給) 복수의 건설 업자가 공동 책임으로 공사를 청부하는 방식. 본래는 한 기업의 능력을 초과한 대규모 공사 등에서 채용되는 청부 방식이며, 기술력의 보완, 위험의 분산을 목적으로 한 것이었으나 중소 업자 구제의 목적도 있다.
* 종별 도급 (種別都給), 분할 도급 (分割都給) partial contract 한 건의 공사를 공사 구역마다 분할하여 청부시키는 것.
* 협력 업자 (協力業者), 하청 업자 (下請業者), 재도급자 (再都給者) sub-contractor 건설 공사에서 종합 청부 업자(원청 업자)로부터 주문을 받아 공종별로 공사를 맡는 전업의 업자.
* 도급 (都給) undertaking, contract(for work)
* agreement (합의, 협정, 계약) 2인 또는 그 이상 사람들의 의사의 합치, 계약(contract)과 같은 뜻으로 쓰일적이 있다. 또한 합의 또는 계약을 기재한 문서를 말한다. 당사자의 문언(文言) 또는 기타 사정으로부터 추인(推認)된 사실상의 협정(U.C.C. 1-201(3))을 가리킬 때도 있다. agreement 라는 말은, 계약(契約)보다도 넓게 약인(約因, consideration)이 없는 것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 contract (계약, 계약서) 2인 이상의 당사자 사이에서 맺어진바 채권채무관계를 발생시키는 문제의 합의, 또는 그것을 기재한 문서
* hire (賃借, 일시적 고용) 금전이외의 물건을 사용하기 위하여 대가를 지불하고 그 물건을 일정기간 빌리는 것. 그 물건에 대해 기탁(bailment) 관계가 생긴다. 보수를 지불하고 사람의 노무제공을 짧은 기간 받는 것을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차용료, 보수) 라는 뜻도 있음
이상으로 볼때 도급 계약은 Hire Contract라는 말은 고용계약이나 보수계약시 쓰이는 말이고, Undertaking Contracts , Construction Contracts가 바람직합니다.
* Outsourcing Contracts 는 도급계약, 하청계약이라고 하며, 이는 Undertaking Contracts 보다 분화적 뉴앙스(미세한 어미의 흐름)입니다. 계약직 은행원과 정규직 은행원에 대한 고용계약을 체결시에는 정규직에 상대적으로 임시직은 Outsourcing Contracts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영어는 상황논리죠.
'글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자동차 구매시 유의사항 (0) | 2015.11.03 |
---|---|
[전자상거래법]용어 관련 질문입니다. (0) | 2015.11.03 |
사용인감을 특별히 부르는 용어가 있나요? (0) | 2015.11.03 |
문장 번역 도움... (0) | 2015.11.03 |
논문 초록 상담 (0) | 2015.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