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재학 중에 AICPA(미국 공인회계사) CMA(미국 관리회계사) 합격하기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5. 11. 3. 10:43

나는 대학 재학중에 공인중개사가 뭔지 세무회계사가 뭔지 개념조차 없었다.
그러나 어느덧 4학년이 되고 주변에 취직준비 때문에 바쁠때 그제서야 나도 어느덧 세상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에 대해서 찾아보기 시작했다.
지금와서 생각해보면 좀 일찍 시작하였으면 좋았을걸...
남들은 취직공부할 때 이제 까지 해왔던 영어를 더 깊이 공부하면서 헤럴드 리바인의 VOCABULARY 33,000 책을 다섯번정도 반복하면서 외우기도 하고 과외도 하고 TOEFL 시험도 보았다.
요즘에는 TOEIC 시험을 영어시험의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이것은 전문번역을 해야하는 나로서는 합당치 않은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영어를 주로 단어 위주로 공부하였다. 문법은 고등학교때 배웠던 것이 전부였다.
단어만 대학다닐때 20,000개 정도 외웠던 것 같다. 물론 20,000번을 외웠다는 얘기다.
그런데 영어라는 것이 참 우습게도 그렇게 열심히 외웠건만 머리속에 남는것은 몇개 안된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TOEFL 시험 볼때 제 3파트인 어휘와 독해부분은 70-80점에 가까운 성적을 올렸다.
그덕분에 듣기가 참 약했는데도 고득점을 올릴 수 있었다.
나는 지금도 영어공부 하면 단어외우기가 떠오른다. 어떤 사람들은 단어만 외우면 해석은 잼뱅인 짱구가 된다고 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여전히 단어외우기에 미쳐있다.
그만큼 영어가 좋다.
번역하는 것도 재미있고, 전문서적을 영어로 보는 것도 재미있다.
국제적 학술지가 영어로 술술 익힐때면 그야말로 희열을 느낀다.
그러나 회화공부는 거의 초보이다.
왜 그렇게 긴 문장을 영작할 수 있는 내가?
그 까닭은 아직까지 공부하기 싫기 때문이다.
내가 공부하고 싶을 때 하기로 한다.
조금 고집스럽나?
어쨌든 나는 영문과를 나오지 않았으니까
내 생각에는 영어를 좋아하고 싫어하고의 차이는 단어 외우기를 얼마나 좋아하고 싫어하는 가에 달려있다고 생각한다.
미국 공인회계사 미국 관리회계사 역시 회계영어(최소 만개이상) 외우기를 얼마나 좋아하는가에 달려있다고 할 것이다.
만약 재학 중에 합격하고 싶다면 먼저 회계영어사전을 사서 부지런히 외울일이다. 그다음 서점에서 AICPA 수험서를 사서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