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률계약서 상의 may와 shall
미국회사와 법률계약서를 쓸 때 일반번역을 했던 사람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부분이 바로 may와 shall이다. 사실 may와 shall의 용법을 알고 있다면 법률계약서의 반은 쓴 것이나 다름없을 정도이다. 물론 법률계약서는 일반영어가 아닌 법률영어에 의해서 작성된다.
Article 174 (Merger of Companies) A company after its dissolution may be involved in a merger only where it is merged into an existing company and the latter company survives after the merger.
상법第174條 (會社의 合倂) ③解散後의 會社는 存立中의 會社를 存續하는 會社로 하는 境遇에 限하여 合倂을 할 수 있다.->>여기서 may는 합병을 할 수 있다는 법적인 권리 내지 권한을 나타내고 있다. 물론 해산 후의 회사가 현재 존재하는 회사와의 합병을 조건으로한다. 이와같이 may는 특별한 조건을 성취함으로써 얻어지는 특혜 내지는 권리이다.
Article 173 (Restriction on Legal Capacity)
A company shall not become a member with unlimited liability of another company.
상법 第173條 (權利能力의 制限) 會社는 다른 會社의 無限責任社員이 되지 못한다.->>상법 제173조의 목적에 나타나있듯이 권리능력의 제한을 위해서 shall을 쓰고 있다. 회사라는 법인체가 만약 다른 회사의 무한책임사원이 된다면 이는 위법을 한 것이므로 당연히 그에 따른 처벌이 따른다.
국제계약서 형식(2)
■ 두 서(Headings)
1. 계약체결일(Date)
[예 문]
THIS AGREEMENT is made this 7th day of March, 1996 between A Company and B Company.
[내용설명]
이 계약은 1996년 3월 7일 A사와 B사간에 체결되었음을 나타낸다.
[유의사항]
頭書는 영문국제계약서의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소위 서론적인 문장으로 구성되는 부분으로 계약서의 실체를 확인하는 문구이며 Heading이라고 불리운다. 보통 THIS AGREEMENT로 시작되는 두서에는 계약체결일자와 당사자가 표시된다. 일자(date)는 계약이 체결되는 연, 월, 일을 표시하며, 계약서의 효력발생시기를 별도로 명시하고 있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이 일자가 효력발생시기가 된다.
2. 당사자 (Parties); 계약체결지 (Place)
[예 문]
THIS AGREEMENT, made in Seoul this 7th day of July, 1996, by and between Korea Company Ltd, a Korean corporation organized and existing under the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with its registered office located at (주소) , Seoul, Kore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Contractor), and Pudon Cement Company Incorporated, a Chinese corporation organized and existing under the Laws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ith its registered office at (주소) , Sanghai, Chin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urchaser).
[내용설명]
이 예문은 대한민국법에 의하여 설립되어 서울에 주소를 두고 있는 고려주식회사(이하 Contractor)와 중국법에 의하여 설립되어 상해에 주소를 두고 있는 Pudon시멘트주식회사(이하 Purchaser)간에 1996. 7. 7 서울에서 체결된 계약임을 나타내고 있다.
[유의사항]
- 최소한 당사자의 商號(trade name), 회사의 종류, 주소, 設立準據法 등을 필수적으로 기재하여야 할 것이고, 때에 따라서는 주된 사무소의 소재지, 영업소나 지점의 소재지, 회사의 대표자명을 기재하기도 한다.
- 주식회사를 나타낼 때 미국에서는 Corporation, Incorporated 또는 Inc.라고 하고, 영국에서는 Limited 또는 Ltd.라고 한다. 그 이외에도 Company Limited by share(영·미, 주식회사), Partnership(미, 조합), Limited partnership(미, 합자회사), Unlimited Company(영·미, 무한책임회사),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된 회사(statutory company) 등 여러 가지 명칭과 종류가 있다.
- 회사의 주소는 裁判管轄權의 결정에 중요한 기준이 되고, 통지·송달시의 장소가 되며 준거법 결정의 기초가 되기 때문에 반드시 기재하여야 하지만 前文(Premises)부분이 아닌 본문이나 계약서 마지막의 회사표기난에 명기할 수도 있다.
- 회사의 주소가 본사소재지, 지점소재지 등 여러 곳일 경우에는 통상 주사무소의 주소를 기재하는 경우가 많으나, 지점소재지를 기재하여도 무방하다.
- 당사자를 규정할 때 法人의 設立準據法을 명기함으로써 후일 재판관할권 문제나 법인의 계약체결능력, 서명자의 대표·대리권 관계에 대한 해석상의 분쟁 등에 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당사자를 약칭으로 표기할 때에는 hereinafter referred to as X(이하 X라고 칭함)라고 하거나, hereinafter called Y(이하 Y라고 칭함)라는 문구를 삽입하여 주어야 한다.
- 국제계약의 경우 당사자가 한자리에 모여 서명·날인한다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각자 순차로 서명·날인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때에는 계약체결지의 표시를 생략하기도 한다.
``````````````````````````````````````
중요한 회계처리(3)
미결산(open, unbalanced)과 대손(bad debt loss, loss from bad debts) 회계처리(accounting operation)
(1) 취득원가 3,000,000의 건물이 화재로 소실되어 보험회사에 보험금을 청구하다. (단, 감가상각누계액 600,000있으며, 보험계약액은 3,000,000임)
차변(Dr.) 감가상각누계액(depreciation allowance) 600,000
미결산(open, unbalanced) 2,400,000
대변(Cr.) 건물(buildings) 3,000,000
(2) 위의 보험금 중 2,000,000을 지급하겠다고 통지가 오다.
차변(Dr.) 미수금(amount receivable, accounts due, acconts receivable, other trade receivables, uncollected balance) 2,000,000
재해손실(casualty loss, loss from calamity, loss resulting from casualty) 400,000
대변(Cr.) 미결산(open, unbalanced) 2,400,000
(3) 외상매출금 300,000이 회수불능되다. (단, 대손충당금잔액 200,000있음)
차변(Dr.) 대손충당금(allowance account,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allowance for doubtful receivable, allowance for returns, allowance for uncollectable accounts, bad debt provision, bad debt reserve, loss from allowance for bad debt, loss from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provision for bad debts, reserve for bad debts, reserve for dead loan, reserve for doubtful acounts, reserve for possible loan losses, reserve for uncollectable account) 200,000
대손상각비(bad debt charge, bad debts written off) 100,000
대변(Cr.) 외상매출금(account receivable-trade, accounts of receivable-customers, accounts receivable, credit sales, trade accounts receivable) 300,000
(4) 전기에 대손처리하였던 외상매출금 2,000,000을 현금으로 회수하다.
차변(Dr.) 현금(cash) 2,000,000
대변(Cr.) 대손충당금(allowance account,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allowance for doubtful receivable, allowance for returns, allowance for uncollectable accounts, bad debt provision, bad debt reserve, loss from allowance for bad debt, loss from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provision for bad debts, reserve for bad debts, reserve for dead loan, reserve for doubtful acounts, reserve for possible loan losses, reserve for uncollectable account) 2,000,000
*********************AICPA수험생이 알아야 할 중요 회계원칙*********************
* 미결산(open, unbalanced)--> 거래(bargain, transaction, dealing, trade)는 발생(accrual, origination)하였으나 금액(amount)이나 계정과목(account title, title of account, classification of accounts)이 확정(fix, firm)되지 않을 때 임시적으로 설정되는 가계정(suspense account, temporary account)을 말하며, 그 결과가 확정되면 소멸시킨다.
* 대손상각비(bad debt charge, bad debts written off)--> 매출채권(sales cedit, trade claim, trade receivables)이 회수불능되었을 때 처리하는 비용계정(charge account, expenditure account, expense account, indebtedness account)이다.
* 대손충당금(allowance account,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allowance for doubtful receivable, allowance for returns, allowance for uncollectable accounts, bad debt provision, bad debt reserve, loss from allowance for bad debt, loss from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provision for bad debts, reserve for bad debts, reserve for dead loan, reserve for doubtful acounts, reserve for possible loan losses, reserve for uncollectable account) --> 기말(at the end of the year)결산(closing, closing accounts, closing of accounts, closing of book, closing the books, settlement of accounts, settlement of balance)시 회수불능될 것으로 추정되는 매출채권(sales cedit, trade claim, trade receivables)에 대한 평가계정(contra account, valuation account)이며,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B/S, financial position statement, statement of condition, statement of resources and liabilities)의 해당 채권(receivable, note, Credit, claim, bond)에서 차감(contra, offset)하는 형식으로 표시한다.
* 대손충당금의 대차대조표 표시방법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B/S, financial position statement, statement of condition, statement of resources and liabilities)
차변(Dr.) 자산(asset)
매출채권(sales cedit, trade claim, trade receivables)
대손충당금(allowance account,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bad debt loan,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allowance for doubtful receivable, allowance for returns, allowance for uncollectable accounts, bad debt provision, bad debt reserve, loss from allowance for bad debt, loss from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provision for bad debts, reserve for bad debts, reserve for dead loan, reserve for doubtful acounts, reserve for possible loan losses, reserve for uncollectable account)
계(footing, grand total, totalizing)
대변(Cr.) 부채(debt), 자본(capital)
````````````````````````````````````````
국제계약 형식(3)
■ 정 의 (Definition) -국제계약형식(1) 참조 바람
[예 문]
For the purposes of this agreement, the words hereinbelow set forth shall have the following meanings unless the context clearly requires otherwise.
Contract means the Contract entered into by and between X Co., Ltd. in Korea and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raq as of the 10th day of January, 1996 for construction and erection of oil tanks and supervision services.
Subcontract means the documents as stipulated in Article 10 and any other documents which will be signed by duly authorized representatives of both parties, for the purposes of identification, change of the General Terms and Conditions, Technical Specifications, and so forth.
Contractor means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Iraq.
Subcontractor means__________.
Work(s) means________________.
[내용설명]
위 예문은 플랜트계약서의 정의조항의 일부이다. 문맥상 명백히 다른 의미를 가지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래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는 전제하에, Contract는 한국의 X사와 이란 정부간의 1996. 1. 10자 Oil Tank 건설 및 감리용역제공을 위한 계약을 의미하고, Subcontract는 이 계약서 제10조에 규정된 서류와 계약의 일반조건, 기술시방서 등의 확인 및 변경을 위하여 권한있는 양측 대표에 의하여 서명될 서류를 의미하며, Contractor는 이란 정부를 의미한다고 정의하는 등 제용어에 대해 정의를 내리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유의사항]
정의조항은 용어의 뜻을 한정하여 계약내용을 명확히 함과 동시에 계약조항중에 반복사용되는 개념을 표시할 때 긴 표현을 필요로 하는 경우 반복하는 번잡성을 피하고 읽기쉬운 계약서가 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 정의조항을 두는 경우 그 경직성으로 인하여 당사자의 진의를 충분히 표시하지 못하는 결과를 가져 올 수도 있다.
````````````````````````````````````````````````
국제계약 형식(4)
■ 계약의 존속기간 (Duration)-국제계약형식(1)참조
[예 문]
This Agreement comes into force on the date on which it is formally approved by the Vietnamese Government and continues for five years. on the expiry of the period, S Company may continue this Agreement for further five years by twelve (12) monthsprior written notice to B Company.
[내용설명]
이 계약은 베트남 정부의 정식 승인이 있는 날 발효하여 그로부터 5년간 효력이 있다. S사는 만료 12개월전까지 B사에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계약기간을 5년 동안 더 연장할 수 있다.
[유의사항]
계약의 存續期間(duration)은 계약의 效力發生時點, 즉 始期로부터 그 효력이 소멸되는 종료시점, 즉 終期까지를 의미한다. 계약기간은 계약체결일로부터 1년이라고 약정하는 것과 같이 종료시기가 약정되어 있는 확정기간의 경우와 일방당사자가 상대방에게 해제통지를 할 때까지 존속한다고 정하는 경우와 같이 종료기간이 불확정한 경우의 두 종류가 있다.
다음은 효력발생시기가 정부의 허가가 양당사자에게 통지·확인되는 때로 정하고 있는 합작투자계약의 예이다.
X shall have the responsibility for obtaining the Chinese Government Approval of this Agreement. X shall keep Y fully informed as to the status of such approval procedures and Y shall assist X in obtaining such Governmental Approval. If such Approval is conditioned upon changes in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is Agreement, this Agreement shall become effective only if accompanied by a formal amendment hereto executed by both parties and, if necessary, after Government Approval thereto.
The Effective Date of this Agreement shall be the date on which the Government Approval of his Agreement is obtained and acceptance of such has been confirmed in writing by both parties hereto.
계약의 終期와 관련하여 계약기간이 특별한 사정에 의하여 방해받지 아니하고 원만히 종료한 경우의 종기를 滿了日(date of expiration)이라 하고, 어떤 특수한 사정으로 계약기간의 중도에 계약이 종료되는 경우의 종기는 解約終了日(date of termination)이라 하여 양자를 구별한다.
⑴ 자동적으로 갱신되는 경우의 예문
This Agreement shall be valid and in force for a period of ten(10)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first above written. Unless either party gives the other party at least two(2) months before the expiration of this Agreement a written notice of intention to terminate, this Agreement shall be extended for a further period of five(5) years subject to the validation of the Government Approvals of the parties.
⑵ 구체적 상황에 따른 협의에 의하여 새로이 갱신하는 경우의 예문
This Agreement shall be valid and in force on the date of their signatures by both parties and shall remain in force for a period of ten(10) years. At least two(2) months before the expiration of the term, both parties shall consult with each other for renewal of this Agreement. If the renewal is agreed upon, this Agreement shall be renewed for another five(5) years period under the terms and conditions herein set forth or with amendments.
```````````````````````````````````````
국제계약형식(5)
■ 계약해제(Termination)-국제계약형식(1)참조
[예 문]
This agreement shall continue in full force and effect for one(1) year from the date of its execution, but may be terminated during such period, without cause, by either party by giving thirty(30) days prior written notice to the other party. If not so terminated by either party, this agreement shall automatically be renewed from year to year and shall thereafter be terminated only for cause, by mutual consent, or by written notice given by one party to the other party thirty(30) days or more before the end of any subsequent yearly period.
[내용설명]
이 계약은 계약체결일로부터 1년간 유효하며, 그 기간 중에는 이유 여하를 불문하고 상대방에 대한 30일전 서면통지에 의하여 해제할 수 있다고 정하고 있다. 또한 이 계약이 해제되지 않는 경우에는 매년 자동적으로 계약기간이 갱신되며, 그 이후에는 해제사유가 있으면 양당사자의 동의에 의하여 또는 계약만료일 30일 이전에 상대방에 서면통지함으로써 해제할 수 있도록 정한 예문이다.
[유의사항]
(1) 계약위반으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法定解除權)
- 계약위반이 되는 사실은 여러 가지 양태가 있으나, 모든 계약위반사실의 존재가 바로 契約解除權의 발생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며, 중대한 계약위반(후발적 이행불능, 이행지체, 불완전이행 포함)인 경우에 한하여 해제권이 발생하게 된다.
- 영미계약법에 있어서는 계약조항에서 중요한 약정을 條件(condition)이라고 하여 타 약정과 구분하고, 조건에 위반하는 경우에 한하여 해제권이 발생하는 중대한 계약위반이 된다.
- 이에 대하여 비교적 중요하지 않고 부수적인 약정은 擔保(warranty) 또는 covenant라고 하며, 이 조항에 위반하는 경우는 損害賠償請求權이 발생할 뿐 계약해제권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하여 조건과 구별하고 있다.
- 경미한 계약위반이 있는 경우에 이를 이유로 즉시 해제권을 행사하여 계약을 소멸시키고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법이 합리적인지, 또는 유예기간을 인정하여 시정의 기회를 주고 이 유예기간 동안 위반사항의 시정이 없는 경우에 비로소 계약을 해제하고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법이 실제적이고 합리적인가는 국제계약의 종류에 따라 결정할 문제이다. 일반적으로 유예기간을 부여하여 계약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려는 편이 보다 합리적이고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다음은 유예기간을 부여하고 있는 계약조항의 예이다.
If any party hereto continues in default of any obligation imposed herein for more than 10 days after written notice has been dispatched by registered airmail by the other party requesting the party in default to remedy such default, the other party may terminate this effect by registered airmail to the first party and this agreement shall terminate on the date of dispatch of such notice.
(2) 사정변경으로 인한 해제권의 발생(約定解除權)
계약위반은 아니지만 계약을 계속 존속하기에 지장이 되는 일정한 사유가 발생한 경우 즉시 계약을 해제할 수 있도록 규정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은 종료사유는 계약의 존폐를 좌우하는 중대한 사유이므로 가능한 한 구체적으로 기재하여야 한다. 다음은 그 일례이다.
In the event any party hereto becomes insolvent, or makes an assignment for the benefit of its creditors, or commences any proceeding under any bankruptcy or insolvency laws or any such proceeding is commenced against it by a third party (not cured within 30 days), such party shall be deemed to be in default of its obligations hereunder and the other parties hereto shall have the right to forthwith terminate all or any part of this Contract, without prejudice to any other rights and remedies it may have under law.
- 한편, 국제계약의 해제는 원칙적으로 계약당사자가 계약의 성립이전 상태로의 복귀를 예정하고 있으므로, 계약해제로 인하여 손해를 입은 당사자에게는 損害賠償請求(damages claim)가 인정된다.
- 계약위반으로 인한 해제의 경우를 대비하여 이행보증(performance guarantees), 손해배상액의 예정(liquidated damages) 등의 조항을 두게 된다. 履行保證은 국제계약의 이행을 사전에 확보하여 계약체결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계약당사자의 요청에 의거하여 은행 등 금융기관이 발행한 保證書를 교부하는 것으로, Letter of Guarantee, Stand-by Letter of Credit, Performance Bond 등이 사용된다.
Performance Bond(P-Bond)를 발행하기로 정하는 계약조항의 일례를 살펴본다.
As security for the full performance of its obligation under the Sales Agreement, Seller shall cause to be delivered to Buyer, within 10 days of the date of this agreement, at Sellers own expense, a performance bond in the amount of contract price in a form issued by a company reasonably acceptable to Buyer.
- 損害賠償額의 豫定은 당사자간에 계약불이행으로 발생할 손해액을 미리 예정하여 약정하는 특약으로서, 당사자는 계약불이행 사실만 증명하면 손해발생 원인이나 손해액의 범위를 증명하지 않아도 손해예정액을 청구할 수 있는 약정이다. 違約金이란 계약불이행에 대한 제재를 목적으로 정한 배상금을 말한다.
- 영미법상으로는 손해배상액의 예정은 그 유효성이 인정되나 위약금은 예상손해액과는 균형을 잃은 형벌적 성격을 띤다는 이유로 그 효력이 부인된다. 따라서 계약의 準據法이 영미법계인 경우에는 동조항이 양자중 어느 것으로 해석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손해배상액의 예정 조항을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Manufacturer shall pay to Y liquidated damage of U.S.Dollars three(USD3.00) per day per TV set by telegraphic transfer not delivered after the grace period by any reasons other than excusable delays as set forth in this agreement or due to any reasons not attributable to Y.
- 이는 마치 계약중 무효화된 조항에 불구하고 여타 유효한 조항을 가능한 한 살려서 계약당사자간 법률관계에 안정성을 도모하려는 조항(severability clause)과 동일한 취지이다.
다음은 계약해제의 효과를 규정한 문례이다.
Even after the termination of this Agreement by any reason what so ever, the provisions of this Sales Agreement shall be applicable to the transactions already concluded before the termination of this Agreement and such termination is without prejudice to any claim for any default or breach hereof.
````````````````````````````````````````
국제계약형식(6)
■ 계약양도 (Assignment)-국제계약형식(1)참조
[예 문]
This agreement and each and every covenant, term and condition hereof shall be binding upon and effective to the benefit of the parties hereto and their respective successors and permitted assigns, but neither this agreement nor any right or obligations hereunder shall, without prior written consent of the other party, be assignable directly or indirectly, voluntarily or by operation of law by either party.
[내용설명]
이 계약과 이와 관련한 모든 약정 및 조건은 관계당사자와 그 승계인 및 양수인을 구속하고 그들의 이익을 위해 효력이 있다. 다만, 상대방의 사전 서면동의 없이는 이 계약이나 이에 따른 어떠한 권리 또는 의무도 임의로 또는 법률의 정함에 의거하여 직·간접으로 양도할 수 없다.
[유의사항]
특히 노무나 기술, know-how 또는 상표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은 당사자의 신뢰를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지고 다른 제3자가 동일한 자격이 있다고 보기 어려우므로 양도(assignment)조항이 의외로 중요하게 논의되는 경우가 많다.
양도조항은 채권 내지는 권리의 양도, 채무 내지는 의무의 양도 그리고 영업의 일부 또는 전부의 양도 및 회사합병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계약서에서는 그 구별의 실익이 그다지 크지 않으므로 다소 포괄적으로 규정하여도 무방하다.
다소 포괄적으로 규정한 예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This agreement shall not be assignable by either party without prior consent of the other party.
``````````````````````````````````````````````````
중요회계처리(4)
(1) 까치상점으로부터 받은 약속어음 5,000,000을 거래은행에 추심위임하기 위하여 배서양도하고, 추심수수료 15,000을 현금으로 지급한다.
차변(Dr.) 수수료(commission, factorage, fee, percentage)비용(cost) 15,000
대변(Cr.) 현금(cash) 15,000
(2) 메기상점에서 상품 3,000,000을 매입하고, 붕어상점에서 받아 소지하고 있던 약속어음을 배서양도하다. (단, 권리는 만기에 이전된다.)
차변(Dr.) 매입(laying in stock, bought, buying in, purchase) 3,000,000
대변(Cr.) 단기차입금(current bank loan, money borrowed for short term, short-term debts, short-term loans repayable, temporary loans, unfunded debt) 3,000,000
(3) 참새상점에서 받은 약속어음 1,500,000을 거래은행인 국민은행에서 할인하고, 할이료 30,000을 차감한 잔액은 당좌예금하다. (단, 권리는 만기에 이전된다.)
차변(Dr.) 이자비용(interest cost) 30,000
당좌예금(current deposits, checking account, checking acount deposits, checking deposits, deposit in current acount) 1,470,000
대변(Cr.) 단기차입금(current bank loan, money borrowed for short term, short-term borrowings, short-term debts, short-term loans repayable, temporary loans, unfunded debt) 1,500,000
(4) 까치상점에서 받은 약속어음 800,000 이 부도되어, 까치상점에 상환을 청구하고, 지급거절증서 작성비용 10,000 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차변(Dr.) 부도어음(dishonored bill, dishonored note, notes dishonored, defaulted note, default of a note receivable) 810,000
대변(Cr.) 받을어음(acceptance receivable, bills receivable, B/R) 800,000
현금(cash) 10,000
*************************AICPA수험생이 알아야 할 중요 회계원칙********************
* 추심위임(위임: mandate, an authoritative order, command, Delegation, commission, the act of entrusting)배서(backing, endorsement)-->소지하고 있는 어음대금(loan on bills, loan on notes)을 거래은행에 받아 달라고 부탁하는 것을 추심위임(위임: mandate, an authoritative order, command, Delegation, commission, the act of entrusting)이라 하며, 추심위임배서(배서: backing, endorsement)는 분개하지 않는다. 이때, 지급되는 추심수수료(commission, factorage, fee, percentage수수료)는 수수료비용계정 차변(Dr.)에 기입한다.
* 어음의 배서양도(note endorsed배서양도어음, endorse over배서양도하다)--> 만기일(date of maturity, due date, maturity date) 이전에 소유하고 있던 어음(bill, note)을 상품대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상품)이나 외상대금의 결제(liquidate, pay-off, pay up결제하다)를 위해 타인에게 양도(transfer)하는 것
* 어음(bill, note)의 할인(allowance, cutting, discount, trade discount)-->소유(possession)하고 있던 어음(bill, note)을 거래은행(trade bank, transaction bank, dealing bank)에 양도(transfer)하고 만기일(date of maturity, due date, maturity date) 까지의 이자(interest)를 차감(offset)한 잔액(residual amount)을 받아 자금(chest, financial resources credit, capital)을 융통(accommodation, kite)하는 것이며, 이때 지급(payment)되는 이자(interest)를 할인료(discount charge, discount rate)라하면, 할인료(discount charge, discount rate)는 이자비용계정(interest cost account) 차변(Dr.)에 회계처리(accounting operation)한다.
* 어음(note, bill)의 부도(dishonored, overdue, defaulted)--> 소지(possession)하고 있던 어음(note, bill)이 만기일(date of maturity, due date, maturity date)에 지급거절(payment cutoff)되는 것을 부도(dishonored, overdue, defaulted)라하며, 지급거절증서(certification of payment cutoff) 작성비(making cost)나 법정이자(statutory interest)는 부도어음계정(dishonored bill account, dishonored note account, notes dishonored account)에 포함(include, including)한다.
* 어음(note, bill)의 개서(renewal)-->어음만기일(note date of maturity, note due date, note maturity date)에 지급인(the person of payment)의 자금사정(assessed capital, assessed chest, assessed financial resources credit)이 악화(bad)되어 지급기일(the date of payment)을 연기(deferment)하는 것을 개서(renewal)라고 한다.
post contents--> 전문용어는 계약서 상에 보통 굵은 글씨나 대문자로 표기된다. 예를 들어, 자기자본순이익율을 Net Profit to Net Worth Ratio 나 Percentage of Profits Available on Net Worth 나 Profit Rate of Net Worth 나 Return on Equity 나 ROE 등으로 말이다. 이것은 계약서가 가능한한 최대로 명확하게 표기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전문용어를 외우지 않고 사전에서 찾아보면 된다는 생각은 잘못이다. 왜냐하면, 외국인이 영어를 배우는 이유는 궁극적으로 전문용어를 활용해서 자신들의 업무에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마치 수학공식을 외우지 않고 복잡한 수학문제를 풀려는 어리석음이다. 심지어는 영어는 조금 전문영어는 아주 많이! 라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요즘 영어공부하지말자라는 책이 인기라는데 그만큼 전문용어를 암기해두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국제사회에서 경제전쟁에 승리하는 자는 영어를 NATIVE SPEAKER들처럼 구사하는 자가 아니라 전문용어를 많이 외우는 자의 것임을 알아야 한다. 회계용어(세무 회계 용어 포함)만도 3만개이다. 경제영어도 2만 경영영어도 몇 만개가 된다. 그러나, 아주 많이 쓰이는 용어들부터 차분히 자신의 전공별로 익혀가야 한다. 대학을 나왔다면 자신의 전공분야의 용어들을 익힌 것이 가장 큰 재산임을 잊어서는 안된다.
``````````````````````````````````````````````````
중요 회계처리(5)
*특수매매(special dealing)에 관한 회계처리(accounting operation)*
(1) 운송중에 있는 정도상점의 상품 500,000을 외상으로 매입하고, 화물상환증을 인수하다.
차변(Dr.) 미착상품(goods in transit, goods not yet delivered) 500,000
대변(Cr.) 외상매입금(account payable-trade, account(s) payable, buying on credit, credit purchase, trade accounts payable) 500,000
(2) 오리상점은 여우상점에 상품 800,000을 판매위탁하기 위하여 적송하고, 적송제비용 16,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차변(Dr.) 적송품(consignment goods, goods on consignment-out, goods outward on consignment, merchandise outward on consignment, shipment) 816,000
대변(Cr.) 매입(laying in stock, bought, buying in, purchase) 800,000
현금(cash) 16,000
(3) 여우상점은 오리상점으로부터 판매위탁을 받고, 상품 800,000을 인수하다. 인수운임 2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차변(Dr.) 수탁판매(consignment) 20,000
대변(Cr.) 현금(cash) 20,000
(4) 모기상점은 바퀴상점에 상품 600,000의 매입을 위탁하고, 착수금 200,000을 현금으로 지급하다.
차변(Dr.) 선급금(advance payment, advances, cash before delivery, cash in advance, imprest, prepayment, purchase deposit) 200,000
대변(Cr.) 현금(cash) 200,000
(5) 바퀴상점은 위탁받은 상품 600,000을 외상으로 매입하다.
차변(Dr.) 수탁매입(indent) 600,000
대변(Cr.) 외상매입금(account payable-trade, buying on credit, credit purchase, trade accounts payable) 600,000
***********AICPA수험생이 알아야 할 중요회계원칙(prime accounting principle)******
*미착상품(goods in transit, goods not yet delivered)-->운송(freight, transportation)중에 있는 상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을 말하며, 화물상환증(carrier's note, consignment sheets, railway B/L)이나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대차대조표는 B/S, ocean B/L, shipping bill)을 받았을 때 미착상품계정(goods in transit account, goods not yet delivered account) 차변에 기입하였다가 상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이 도착(arrival)되면 매입계정(laying in stock account, bought account, buying in account, purchase account) 차변에 대체(replacement, renewal)한다.
*위탁판매(best-efforts selling, sale on commission, (sales on) consignment, selling on consignment basis)-->자기의 상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을 다른지역에 있는 상인에게 팔아달라고 부탁하는 것이며, 이때 보낸 상품을 직송품(directly delivery commodity)이라 한다.
*수탁판매(consignment)-->다른 지역의 상인으로부터 상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을 팔아달라고 부탁받는 것이며, 수탁자(bailer, consignee, fiduciary)는 항시 수탁판매(consignment) 계정(account)을 설정(establishment, creation, fixing, setting up, institution)하여 처리(proceeding, operation)한다.
*위탁매입(buying on commission, indent)-->다른 지방에 있는 상인(merchant, tradesman, dealer, 소매상인 storekeeper, shopkeeper)에게 상품의 매입(laying in stock, bought, buying in, purchase)을 부탁하는 것이며, 이때 착수금(deposit, earnest, deposit money, retaining fee)을 지급하면 선급금(advance payment, advances, cash before delivery, cash in advance, imprest, prepayment, purchase deposit)계정 차변(Dr.)에 회계처리(accounting operation)한다.
*수탁매입(indent)-->다른지역의 상인(merchant, tradesman, dealer)으로부터 상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을 매입(laying in stock, bought, buying in, purchase)해 달라고 부탁받는 것이며, 수탁자(bailer, consignee, fiduciary)는 항시 수탁매입계정(indent account)을 설정(establishment, creation, fixing, setting up, institution)하여 처리(proceeding, operation)한다.
*할부판매(deferred payment sale, installment sales, installment selling, sales on installment, plan time sales)-->상품을 판매(sale)한 후 대금(price, cost, charge, the money, bill, fee)을 분할하여 받는 방법이며, 상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이 인도(guidance, lead)되면 매출수익(revenue from sales, sales revenue)이 실현된 것으로 한다.
*매출수익(revenue from sales, sales revenue)의 실현시기-->a. 일반상품이나 제품(finished goods, finished product, finished stock, manufactured goods, products)은 상품(commodity, goods in trade, merchandise)을 인도(guidance, lead)한 날
b. 위탁판매(best-efforts selling, sale on commission, (sales on) consignment, selling on consignment basis)는 수탁자(bailer, consignee, fiduciary)가 위탁품(articles consigned, consigned goods, consignment-out, goods on consignment-out)을 판매(sale)한 날(the date)
c. 할부판매(deferred payment sale, installment sales, installment selling, sales on installment, plan time sales)도 일반상품(common commodity, common goods)과 같이 인도(guidance, lead)한 날
``````````````````````````````````````````````````
국제계약형식(7)
■ 지 급 (Payment)-국제계약형식(1) 참조
[예 문]
3.01 Terms of Payment
The Contract Price shall be in an amount not exceeding __________United States Dollars (US$ ______) and shall be paid by Purchaser to Supplier in Dollars as follows:
(a) The Instalments payable on or before the last Shipment
The First Instalment of _______U.S. Dollars(US$_________) shall be paid within fifteen(15) days after the Effective Date. The Second Instalment of________U.S. Dollars(US$ ______) shall be paid upon the _____(______th) Shipment Date set forth in Schedule III hereto or on ________whichever comes earlier. The Third Instalment of U.S. Dollars(US$ ________) shall be paid upon the _____(___th) Shipment Date set forth in Schedule III hereto or on______whichever comes earlier.
(a) 최종선적일 또는 그 이전에 지급되는 분할상환금
U$_______제1차 분할상환금은 계약발효후 15일이내에 지급하여야 한다. 제2차 분할상환금 U$______은 목록 Ⅲ의 선적일 또는 _____일자중 먼저 도래하는 날에 지급하여야 한다. 제3차 분할상환금 U$_____은 목록 Ⅲ의 선적일 또는 _____일자중 먼저 도래하는 날에 지급하여야 한다. 구매자는 공급자를 위하여 각 분할상환금 전액을 뉴욕 Bankers Trust Company의 수출입은행 계좌(계좌번호 :_____)로 전신송금하여야 한다.
(b) Principal Amount
The Principal Amount shall be paid in _______(___) equal(or as nearly equal as possible) semi-annual instalments one such instalment being payable on each Payment Date. The last instalment shall in any event be in the amount necessary to pay in full the Principal Amount outstanding. The Principal Amount and interest thereon shall be evidenced by and paid in accordance with the Notes which shall be executed and delivered by Purchaser to Supplier pursuant to Section 4.01 hereof.
(c) Interest
Purchaser agrees to pay interest on the Principal Amount outstanding from time to time on each Interest Payment Date for the Interest Period then ending at the Interest Rate. Interest shall accrue on the basis of the actual number of days elapsed and a year of 360 days. Interest shall accrue from and including the first day of an Interest Period to but not including the last day of such Interest Period.
3.02 Prepayment
Purchaser may without premium or penalty and upon the giving of thirty(30) days prior written notice to Supplier prepay, in whole or in part, the Principal Amount on any due date of a Note, provided that such prepayment is accompanied by payment of all interest and other amounts then due hereunder. Partial prepayment shall be credited against payment instalments of the Principal Amount in reverse order of maturity.
3.02 조기상환
구매자는 할증금이나 위약금의 지급없이 약속어음상의 상환기일 30일전 공급자에게 서면통지함으로써 원금의 전부 또는 일부를 상환기일에 조기 상환할 수 있음을 정하고 있다. 다만, 조기상환시에는 지급기일이 도래한 이자와 기타 지급하여야 할 금액도 함께 지급하여야 한다. 일부 조기상환금은 상환기일의 역순으로 분할상환원금의 지급에 충당된다.
``````````````````````````````````````````````````
실전(1)
실전(상법, 회사법)(1)
상법의 회사편이다.
다음을 번역해보자.
Article 169 (Definition)
The term company" as used in this Act means an association incorporated for the purpose of engaging in commercial activities and/or any other profitmaking activities.
第169條 (意義) 本法에서 會社라 함은 商行爲 其他 營利를 目的으로 하여 設立한 社團을 이른다.
Article 170 (Kinds of Companies)
Companies are categorized into four kinds, namely, partnership companies, limited partnership companies, stock companies and limited liability companies.
第170條 (會社의 種類) 會社는 合名會社, 合資會社, 株式會社와 有限會社의 4種으로 한다.
Article 171 (Company as Juristic Person and Domicile of Company)
(1) A company shall be a juristic person.
第171條 (會社의 法人性, 住所) ①會社는 法人으로 한다.
(2) The domicile of a company shall be at the place of its principal office.
②會社의 住所는 本店所在地에 있는 것으로 한다.
중요 단어
社團 association
合名會社 partnership company
合資會社 limited partnership company
株式會社 stock company
有限會社 limited liability company
法人 juridical person, legal person, corporation
本店 head office, headquarters, parent store, principal office
* post contents: 앞에서도 말했듯이 가장 중요한 것은 관련 전문용어들의 이해다.
예문을 통해 이해해보라.
``````````````````````````````````````````````````
실전(2)
다음은 세법(법인세법)편이다.
Article 42 (Evaluation of Assets and Liabilities)
第42條 (資産·負債의 評價)
(1) Where the book value of assets and liabilities possessed by a domestic corporation increases or decreases, (not including depreciation, hereinafter, in this Article, "evaluation"), the book value of those assets and liabilities in the calculation of the income amount for the fiscal year including the date of the evaluation and each subsequent fiscal year shall be the value before the evaluation,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apply to cases falling into any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①內國法人이 보유하는 資産 및 負債의 帳簿價額을 增額 또는 減額(減價償却을 제외하며, 이하 이 條에서 "評價"라 한다)한 경우에는 그 評價日이 속하는 事業年度 및 그 후의 각 事業年度의 所得金額計算에 있어서 당해 資産 및 負債의 帳簿價額은 그 評價하기 전의 價額으로 한다. 다만, 다음 各號의 1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Revaluation under the Assets Revaluation Act;
1. 資産再評價法에 의한 再評價
2. Evaluation of fixed capital under the Insurance Business Act and other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limited to the amount of increase); and
2. 保險業法 기타 法律에 의한 固定資産의 評價(增額에 한한다)
3. Evaluation of stored assets and other assets and liabilities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3. 在庫資産등 大統領令이 정하는 資産 및 負債의 評價
(2) Assets and liabilities under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3 must be evaluated separately as assets or liabilities by the method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②第1項第3號의 規定에 의한 資産 및 負債는 당해 資産 및 負債別로 大統領令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이를 評價하여야 한다.
(3) For assets falling into any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the book value may be reduced under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1) and (2), notwithstanding method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③다음 各號의 1에 해당하는 資産은 第1項 및 第2項의 規定에 불구하고 大統領令이 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그 帳簿價額을 減額할 수 있다.
1. Stored assets that cannot be sold at the normal price due to damage, spoilage, or other causes;
1. 在庫資産으로서 破損·腐敗 등의 사유로 인하여 正常價格으로 販賣할 수 없는 것
2. Fixed capital that is damaged or broken due to natural disaster, fire, or other cause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and
2. 固定資産으로서 天災·地變·火災 등 大統領令이 정하는 사유로 인하여 破損 또는 멸실된 것
3. Stocks,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hat the issuing corporation refuses to honor.
3. 大統領令이 정하는 株式등으로서 그 發行法人이 不渡가 발생한 경우의 당해 株式등
(4) A domestic corporation that evaluates assets and liabilities under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2) and (3) must submit a detailed statement on the evaluation of the concerned assets and liabilities,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to the chief of the regional tax office having jurisdiction over that corporation's place of tax payment.
④第2項 및 第3項의 規定에 의하여 資産 및 負債를 評價한 內國法人은 大統領令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당해 資産 및 負債의 評價에 관한 明細書를 納稅地 管轄稅務署長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5) Matters relevant to the disposition of evaluation marginal profits and evaluation marginal losses arising from the evaluation of assets and liabilities under the provisions of paragraphs (2) and (3) shall be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⑤第2項 및 第3項의 規定에 의하여 資産 및 負債를 評價함에 따라 발생하는 評價差益 및 評價差損의 처리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大統領令으로 정한다.
* 중요단어
자산 assets, possessions
부채 indebtedness, liabilities
내국법인 domestic corporation
장부가액 book value, book price
증액 increment
감액 depletion
감가상각 depreciation, write off, write down
평가 evaluation, appraisal, appraisement, Valuation, rating
사업연도 accounting year, business year, fiscal year, working year, tax year
평가일 evaluation date, appraisal date, appraisement date, valuation date, rating
소득금액 계산 computation on account of income
자산재평가법 Assets Reappreciation Law, Assets Revaluation Law
보험업법 law of insurance
고정자산 capital asset, fixed assets, fixed property, permanent assets, non-liquid assets
재고자산 inventory, inventory reserve, inventory assets, stock in hand, stock on hand, trade assets
정상가격 normal price, arm's length price
천재지변 disaster
화재 fire
파손 breakage
발행법인 issuing corporation
부도 dishonor
주식 shares, stocks, corporate stock
명세서 schedule, statement, particulars, worksheet(산출)
납세지 place for tax payment, place of tax payment, tax payment place
평가차손 evaluation marginal losses
평가차익 evaluation marginal profits
``````````````````````````````````````````````````
실전(3)
(A) All sums payable by the Borrower hereunder, whether of principal, interest, fees, expenses or otherwise, shall be paid in full, free of any deductions or withholdings. In the event that the Borrower is prohibited by law from making payments hereunder free of deductions or withholdings, then the Borrower shall pay such additional amount to the Lender as may be necessary in order that the actual amount received after deduction or withholding (and after payment of any additional taxes or other charges due as a consequence of the payment of such additional amount) shall equal the amount that would have been received if such deduction or withholding were not required.
[내용설명]
위 예문은 각종 세금의 부담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A) 借主가 지급해야 할 원금, 이자, 수수료, 비용 및 그 이외의 모든 금액은 감액이나 원천세 공제없이 전액 지급되어야 한다. 감액이나 원천세 공제없이 지급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는 경우에 차주는 감액이나 원천세 공제 이후 (또한 추가지급의 결과로서 부가되는 세금이나 다른 부담금지급 이후) 貸主가 받는 실제의 금액이 그러한 공제가 없었다면 받았어야 할 금액과 동일하도록 추가금액을 지급하여야 한다.
Article 14. Tax
All payments due and payable to Y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shall be subject to deduction of income tax assessed by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then prevailing rates.
Any taxes or duties imposed on the parties hereto under Korean law in relation to this Agreement shall be borne by the respective parties on which such taxes or duties are imposed.
납세자는 당해 국가의 稅法에 의하여 결정되는 개념이지만, 세금부담자는 계약에서 당사자간에 합의하여 정하는 개념으로 당사자간에 이전이나 분담이 가능하다.
다음은 납세자가 납세후 계약에 의해서 납부한 세금을 상대방 당사자가 보상해주는 예문이다.
KICO shall reimburse the Supplier for all such amounts imposed on the Supplier. Such reimbursement shall be made no later than ninety(90) days after KICO's receipt of the Suppliers invoice with receipt.
``````````````````````````````````````````````````
실전(4)
개별 소득세 계산법Calculation of individual income tax
* The individual income tax calculation is as follows 개별소득세 계산법은 다음과 같다.
Taxable income(과세의 대상이 되는 소득) Xxx
Income subject to separate taxation(분리과세 적용가능한 소득) (-) xxx
Deduction of necessary expenses(필요 경비 공제) (-) xxx
Personal exemptions(개인적 사유로 인한 면세) (-) xxx
Tax base(과세표준) xxx
Tax rate(세율) (-) xxx
Computed tax amount(산정세액) xxx
Tax exemption(면세) (-) xxx
Tax credit(세액공제) (-) xxx
Penalty tax(세금벌과금) xxx
Individual income tax amount payable(지불할 개인소득세액) xxx
````````````````````````````````````````````````
실전(5)
개별 소득세율 - Tax Rates
1). Global income종합소득
Income tax amount on global income is the aggregate of amounts calculated by applying each tax rate successively to the income in the relevant tax bracket :
과세표준금액은 누진세율 구조표에서 해당하는 소득금액에 관한 상대적 세율을 적용하여 산정된다.
@ Table of Basic Tax Rates기본세율표
Tax Base (thou, Won) 과세표준(천원)
Tax Rates (%)세율(%)
천만원 10%
천만원~사천만원 20%
사천만원~팔천만원 30%
팔천만원 40%
2). Retirement income퇴직소득
The tax amount of retirement income is calculated by dividing the taxable income by the number of years in service and then applying the tax rates, and again multiplying the amount by the number of years in service.
퇴직소득에 대한 세금액은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과세 대상되는 소득을 용역연수로 나눈 금액에 세율을 적용한다. 그리고, 용역연수를 다시 곱하여적용한다. *즉, (과세가능소득/용역연수*세율)*용역연수 @번거롭게 용역연수로 나누었다 곱하는 이유는 누진세율이 적용되기 때문에 등급별로 세율이 다르기 때문
3). Timber income(profits from forestry)목재소득(산림소득)
Tax rates on timber income are the same as the basic income tax rates.
목재소득의 세율은 기본 소득세율과 같다.
4). Capital gains자본 이익
Tax rates on capital gains are as follows : 자본이익의 세율은 다음과 같다.
·Land or building that is held for more than 2 years, or other assets
2년이상 소유한 토지 및 건물 기타 자산
below 30 mil. Won 삼천만원 이하................................................... 30%
30 mil.∼60 mil. Won 삼천만원~육천만원........................................ 40%
Over 60 mil. Won 육천만원 이상...................................................... 50%
·Land or building that is held for less than 2 years,
or other assets 2년 이하로 소유한 토지 및 건물 기타 자산............... 50%
·Assets transferred without registration 미등기양도자산.................. 75%
·Shares in an unlisted company비상장회사 주식............................. 20%
``````````````````````````````````````````````````
실전(6)
Article 180 (Registration of Incorporation)
The registration of incorporation of a partnership company shall contain the following particulars: 제180조 (설립의 등기) 합명회사의 설립등기에 있어서는 다음의 사항을 등기하여야 한다.
1.Matters set forth in subparagraphs 1 through 3 and 5 of Article 179 and the place of a branch office, if any: Provided, That if a member representing the company was designated, the domicile of other members shall be excluded; 1. 제179조제1호 내지 제3호 및 제5호의 사항과 지점을 둔 때에는 그 소재지. 다만, 회사를 대표할 사원을 정한 때에는 그 외의 사원의 주소를 제외한다.
2.Subject-matter of the contribution of each member and, in case of a contribution in kind, its value and the part already effected; 2. 사원의 출자의 목적, 재산출자에는 그 가격과 이행한 부분
3.Period of duration or the reasons for dissolution, if such period or such reasons were determined; 3. 존립기간 기타 해산사유를 정한 때에는 그 기간 또는 사유
4.Name of the member representing the company, if such member was designated; and 4. 회사를 대표할 사원을 정한 때에는 그 성명
5.A provision, if any, to the effect that the company are represented jointly by two or more members. 5. 수인의 사원이 공동으로 회사를 대표할 것을 정한 때에는 그 규정
Article 18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Branch Office)
(1) If a branch office is established simultaneously with the incorporation of the company, matters set forth in Article 180 (excluding the places of other branch offices) shall be registered at the place of such branch office within two weeks after the registration of incorporation. 제181조 (지점설치의 등기) ①회사의 설립과 동시에 지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설립등기를 한 후 2주간내에 지점소재지에서 제180조 각호의 사항(다른 지점의 소재지를 제외한다)을 등기하여야 한다. [개정 95·12·29]
(2) If a branch office is established after the incorporation of the company, the place and establishment date of such branch office shall be registered within two weeks at the place of the principal office, and the matters set forth in Article 180 (excluding the places of other branch offices) shall be registered within three weeks at the place of such branch office. ②회사의 성립후에 지점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본점소재지에서는 2주간내에 그 지점소재지와 설치연월일을 등기하고, 그 지점소재지에서는 3주간내에 제180조 각호의 사항(다른 지점의 소재지를 제외한다)을 등기하여야 한다. [개정 95·12·29]
(3) Deleted. ③삭제 [95·12·29]
[개정 95·12·29]
중요단어
합명회사 general partnership
등기 registry
*등기부 register
설립 establishment, formation
``````````````````````````````````````````````````
실전(7)
Article 17 (Non-Inclusion of Proceeds from Capital Transactions in Calculation of Earnings) 第17條 (資本去來로 인한 收益의 益金不算入)
Proceeds under each of the following subparagraphs shall not be included in the calculation of earnings for each fiscal year of a domestic corporation: 다음 各號의 收益은 內國法人의 각 事業年度의 所得金額計算에 있어서 이를 益金에 算入하지 아니한다.
1. Surplus amount of par value of stocks issued; 1. 株式發行額面超過額
2. Gains from retirement of stocks; 2. 減資差益
3. Marginal profits from a merger,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include marginal profits from the evaluation of mergers (hereinafter, "merger evaluation marginal profits"),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and 3. 合倂差益. 다만, 大統領令이 정하는 合倂評價差益(이하 "合倂評價差益"이라 한다)을 제외한다
4. Marginal profits from a division,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include marginal profits from the evaluation of divisions (hereinafter "division evaluation marginal profit"), as prescribed by Presidential Decree. 4. 分割差益. 다만, 大統領令이 정하는 分割評價差益(이하 "分割評價差益"이라 한다)을 제외한다.
*중요용어
자본거래 capital transaction
수익 revenue, gain
익금불산입 exclusion From gross income, exclusion from gross revenue, non-inclusion of gains
내국법인 demestic corporation
사업연도 accounting year, business year, fiscal year, working year, tax year
소득금액계산 calculation of amount of income
익금산입 inclusion in gross revenue
주식발행액면초과액 surplus amount of par value of stocks issued
감자차액 gains from retirement of stocks
합병차익 gain from merger, gains on consolidation, profit from amalgamation, profit(or surplus) from merger, surplus from merged company(합병으로 발생한 잉여금)
합병평가차익 marginal profits from the evaluation of mergers
분할차익 marginal profits from a division
분할평가차익 division evaluation marginal profit
``````````````````````````````````````````````````
실전(8)
Article 10 (Notification, etc. of Trade Business) 제10조 (무역업의 신고등)
(1) A person who intends to operate a trade business or a trade agency business shall notify the Minister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The same shall also apply when he or she intends to change important matters set forth in the Presidential Decree among the notified matters. ①무역업 또는 무역대리업을 하고자 하는 자는 산업자원부장관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신고한 사항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중요한 사항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도 또한 같다. [개정 99·2·5 법5768]
(2) Necessary matters concerning contents or procedures, etc. of the notification under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be set forth in the Presidential Decree. ②제1항의 규정에 의한 신고의 내용 및 절차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3) The Minister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shall issue a certificate of notification of trade business or trade agency business to the person who has notified under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③산업자원부장관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신고를 한 자에게 무역업신고필증 또는 무역대리업신고필증을 교부하여야 한다.
* 중요 용어 정리
무역업 trade business
무역대리업 trade agency business
산업자원부 장관 the Minister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신고 notifier
무역업신고필증 certificate of notification of trade business
무역대리업신고필증 a certificate of notification of trade agency business
교부 issue
이상에서와 같이 shall은 법적인 강제성을 가지고 있다. 다시말해 shall로 표기되는 사항은 법적인 의무를 나타내며 이를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위법처리된다.
그러나 may는 법적인 강제성은 없지만 법적 특권이나 특혜 권리를 주장한다. 예를 들어 특허권을 취득하여서 타 회사에 로얄티를 받는 경우에 may를 쓰면 당회사의 권리와 특혜사항을 강조한 것이 된다.다음을 보자
Article 3 (Legal Capacity of Minor, etc.)
(1) A minor, quasi-incompetent or incompetent person may not take any action involving an application, request or any other act for a pa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procedure for patent") unless represented by his legal representative; provided that this shall not apply where a minor or quasi-incompetent person is not allowed to perform a legal act independently.
특허법 第3條 (未成年者등의 行爲能力) ①未成年者·限定治産者 또는 禁治産者는 法定代理人에 의하지 아니하면 特許에 관한 出願·請求 기타의 節次(이하 "特許에 관한 節次"라 한다)를 밟을 수 없다. 다만, 未成年者와 限定治産者가 獨立하여 法律行爲를 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may는 미성년자, 한정치산자, 금치산자는 특허에 관한 법적 지위가 극히 제한적으로 쓰여지기 때문에 그 권한과 권리를 표현하고자 사용되었다. 그에 반해 shall은 미성년자와 한정치산자가 독립하여 법률행위를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위 법의 제한 사항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을 shall을 사용하여 법적인 강제성을 강조하였다. 만약에 미성년자와 한정치산자가 독립했음에도 불구하고 특허에 관한 권리를 제한한다면 이는 명백한 위법이 된다는 것이다.
``````````````````````````````````````````````
영문대차대조표
balance sheet(대차대조표)는 말 그대로 대변과 차변을 통해서 수익과 재무상태를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일종의 기록양식이다. 단지, 차이점이라면 꽤 까다로운 용어들이 나오고 그 용어를 적절히 쓰는 일일 것이다. 미국회사와 특히 증권업계의 경우는 구지 미증권시장인 월스트리트를 꺼내지 않고라도 알 수 있듯이 한 회사의 대차대조표는 손익계산서와 더불어 실로 그 회사의 재무상태를 단적으로 말해 준다. 따라서 증권업계 뿐만이 아니라 금융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경제와 관련된 활동을 하는 일반 회사원 공무원 상공인들이 이제는 영어로 기록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를 보고 그 회사의 재무상태를 나름대로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미국 공인회계사시험도 손익계산서와 대차대조표상의 회계영어들을 정리해놓으면 30%는 용어정리를 해놓은 것이나 다름없을 정도이다. 또한 회계학을 전공하고 있는 학생이라면 영어로 된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정도는 작성할 수 있어야 한다.
Assets 자산
Current assets: 유동자산
Cash and bank deposits: 현금 및 당좌예금[은행예금]
Short-term investments: 단기투자
Marketable securities(Trading) 사장성 있는 유가증권(당기매각목적)
Marketable securities(available-for-sale) 시장성 있는 유가증권(매각가능)
Refundable income taxes 차환할 수 있는 법인세
Receivable from affiliates 관계회사[지부,준회원]의 수취채권
Accounts receivable 매출채권
Less allowance for doubtful accounts 대손충당금의 차감
Notes receivable due in 1999 1999년에 지불해야하는 받을 어음
Installment notes due in 1999 1999년에 지불해야하는 할인어음
Interest receivable 미수이자
Advances to employees 종업원 선급금
Inventories(carried at lower of cost or market by FIFO) 재고자산(선입선출법에 의한 저가법에 이월된)
finished goods 완성품, 제품
Work in process 재공품
Raw materials 원재료
Prepaid expenses: 선급비용
Prepaid rent 선급임차료
Prepaid insurance 선급 보험료
Total current assets 총 유동자산액
Long-term investments: 장기 투자
Investments in marketable securities(available-for-sale) 시장성 있는 유가증권에의 투자(매각 가능)
Investments in bonds(held-to-maturity) 사채에 투자(만기일까지 보유 목적) *주의 : 만약 in bond로 한다면 보세인도조건이 된다.
Investments in unused land 유휴토지에 투자
Cash surrender value of officers life insurance policies 중역 생명보험증권 계약의 해약반환금
Sinking fund for bond retirement 사채 상환을 위한 감채기금[매몰자금]
Total long-term investments 총 장기 투자액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재산, 공장시설, (생산)설비
Land 토지
Buildings 건물 및 구축물
Machinery and equipment 기계 장치
Furniture and fixtures 비품
Leasehold improvements 임차지 개량
Less accumulated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감가상각누계액과 감가상각비의 차감
Total property, plant, and equipment 총 재산, 공장시설, (생산)설비액
Intangible assets net of amortization: 무형고정자산 순 감가상각비
Excess of cost over net assets of acquired businesses 합병당한 기업의 순 자산을 초과한 비용
Patents 특허권
Trademarks 상표권
Organization costs 창업비용
Total intangible assets, net 총 순 무형고정자산액
Other assets: 기타 자산
Unamortized bond issue costs 미상각 사채 발행 비용
Equipment to be disposed of 최종적으로 결정된 (생산)설비
total other noncurrent assets 기타 유동자산 합계액
Total assets 총 자산액
Liabilities and Stockholders' Equity 부채 및 주주 지분
Current liabilities: 유동 부채
Commercial paper and other shortterm notes 단기금융어음[신종기업어음]과 기타 단기 어음
Accounts payable 외상 매입금
Salaries, wages, and commissions (정기적인)급료, (일시적인,단기간에 지급되는)노임, 수수료
Taxes withheld from employees 종업원의 보류한 세금
Income taxes payable 법인세[소득세] 지급채무
Dividends payable 배당금 지급채무
Rent revenue collected in advance 선금으로 받은 수입 임대료
Other advances from customers 기타 고객으로부터 받은 선금
Current portion of long-term debt 장기차입금 가운데 1년 이내에 지불기일이 도래하는 것
Current obligations under capital leases 자본리스로 인한 유동성 부채액
Deferred tax liability 이연세금부채
Short-term portion of accrued warranty 단기 미수된 보증계약(토지에 대한 권리를 보증하는 날인 증서 계약) 비율
Other accrued liabilities 기타 미지급부채, 기타 예정부채
Total current liabilities 총 유동부채액
Noncurrent liabilities: 비유동부채
Notes payable due after 1998 1998년(당해 포함) 이후 지급어음 채무
Plus unamortized note premium 미상각 어음 할증발행
Long-term bonds: 장기 사채
8% debentures due 2000 2000년 지불해야하는 무담보사채[특수사채]의 8%
8% collateralized obligations maturing serially to 2000 2000년에 연속적으로 만기되는 담보부 부채액의 8%
7% convertible debentures due 2010 2010년에 지불해야하는 전환 무담보사채[특수사채]의 7%
Less unamortized discounts net of premiums 미상각 할인액,순 할증액 차감
Accrued pension cost 미지급연금비용
Obligations under capital leases 자본리스로인한 부채액
Deferred tax liability 이연된 세금 부채
Long-term portion of accrued warranty 장기 미수된 보증계약(토지에 대한 권리를 보증하는 날인 증서 계약) 비율
Total noncurrent liabilities 총 비유동부채
Total liabilities 총부채
Capital stock: 자본금, 주식자본금
$10.00 convertible preferred stock, 전환우선주식 10$
$100 stated value, 200,000 shares authorized, 150,000 outstanding 100$로 가격이 표시되어있는, 수권자본주식 200,000, 미결제의[미상환의] 150,000
10% cumulative preferred stock, $100 stated value, callable at $110,50,000 shares authorized and outstanding 누적우선주 10%, 100$로 가격이 표시된, 회수가능의[임의상환의] 주식 $110,50,000
Common stock, $10 par value, 300,000 shares authorized, 200,000 issued, 10,000 held in treasury 보통주, 액면가치 $10, 수권자본주식 300,000, 200,000발행, 재정증권 10,000
Common stock subscribed 10,000 shares 청약보통주식 10,000
Less: Subscriptions receivable 응모 수취채권 차감
Additional paid-in capital: 부가된 납입 자본금
From 10% cumulative preferred 누적우선(주)에서 10%
From common stock 보통주에서
From treasury stock transactions 재정증권 거래에서
From stock dividends 주식배당에서
From expiration of stock options 주식 옵션의 만기에서
Warrants outstanding 미결제의, 미상환의 보증계약
Retained earnings: 유보이익
Appropriated for bond indebtedness 미처분 사채부채
Unappropriated 미처분
Accumulated other comprehensive income: 기타 포괄적 누적 이익
Total stockholders' equity 총주주지분
Less: Treasury stock at cost 재정증권비용차감
Total liabilities and stockholders' equity 총 부채와 주주지분
차변은 자산의 증가나 비용의 발생, 자본의 감소, 부채의 감소이고 대변은 자산의 감소나 수익의 발생, 자본의 증가, 부채의 증가이다.즉, 차변은 수익이 생기기 위한 투자의 과정이고 대변은 수익을 창출한 것의 정리라고 보면 된다.
``````````````````````````````````````````````````
작위와 부작위
◈ act or omission; commission or omission; feasance or non-feasance ◈
作爲(어떤 행위를 적극적으로 하는 것 즉, 의식적으로 행하는 적극적인 행위. 살인·절도 등. act, commission, feasance)와 不作爲(할 의무가 있는 행위를 소극적으로 하지 않는 것 즉, 마땅히 해야 할 것으로 기대되는 일정한 행위를 하지 않는 일. 불행위(不行爲)omission, non-feasance)를 의미한다.
Seller shall be liable for any damage arising out of its failure to perform the obligations hereunder, unless such failure is due to a [commission or an omission] of Buyer to perform its obligations hereunder. (Seller는 그의 채무불이행에서 기인하는 손실을 배상할 책임이 있지만 그러한 채무불이행이 Buyer의 작위 또는 부작위로 인한 것인 때에는 책임을 지지 않는다.)
act(= commission) or omission앞에 과실에 의한 행위를 표시하기 위하여 negligent로 수식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 negligent가 있다고 하여 intentional(고의적인)한 작위 또는 부작위가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The Management Company shall be liable to the Company for any loss of damage suffered by the Company based on a negligent [act or omission] of the Management Company’s personnel in carrying out the Management Company’s obligations under this Management Agreement.”
이러한 관리 협정하에 관리회사의 의무사항을 이행하는데 있어서 관리회사 직원의 작위 또는 부작위적인 태만으로 인하여 어떠한 손실이나 (물품의) 손상이 발생하였다면 관리회사는 마땅히 책임져야 한다.
현행법은 어떻게 이 표현을 썼을까 확인해보자.
THE COMMERCIAL CODE CHAPTER 2 SHIPOWNERS Article 746(Limited Liability of Shipowner) The owner of a ship may restrict his liability for the following obligation in the limit of the amount as prescribed in Article 747, regardless of the cause of claim, except in case where the obligation is caused by the intention of the shipowner, or with an [action or omission] committed imprudently knowing that it might cause any loss.
상법(THE COMMERCIAL CODE) 제2장 선박소유자 제746조 (선박소유자의 유한책임) 선박소유자는 청구원인의 여하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채권에 대하여 제747조의 규정에 의한 금액의 한도로 그 책임을 제한할 수 있다. 그러나 그 채권이 선박소유자 자신의 고의 또는 손해발생의 염려가 있음을 인식하면서 무모하게 한 작위 또는 부작위로 인하여 생긴 손해에 관한 것인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여기서는 action이란 표현을 작위의 뜻으로 썼는데 action은 보통 소송이란 뜻으로 쓰인다.
```````````````````````````````````````````
영문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보고식)-STATEMENT OF INCOME(REPORT FORM)
Ⅰ. 매출액
Ⅰ. SALES
Ⅱ. 매출원가
Ⅱ. COST OF SALES
1. 기초상품(또는 제품) 재고액
1. Beginning inventory of merchandise(or finished goods)
2. 당기매입액(또는 제품제조원가)
2. Purchases during the year(or cost of goods manufactured)
3. 기말상품(또는 제품) 재고액
3. Ending inventory of merchandise(or finished goods)
Ⅲ. 매출총이익(또는 매출총손실)
Ⅲ. GROSS PROFIT(or GROSS LOSS)
Ⅳ. 판매비와 관리비
Ⅳ. SELLING AND ADMINISTRATIVE EXPENSES
1. 급여
1. Salaries
2. 퇴직급여
2. Retirement allowance
3. 복리후생비
3. Other employe benefits
4. 임차료
4. Rent
5. 접대비
5. Entertainment
6. 감가상각비
6. Depreciation
7. 무형자산상각비
7. Amortization on intangible asset
8. 세금과공과
8. Taxes and dues
9. 광고선전비
9. Advertising
10. 연구비
10. Research expenses
11. 경상개발비
11. Ordinary development expense
12. 대손상각비
12. Bad debt expense
Ⅴ. 영업이익(또는 영업손실)
Ⅴ. OPERATING INCOME(or Loss)
Ⅵ. 영업외수익
Ⅵ. NON-OPERATING INCOME
1. 이자수익
1. Interest income
2. 배당금수익
2. Dividend income
3. 임대료
3. Rental income
4. 유가증권처분이익
4. Gain on disposi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5. 유가증권평가이익
5. Gain on valua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6. 외환차익
6. Gain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
7. 외화환산이익
7. Gain o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8. 지분법평가이익
8. Gain valuation using equity method of accounting
9. 투자유가증권 감액손실환입
9. Recovery of investment securities impairment loss
10. 투자자산처분이익
10. Gain on disposition of investment assets
11. 유형자산처분이익
11. Gain on disposition of tangible assets
12. 사채상환이익
12. Gain on redemption of debentures
13. 법인세환급액
13. Refund of income taxes
Ⅶ. 영업외비용
Ⅶ. NON-OPERATING EXPENSE
1. 이자비용
1. Interest expense
2. 기타의 대손상각비
2. Other amortization expense
3. 유가증권 처분손실
3. Loss on disposi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4. 유가증권 평가손실
4. Loss on valua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5. 재고자산 평가손실
5. Loss on valuation of inventories
6. 외환차손
6. Loss on foreign currency transactions
7. 외환환산손실
7. Loss on foreign currency translation
8. 기부금
8. Donations
9. 지분법 평가손실
9. Loss on valuation using equity method of accounting
10. 투자유가증권 감액손실
10. Investment securities impairment loss
11. 투자자산 처분손실
11. Loss on disposition of investment assets
12. 유형자산 처분손실
12. Loss on disposition of tangible assets
13. 사채상환손실
13. Loss on redemption of debentures
14. 법인세추납액
14. Supplementary payment of income taxes
Ⅷ. 경상이익(또는 경상손실)
Ⅷ. ORDINARY INCOME(or ORDINARY LOSS)
Ⅸ. 특별이익
Ⅸ. EXTRAORDINARY GAIN
1. 자산수증이익
1. Gain from assets contributed
2. 채무면제이익
2. Gain on exemption of debts
3. 보험차익
3. Gain on insurance settlement
Ⅹ. 특별손실
Ⅹ. EXTRAORDINARY LOSSES
1. 재해손실
1. Gasualty losses
ⅩⅠ.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이익(또는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손실)
ⅩⅠ. INCOME BEFORE INCOME TAXES(or LOSS BEFORE INCOME TAXES)
ⅩⅡ. 법인세비용
ⅩⅡ. INCOME TAX EXPENSE
ⅩⅢ. 당기순이익(또는 당기순손실)
ⅩⅢ. NET INCOME(or NET LOSS)
(주당경상이익: ×××원)
(Ordinary income per share : ×××won)
(주당순이익: ×××원)
(Earning per share : ×××won)
``````````````````````````````````````````````````
법률계약서상의 비용부담에 관한 용어들
◈ ◈ at one’s own risk; at the risk of ◈
위험 내지 책임을 누가 부담하는지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용어이다.
“After the Machine is accepted by the Buyer, it shall be placed at the sole disposal of the Buyer and the Buyer may make whatever modification he deems necessary; provided, however, that any such modification shall be made entirely at the risk of the Buyer.” (구매자가 기계의 구매를 결정한 후에는 오로지 구매자만이 구매에 관한 처분을 담당할 수 있다. 어떠한 수정사항이라도 그것이 필요한 것이라고 예상했을 경우에는 그러나 어떻한 경우라도 구매자가 전적으로 비용을 부담해야한다는 조건이다.)
‘at the risk and for the account of’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위험 내지 책임부담 뿐만 아니라 비용부담 관계까지 명시하는 문언이다. 비용부담 관계만을 표시하고자 할 때에는 ‘at one’s own expense(cost)’ 또는 ‘at the expense(cost) of’를 사용한다.
“Spare parts and Implements for the Products shall be maintained and distributed at the risk and for the account of the Distributor.” (제품에 관한 여유부품과 비품들은 유통업자의 계산과 책임으로 보유하고 배급해야 한다.)*주의: 여기서 Distributor는 배급자가 아니라 유통업자의 뜻이다.
이것과 유사한 형태의 용어로 ‘in one’s own name’이 있는데 이는 타인의 대리인으로서가 아니고 ‘본인으로서 행위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The Franchisee may in its own name and on its own account conduct an advertising campaign to promote sales of the Licensed Products; provided that the general outline of any such campaign shall be approved by the Franchiser beforehand.” (Franchisee는 자기의 이름과 계산으로 광고선전활동을 할 수 있는데, 사전에 그 개요에 대한 Franchiser의 허가를 요한다.)
``````````````````````````````````````````````````
중요한 회계처리(1)
(1) 경기상점에서 상품 \200,000을 매입하고, 대금은 수표발행하여 지급하다. 단 당좌예금 잔액은 \150,000이며, \300,000 한도의 당좌차월 계약이 체결되어 있다.
차변(Dr.) laying in stock, bought, buying in , purchase(매입) \200,000
대변(Cr.) current deposits, checking account, checking account deposits, checking deposits (당좌예금) \150,000
대변(Cr.) bank overdrafts, overdrafts, overdrafts with banks(당좌차월) \50,000
(2) 매출처 강원상점으로부터 받은 수표 \300,000을 거래은행에 당좌예금하였으나, 오늘 부도되었다는 통지와 함께 당점의 당좌예금에서 차감되었다고 통지가 오다.
차변(Dr.) bad check (cheque), dishonored check, non-sufficient fund check, overdue check, part due check(부도수표) \300,000
대변(Cr.) current deposits, checking account, checking account deposits, checking deposits
(당좌예금) \300,000
(3) 거래은행인 국민은행에 6개월만기의 정기적금\5,000,000에 가입하고 제1회분 \300,000을 동점발행수표로 지급하다.
차변(Dr.) short-term financial instruments(단기금융상품) \300,000
대변(Cr.) cash(현금) \300,000
*********************AICPA 수험생이 알아야 할 6가지*******************************
*통화대용 증권(non-monetary cash) -> 자기앞수표(cashier's check), 송금수표(remitance check), 타인발행수표( borrowed issuing check ), 가계수표(household check), 공/사채만기이자표(check of maturity interest on public bonds ), 국고지급통지서(notice of payment of governmental subsidy) , 일람출급어음( a sight bill; a bill[draft] at sight; a demand draft[bill])등이 있으며 현금계정(cash accounts)으로 회계처리한다.
*현금등가물(cash equivalent)->현금의 전환(conversion)이 용이하고, 이자율(interest rate) 변동으로 인한 가치변동(fluctuations in value *주의->가치변경: change in value)의 위험(risk)이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A. 취득당시의 만기가 3개월 이내에 도래하는 채권
B. 취득당시의 상환일(redemption date)까지 기간(period)이 3개월 이내인 상환우선주(callable preferred stock, redeemable preferred stock (share))
C. 취득당시(in the time of acquisition)의 환매조건(short covering terms)이 3개월 이내인 환매채(RP, Repurchase Agreements )
*대차대조표(Balance Sheet)에 현금(cash) 및 현금등가물(cash equivalent)로 표시하는 계정(accounts)은 다음과 같다.
A. 현금(cash)
B. 당좌예금 (current deposits)
C. 보통예금(demand deposit, ordinary deposit)
D. 저축예금(saving deposit)
E. 소액현금(small cash)
F. 그외의 현금등가물(etc.of cash equivalent)
*당좌차월(bank overdrafts, overdrafts, overdrafts with banks)->은행의 당좌예금(current deposits) 잔액(balance)보다 수표(check)를 초과발행(over-issuing)한 금액(amount)을 당좌차월(bank overdrafts)이라 하며 대차대조표(Balance Sheet)에는 단기차입금(current bank loan, money borrowed for short term, short-term borrowings, short-term debts, short-term loans repayable, temporary loans, unfunded debt)으로 표시한다.
*단기금융상품(short-term financial instruments)->금융기관이 취급하는 정형화된 상품으로 단기적 자금운용(application of fund) 목적으로 사용하거나, 만기(expiration, maturity)가 1년 내에 도래하는 것으로 한다.
A. 1년 이내에 만기가 도래(mature-만기도래)하는 정기예금(fixed deposit, time deposit), 정기적금(fixed installment deposit)등.
B.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예금(deposits)(주석으로 기입한다.)
C. 정형화된 금융상품(standardized financial instruments): 양도성예금(CD), 기업어음(CP), 어음관리구좌(CMA),표지어음, 환매채(RP), 머니마켓펀드(MIMF)등
*부도수표(bad check (cheque), dishonored check, non-sufficient fund check, overdue check, part due check)->타인(others)으로부터 받아 소유(ownership)하고 있는 수표(check)의 지급(payments)이 거절(cufoff)되는 것을 부도수표(bad check (cheque), dishonored check, non-sufficient fund check, overdue check, part due check)라 하며, 대차대조표(B/S)의 표시는 매출채권(sales credit, trade claim, trade receivables)에 포함(including)한다.
``````````````````````````````````````````````````
계약서上의 상투어들(1)
■ 국제 계약에서 쓰이는 상투어들
◈ above; above-mentioned; aforementioned; aforesaid ◈
모두 ‘상기의, 상술의, 전기의, 전술의’ 라는 의미를 가지며, 계약서 가운데 앞의 부분에서 이미 언급한 사람, 사물, 개념 등을 지칭하는 경우에 사용한다.
◈ accordingly ◈
‘그에 따라’의 뜻. 계약당사자가 예측한 범위에서 변경이 일어날 경우에 대비하여 미리 ‘그에 따른’ 어떠한 조치를 계약내용중에 취해둘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물품선적시 일정한 선적량의 ±10% 범위에서 실제 선적량을 증감할 수 있도록 하였다면 대금도 ±10% 범위에서 증감하게 될 것인 바, 가격에 관한 조항은 다음과 같은 문언이 될 것이다.
“The Buyer shall pay to the Seller U.S. Dollars twenty thousands(US$20,000) for the Products; provided, however, that if the Seller exercises its option to load more or less Products in accordance with Article(선적에 관한 조항) hereof, the price shall be adjusted accordingly.” (구매자는 판매자에게 US$20,000를 지불해야 한다. 그러나 판매자는 이 계약서의 선적에 관한 조항에 따라서 즉 이를 준수하여서 공급할 제품을 많게도 적게도 운반할 수 있는 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가격도 그에 따라서 조정해야 한다.)->>이 조문에서 accordingly에는 ‘비율적으로 결정된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즉, Seller가 10%를 더 선적하였을 경우 대금은 US$2,000가 증가한다는 뜻).
accordingly는 위에서와 같이 산술적인 비율을 뜻하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합리적인 범위에서의 조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러나 변경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는 조정하기보다는 계약을 해제하는 편이 적합할 것이므로 검토의 여지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야 한다.
“If after the execution of this Contract, any new law, rule or regulation is enacted in the Buyer’s country or an existing law, rule or regulation is amended the consequence of which is to make illegal the sale of the Products therein, the Seller shall change the specification of the Products to conform to the requirements of such law, rule or regulation as it then reads. In such event, the unit price of the Products shall be changed accordingly thereafter.” (이 계약의 효력 발생 이후에 만약 새로운 법이나 규정, 법규가 구매국가에서 또는 현행법상에서(참고:시행령등) 제정되었을 경우에, 그러한 규율이나 법규는 불법적인 제품의 판매의 연장선으로 수정된다. 판매자는 그러한 새로 제정된 법규를 그것이 문리해석상의 요구사항들을 이행하기 위하여 (계약시)제품에 관한 특별한 사항들을 변경해야 한다. 그러한 중요한 일들은 제품의 단가가 그 이후로 적절하게 변경되어야 한다)
◈ among; between ◈
쉽지만 많이 쓰이는 용어이고 계약서의 상투어이다.‘among’은 3인 이상의, ‘between’은 2인 사이의 관계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among and between parties A, B, and C’를 분석하면 ‘among A, B and C’ 그리고 ‘between A and B, B and C, A and C’를 의미한다.
◈ arm’s length ◈
당사자가 서로 독립된 주체로서 냉정하게 자신의 이익을 위하여 거래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당사자가 서로 특별한 관계가 없는 타인인 경우에는 당연히 ‘arm’s length’의 거래일 것이므로 특별히 이를 밝힐 필요가 없지만, 모회사와 자회사간의 거래이거나 서로 투자하고 있는 기업간의 거래인 경우와 같이 당사자가 특별한 관계에 있는 때에는, 책임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또는 세금 등 특수한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arm’s length거래임을 밝히는 규정을 두고 있다.
“The subsidiary company shall conduct its affairs so as to ensure that it makes such profit from the sales of the products to its parent company as can reasonably be regarded as being normal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ll dealings between them are conducted at arm’s length.” (종속회사는 지배회사에 대하여 냉정하고 공정한 입장에서 모든 물품의 판매와 구매를 다룬다는 가정하에, 지배회사에게 판매 제품의 공급으로 인한 이익에 관해서도 확실하게 처리해두어야 한다.)주의*subsidiary company는 종속회사란 경영용어이다.
``````````````````````````````````````````````````
영문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STATEMENT OF APPROPRIATION OF RETAINED EARNINGS
Ⅰ. 처분전이익잉여금
Ⅰ.RETAINED EARNINGS BEFORE APPROPRIATIONS
1. 전기이월이익잉여금(또는 전기이월결손금)
1. 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carried over from prior years(or Undisposed accumulated deficit carried over from prior years)
2. 회계변경의 누적효과
2. Cumulative effect of accounting changes
3. 전기오류수정이익(또는 전기오류수정손실)
3. Gain(Loss) on prior period error correction
4. 중간배당액
4. Interim dividends
5. 당기순이익(또는 당기순손실)
5. Net income(or Net loss)
Ⅱ.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Ⅱ. TRANSFER FROM VOLUNTARY RESERVES
1. × × 적립금
1. Reserve for ××
2. × × 적립금
2. Reserve for ××
합계
TOTAL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Ⅲ. APPROPRIATIONS OF RETAINED EARNINGS
1. 이익준비금
1. Legal reserve
2. 기타법정적립금
2. Other statutory reserves
3. 주식할인발행차금상각액
3. Amortization of stock discount
4. 배당금
4. Dividends
가. 현금배당
주당배당금(률)보통주: 당기××원(%)
전기 ××원(%)
우선주: 당기 ××원(%)
전기 ××원(%)
a. Cash dividends
Dividend(rate) per stock
common stock: current year ××\(%)
prior year ××\(%)
preferred stock: current year ××\(%)
prior year ××\(%)
나. 주식배당
주당배당금(률)보통주: 당기 ××원(%)
전기 ××원(%)
우선주: 당기 ××원(%)
전기 ××원(%)
b. Stock dividends
Dividend(rate) per stock
common stock: current year ××\(%)
prior year ××\(%)
preferred stock: current year ××\(%)
prior year ××\(%)
5. 사업확장적립금
5. Reserve for business expansion
6. 감채적립금
6. Reserve for sinking funds
Ⅵ. 차기이월이익잉여금
Ⅵ. UNAPPROPRIATED RETAINED EARNINGS TO BE CARRIED OVER FORWARD TO SUBSEQUENT YEAR
``````````````````````````````````````````````````
계약서上의 상투어들(2)
■ 계약서 上에 쓰이는 상투어들
◈ as the case may be ◈
‘경우에 따라서’의 뜻이다. 어떠한 규정사항이 둘 이상의 경우에 각각 대응하여 적용될 때에 그 하나 하나를 모두 기술하지 않고 간략하게 서술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된다.
“If any material adverse change in circumstances prevents the party from making appropriate preparations for participation in the second stage or the third stage of the development project, such party may withdraw from participation in the second stage or the third stage, as the case may be.” (상황의 중대한 변동으로 인하여 당사자가 개발프로젝트의 제2 또는 제3단계에의 참가를 준비할 수 없게 된 경우, 그 당사자는 그것이 제2단계일 경우에는 제2단계에의, 제3단계일 경우에는 제3단계에의 참가를 취소할 수 있다.)
◈ as ◈
‘as’는 여러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에 since, because, when, while 등의 의미로 사용하고자 하는 때에는 이들 용어를 사용하고 as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As a potential work stoppage threatened to block the opening of school, the arbitrators revised the wording of the contract.”라는 문장에서 ‘as’의 의미가 ‘when’, ‘because’, ‘while’중 어느 의미로 사용된 것인지 분명하지 않다.
◈ as if v. like ◈
계약서 상에는 상투적으로 ‘as if’ 대신 ‘like’를 사용하지 않는다.
“The judge proceeded as if 【not like】 counsel had raised no objection.”
(그 재판관은 거부가 아닌 협의의 타결처럼 처리했다.)
◈ as v. like ◈
‘as’는 접속사로서 절을 이끌 때 사용된다.
“Students must learn to think as lawyers do.” (변호사가 연구하는 것처럼 학생들도 (열심히) 배워야 한다.)
‘like’는 전치사로서 비교를 할 때 사용된다.
“Students must learn to think like lawyers.” (학생들은 변호사처럼 생각하는 것을(심사숙고) 배워야 한다.)
◈ at one’s discretion ◈
‘재량으로’, ‘자유롭게’의 뜻. 裁量(discretion)에는 아래 첫 번째 예문과 같이 일방이 완전히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는 경우(自由裁量)와, 일방의 결정권에 일정한 조건(두번째 예문)이나 제한(세번째 예문)이 붙여진 경우(羈束裁量)가 있다.
“The Distributor may set the retail price of the Goods at its sole discretion.”
(도매업자는 독점적 재량으로 상품의 소매가를 정할 수 있는 특권이 있다.)
“The Seller may at its discretion withhold any shipment of the Goods if the Buyer is in default of its obligation to make payment for the Goods previously shipped.”
(만약 구매자가 선적된 상품을 미리 전에 지불해야하는 것을 위반하는 잘못을 저질렀을 경우에 판매자는 재량껏 상품의 선적을 보류할 수 있다. )
“The manufacturer may, at its discretion, change the specifications of the Product at any time during the life of this Agreement; provided that any such change does not materially alter the nature of character of the Product.”
(제조자는 이 협약의 유효 기간 동안 어느 때에라도 제품의 특별성을 재량껏 바꿀 수 있다.; 제품의 고유의 특성을 물질적으로 변경하는 것이 아니라면 어떠한 변동사항에 의하여)
조건이나 제한이 붙어 있지 않은 재량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sole discretion’, ‘absolute discretion’ 등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법이론상 sole이나 absolute에도 불구하고 discretion의 행사에는 어느 정도의 합리성이 있어야 하고, 계약의 본지를 벗어난 행사는 허용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discretion 대신에 ‘judgment’를 사용할 수도 있는데, ‘판단을 요한다’는 취지를 포함하지만 양자간에 본질적인 차이는 없다.
``````````````````````````````````````````````````
영문현금흐름표(직접법)
현금흐름표(직접법)-STATEMENT OF CASH FLOWS(DIRECT METHOD)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Ⅰ. CASH FLOWS FROM OPERATING ACTIVITIES
가. 매출 등 수익활동으로부터의 유입액
a. Cash inflows from the revenue producing activities such as sales
나. 매입 및 종업원에 대한 유출액
b. Cash outflows purchase and for employees
다. 이자수익유입액
c. Cash inflows from interest income
라. 배당금수익유입액
d. Cash inflows from dividends received
마. 이자비용유출액
e. Cash outflows for interest expenses
바. 미지급법인세의 지급
f. Cash outflows for income tax payable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Ⅱ. CASH FLOWS FROM INVESTING ACTIVITIES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 Cash inflows from investing activities
가.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a. Disposition of short-term financial instruments
나. 유가증권의 처분
b. Disposi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다. 토지의 처분
c. Disposition of land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 Cash outflows for investing activities
가. 현금의 단기대여
a. Short-term loans in cash
나.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b. Acquisition of short-term financial instruments
다. 유가증권의 취득
c. Acquisition of marketable securities
라. 토지의 취득
d. Acquisition of land
마. 개발비의 지급
e. Payment of development expenses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Ⅲ. CASH FLOWS FROM FINANCING ACTIVITIES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 Cash inflows from financing activities
가. 단기차입금의 차입
a. Short-term borrowings
나. 사채의 발행
b. Issuance of debentures
다. 보통주의 발행
c. Issuance of common stock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 Cash outflows for financing activities
가. 단기차입금의 상환
a. Repayment of short-term borrowings
나. 사채의 상환
b. Redemption of bonds
다. 유상감자
c. Reduction of capital stock by payment in cash
Ⅳ. 현금의 증가(감소)(Ⅰ+Ⅱ+Ⅲ)
Ⅳ. INCREASE (or DECREASE) IN CASH(Ⅰ+Ⅱ+Ⅲ)
Ⅴ. 기초의 현금
Ⅴ. CASH AT BEGINNING OF YEAR
Ⅵ. 기말의 현금
Ⅵ. CASH AT END OF YEAR
``````````````````````````````````````````````````
계약상의 상투어들(3)
◈ before v. by ◈
종료일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before’는 그 전일까지만을 의미하고, ‘by’는 당해 날짜도 포함한다. 대부분의 계약서에서는 보다 명확하게 표시하기 위하여 당해 날짜도 포함하는 의미로서 ‘on or before’나 ‘till(until) and including’을 사용하기도 한다.
“Korean party shall deliver the products to American party by August 31, 1996……”(1996년 8월 31일까지 혹은 그 이전까지).
“Korean party shall deliver the products to American party before August 31, 1996……”(1996년 8월 30일까지).
“On or before the 31st of August, Korean Party shall make and forward to American Parties a complete itemized report or inventory of all of their merchandise……”(8월 31일 혹은 그 이전까지).
◈ best efforts; best endeavors ◈
법률적으로 ‘non-commitment basis’의 약정을 표현하는 문언이라고 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상당한 정도의 법률적인 의무를 부과시키는 문언’으로 본 판례도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The Buyer agrees to exert its best efforts to obtain the export license as soon as possible after the execution of this Agreement.” (구매자는 이 계약의 효력발휘 이후가능한한 빨리 수출허가서를 취득하는데 최선을 다해서 자신의 영향력을 행사할 것에 동의한다.)
“The Joint Venture Company shall use its best endeavors to conduct its affairs so as to have no taxable income.”(합작투자*joint venture란 합작투자를 의미*회사는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수익성을 최소화하는 업무에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
◈ compare to v. compare with ◈
‘compare to’ 는 비유, ‘compare with’는 비교의 의미를 갖는다.
“We compare one case with another(examin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ut compare a cliche to a comfortable old shoe(liken one thing to another)”. (우리는 하나의 경우를 다른 경우와 비교해야 한다.(유사성과 차이점을 조사하여) 그러나 진부한 상투어는 마구신은 낡은 구두처럼 경멸적으로 비유될 것이다.)
◈ construction v. interpretation ◈
양자는 모두 법률해석의 의미를 갖지만 ‘interpretation’은 단어 그 자체에 관련되어 있고, ‘construction’은 그 법적인 작용과 관련되어 있다.
◈ continual v. continuous ◈
전자는 ‘빈번히, 반복해서’의, 후자는 ‘중단 없이’의 의미이다.
◈ disinterested v. uninterested ◈
‘disinterested’는 ‘free from bias and self-interested’(공평한)의 의미이며, ‘uninterested’는 ‘not interested or apathetic’(무관심한)이란 의미이다.
“In an administrative proceeding the hearing official must be disinterested; whether he or she is uninterested is usually not legally significant.” ( 행정적인 처리에 있어서 공식적인 청강은 공평한 것임에 틀림없다. 그[그녀]가 법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일상적인 것에 대해서 무관심하든 아니든 상관없이)
◈ due to ◈
‘due to’는 의미가 다양하고 포괄적어서 그 의미의 해석에 이견이 있을 수 있으므로, ‘caused by’나 ‘resulting from’ 또는 ‘because of’ 등과 같이 개별적으로 단일한 의미를 갖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명확하다.
예를 들면, 다음 문장에서 ‘due to’ 보다 【 】의 용어가 더 명료하다.
“The court allowed the tenant to recover for personal injuries due to 【resulting from】 the landlord‘s negligent maintenance.” (그 법원은 점유자가 토지소유자의 소유권에 대한 태만행위로 인하여 손상받은 개인적인 권리를 되찾는 것으로 판결했다.)
“This reasoning will become more appealing in light of the injustice suffered by litigants due to 【because of】 extensive court delays.” (소송당사자에 의해서 제공된 부당함의 견지에서 보면 법원의 지연기간이 넉넉하기 때문에 이 합리적 근거는 더욱 설득력이 강해질 것이다.)
“The reason for distinguishing the cases may be due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types of vehicles.”
→ The reason for distinguishing the cases may be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two types of vehicles. ( 그 사건을 특징짓는 합리적 근거는 두 종류의 운반수단이 차별적인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 farther v. further ◈
본래, ‘farther’는 주로 물리적인 거리를, ‘further’는 관념적인 거리나 차이를 의미하나, 현재 양자는 이러한 구분없이 혼용되고 있다.
◈ few v. fewer v. less ◈
‘fewer’는 ‘fewer people’, ‘fewer mistakes’, ‘fewer words’ 등에서 처럼 ‘a smaller number’를 의미하며, ‘less’는 ‘less pay’에서 처럼 ‘a smaller amount of’를 의미한다.
한편, ‘comparatively few’가 옳은 표현이며, ‘a comparative few’ 또는 ‘the comparative few’는 틀린 표현이다.
◈ from v. commencing with v. after ◈
기간을 표시함에 있어서 始期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from’은 그 익일이 기산일이 된다고 해석되고 있다. 따라서 “Korean Party shall deliver the goods to American party within 21days from(after) December 1, 1996.”에서 선적 개시일은 1996년 12월 2일이 된다. 만약, 1996년 12월 1일부터 선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from and including December 1, 1996’이라고 기재하여야 한다.
반면, ‘commencing on(with)’는 그 날이 起算日이 된다. 따라서, “This Contract shall run for a period of one(1) year commencing on(with) December 1, 1996.”의 경우 계약기간은 1996년 12월 1일부터 1997년 11월 30까지이다.
‘after’는 다음에 확정일자를 기재하면 ‘from’과 동일한 의미로서 그 다음날이 기산일이 되나, ”……at any time after the effective date of this Agreement”에서와 같이 확정된 일자 대신에 어떤 사실의 발생사실을 기산점으로 규정하고 있을 경우에는 그 발생일이 始期가 된다.
한편, ‘from∼to∼’로 기간을 표시할 경우 종기로 표시된 날짜가 기간에 포함되는지 아닌지 불분명하므로, 아래 예문에서와 같이 ‘commencing with∼ending with∼’를 사용하거나 ‘including’ 또는 ‘not including’을 함께 사용하여 명확히 하는 편이 좋다.
“∼from January 1 to February 1, both days included” 또는 “∼in the period commencing with January 1 and ending with February 1”
``````````````````````````````````````````````````
제조원가명세서-SCHEDULES OF COST OF GOODS MANUFACTURED
Ⅰ. 재료비
Ⅰ. RAW MATERIALS
1. 기초재료재고액
1. Beginning materials
2. 당기재료매입액
2. Purchase of materials during the year
계
Sub-total
3. 기말재료재고액
3. Ending materials
Ⅱ. 노무비
Ⅱ. LABOR COSTS
1. 급여
1. Salaries
2. 퇴직급여
2. Retirement allowance
Ⅲ. 경비
Ⅲ. MANUFACTURING OVERHEADS
1. 전력비
1. Electricity
2. 가스수도비
2. Water and gas
3. 운임
3. Transportation
4. 감가상각비
4. Depreciation
5. 수선비
5. Repair expenses
6. 소모품비
6. Consumables
7. 세금과공과
7. Taxes and dues
8. 임차료
8. Rent
9. 보험료
9. Insurance
10. 복리후생비
10. Other employee benefits
11. 여비교통비
11. Travel expenses
12. 통신비
12. Communications
13. 특허권사용료
13. Royalties
14.·······
14.········
15. 잡비
15. Miscellaneous
Ⅳ. 당기총제조비용 Ⅳ. TOTAL MANUFACTURING COSTS FOR THE YEAR
Ⅴ. 기초재공품원가
Ⅴ. BEGINNING WORK IN PROCESS
Ⅵ. 합계
Ⅵ. TOTAL
Ⅶ. 기말재공품원가
Ⅶ. ENDING WORK IN PROCESS
Ⅷ. 유형자산(또는 타계정) 대체액
Ⅷ. TRANSFERRED TO TANGIBLE ASSETS(or OTHER ACCOUNTS)
Ⅸ. 당기제품제조원가 Ⅸ. COST OF GOODS MANUFACTURED DURING THE YEAR
기재상의 주의
1. 개별원가계산제도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당기총제조비용은 이를 직접재료비•직접노무비•제조간접비로 구분하여 기재할 수도 있다.
2. 공정별 종합원가계산제도를 채용하는 경우에는 이에 적합한 내용으로 기재한다.표준원가계산제도를 채용하는 경우에도 또한 같다.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completing the schedule
1. When adoption the job-order costing, total manufacturing costs for the year may be presented in components of direct material, direct labor and overhead manufacturing.
2. When adoption continuous process cost system, or standard cost system, schedules shall be presented proorely in accordance the with enterprise's cost accounting system.
``````````````````````````````````````````````````
계약서상의 상투어들(4)
◈ hereof ◈
‘of this writing’, ‘이 서면상의’ 또는 ‘이 계약서의’의 뜻으로 사용되며, 예를 들면, “in accordance with the provisions hereof”에서 hereof는 이 계약서를 의미한다.
◈ hereafter ◈
‘after this writing’, ‘이 서면계약서 이후에는, 동문서 이후에는’이라는 뜻의 미래를 표시하는 말이다. 그러나, 계약서 또는 문서의 체결시점 이후를 표시하는지 아니면 계약서의 발효시점 이후를 의미하는지가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면 “on and after the effective date of this contract of this writing”과 같이 가능한 한 이를 명확히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hereby ◈
다음 두 가지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① by means of this writing(이 계약서 또는 문서에 의해)
② right now by means of this writing(이 계약 또는 문서에 의해 즉시)
②의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hereafter’처럼 ‘계약 혹은 문서의 작성과 동시에’라는 의미인지 또는 ‘계약이나 문서의 발효와 동시에’라는 의미인지 애매하므로 명확하게 그 시점을 표시하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hereinafter ◈
‘after in this writing’ ‘이 계약서 또는 문서 중의 이하에 있어서’라는 의미로, 이 말이 있는 곳으로부터 그 계약서 혹은 문서의 최후까지 사이의 범위를 나타낸다.
◈ heretofore; hereunto ◈
‘before this writing’ 또는 ‘into this writing’, ‘이 계약서 또는 문서 이전에’라는 의미로서 대상이 되는 계약서 또는 문서보다 이전의 시간을 나타내는 표현이지만, 그 작성 이전을 나타내는지 아니면 그 발효시점 이전을 나타내는지 애매하므로 기준이 되는 시점을 분명하게 하는 표현, 예를 들면, “on or before the effective date of this contract”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if any ◈
‘당사자의 의사에 의하여 결정되지 않는 사항으로서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데 만약 있다면’의 의미이다. 만약 당사자의 의사에 따라서 결정될 사항이라면 이를 계약조건으로서 명백하게 표시하여야 하며, if any는 사용될 수 없다.
“The Contractor shall obtain necessary governmental approvals, if any, for the execution and performance of this Contract.”
“The Guarantor shall not be subrogated to the security, if any, taken by the Lender to secure the guaranteed obligation until all the guaranteed obligation have been fully satisfied.”
◈ if necessary ◈
‘if required, if appropriate, if deemed advisable, if deemed recommendable, if possible’ 등과 유사한 의미이며, 계약용어로서의 특별한 뜻을 갖지는 않는다. 다만, 필요성 판단의 주체가 누구인지(어느 당사자, 제3자 또는 법률규정 등) 판별될 수 있도록 규정하여야 한다.
“The Borrower agrees to obtain all licenses and permits for this Agreement, if necessary, from the relevant governmental authorities.”
“The Licensee shall take whatever precautionary measures as may be deemed appropriate to keep confidential all the know-how supplied hereunder.”
◈ include; including ◈
사전적인 뜻은 ‘……을 포함하여’이지만, 계약서상 ‘예컨대’의 의미로서 예시.열거할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Neither party shall be liable to the other for any delay in performing or failure to perform any of its obligations on account of any event which is beyond the control of the party so affected. Such events shall include force majeure, war, riot, fire, flood ……”
“……any event of force majeure including, without limitation, war, riot, fire, flood ……”
◈ insofar as ◈
‘……하는 한’의 뜻으로 당사자의 의무의 범위를 제한하는 의미로 쓰인다.
“Each party hereby agrees to indemnify and hold harmless the other party from and against any and all damages, costs, expenses or liabilities arising out of any responsibility imposed on such other party by the Main Contract insofar as the same relates to any task for which the indemnifying party is responsible.”
``````````````````````````````````````````````````
계약서上의 상투어들(5)
◈ make good ◈
상품판매계약서나 플랜트수출계약서 등의 品質保證條項(Warranty of Quality Clause) 또는 性能保證條項(Performance Guarantee Clause) 등에서 사용되는 어구로서 ‘불완전한 것을 완전하게 한다는, 즉 하자를 치유한다’는 의미이며, 완전하게 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알 수 없거나 모두 열거하는 것이 번잡할 경우에, 또는 여러 가지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If any Product sold hereunder proves to be defective in materials or workmanship, the Manufacturer shall make good such defect by promptly repairing or replacing the same.”
◈ notwithstanding ◈
‘……에도 불구하고’의 뜻. 어떤 사항에 관한 원칙적인 규정을 두고 그에 대한 단서를 규정할 경우에 사용하며, 명문의 원칙적인 규정은 없지만 계약서의 해석.적용상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당해 문언과 저촉되는 사항을 배제하기 위한 경우에도 사용된다.
“Notwithstanding the foregoing, the Buyer may make payment by means of promissory note if the payment under the note is guaranteed by a bank acceptable to the Seller or the note is endorsed by a party approved by the Seller.”
“Notwithstanding anything herein contained to the contrary, none of the parties of this Agreement may directly or indirectly sell, assign or otherwise dispose of this Agreement to any third party unless it is assigned by the operation of law.”
◈ on ◈
일정한 일자를 지칭할 때 사용한다.
“Party A shall deliver the goods to party B on April 10, 1998.”
◈ premises ◈
‘the foregoing statements’, ‘the matters hereinbefore stated’(전기의 사항, 상기의 사항)를 뜻한다. 뜻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the matters already referred to’로 표현하는 편이 좋다.
◈ recourse; with recourse; without recourse ◈
‘recource’는 제1차적 이행의무자가 이행하지 않은 경우 제2차적 의무자에게 그 이행을 청구하는 것, 즉 遡求를 말한다. 어음.수표상의 권리관계에서 약속어음 발행인, 환어음 지급인 내지 인수인, 수표의 지급인이 제시기간내에 지급제시를 받고도 지급을 거절했을 경우 또는 환어음의 인수인이 인수할 것을 요구받았는데도 인수를 거절했을 경우에, 제2차적으로 이행해야 할 사람, 즉 약속어음의 배서인, 환어음수표의 발행인 및 배서인에 대하여 어음수표금액의 지급을 청구할 수 있는데, 이런 청구를 遡求 또는 償還請求라고 한다.
◈ reserve the right ◈
권리를 부여하는 취지의 문언으로 당해 권리가 법률상 또는 계약의 다른 조항의 해석상 당연히 부여된 것인지 여부에 의문이 있는 경우에 많이 사용된다.
“The Consigner reserves the right to withdraw or reduce its consignment stock and the Consignee agrees to carry out the Consignor’s instructions to that effect without delay.”
“We request that you immediately dispatch a qualified engineer to our factory site to repair the Machine. We hereby reserve the right to enforce the Sales Contract in strict accordance therewith by terminating the Sales Contract and claiming an appropriate amount of damages, if the Machine is not repaired to our satisfaction.”
◈ right of first refusal ◈
일반적으로 ‘refusal’은 거절.거부를 뜻하지만 법률용어로는 ‘선택할 수 있는 지위’(the opportunity to accept or reject; option)를 의미한다. 따라서 ‘right of first refusal’은 優先的 選擇權 또는 우선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예를 들면, 委託販賣契約書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문언인 “The Consignee shall have the right of first refusal to buy the Consigned Commodity on its own account”는 受託者는 수탁받은 물건을 다른 사람에 우선하여 직접 매입할 권리를 갖는다는 의미이다. 이 경우 수탁자가 당해 물건을 매입하면 ‘exercise the refusal right’가 되는데, 이는 ‘선택권을 거부’한 것이 아니고 ‘선택권을 행사하여 당해 물건을 매입한 것’을 의미한다는 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If any Shareholders wishes to sell its shares in the Joint Venture Company, the other Shareholders shall have the right of first refusal to buy such shares, in the proportion that each such Shareholder’s interest in the Joint Venture Company bears to the total outstanding interests.”
``````````````````````````````````````````````````
계약서上의 상투어들(6)
◈ subject to ◈
규정하고 있는 사항이 법률이나 다른 조항의 규정내용 또는 정부의 허가나 결정 등을 조건으로 하는 경우, 그러한 것들이 당해 규정에 우선한다는 것을 표시하는 문언이다.
‘subject to’ 이하의 내용은 크게 두 종류로 구분된다. 즉, 아래의 첫번째 및 두번째 예문에서와 같이 당해 규정의 성립이나 효력발생의 조건(예컨대, 停止條件)이 되거나 성립이나 해석의 근거가 되는 경우가 그 하나이고 (이 경우 ‘governed by’나 ‘in accordance with’로 대체가능), 다른 하나는 세번째 예문과 같이 단서 내지 예외가 되는 경우이다.
“Subject to the availability of funds from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the Seller hereby agrees to sell the Machinery on a deferred payment basis as hereinafter more specifically set out.”
“Each individual contract to be made hereunder shall be always subject to the terms and conditions of this Basic Sales Agreement.”
“Subject to the provisions concerning force majeure in Article 16, the Contractor shall execute the Works in strict accordance with the Construction Schedule attached hereto.”
◈ ss ◈
라틴어의 ‘scilicet’의 약어로서, 기록(records)이나 訴狀(pleadings) 또는 陳述書(affidavits)의 ‘statement of the venue’라고 불리는 좌측상단에 표시되는 기호이며 ‘to-wit’(‘that is to say’의 의미임)라고 읽는다. 앞에서 이미 언급된 모든 사항을 함축하여 받는 문언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에는 큰 의미없이 관례적으로 사용된다.
STATE OF GEORGIA
: SS
COUNTY OF BAKER
◈ therein; thereof; thereto ◈
‘here’가 ‘this writing’인데 반하여 ‘there’는 ‘that writing’이며, 당해 계약서 이외의 문서를 가리킨다.
◈ to the extent ◈
‘……의 범위에서’, ‘……의 한도에서’의 뜻. 아래 첫번째 예문에서와 같이 보통 단서나 예외규정을 둘 경우에 사용되지만, 때로는 두번째 예문에서와 같이 원칙규정중에 사용되기도 한다.
“The Contractor may change the order in which the Work is to be performed at its own discretion to the extent such change does not affect the time of completion of Work.”(수주자는 공사의 완공에 영향을 주지 않는 한도에서 재량으로 공사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Each Member shall be liable for any damages assessed against the Consortium to the extent of his proportionate obligation provided herein with respect to the Main Contract.”의 문언은 별도의 원칙규정이 없이, 단지 참가자의 책임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 whereof ◈
‘of which’의 의미인데, 관계대명사 ‘which’의 선행사는 계약서에 있어서 그보다 앞에 오는 부분 전부이기 때문에 계약서의 종결부에는 ‘IN WITNESS WHEREOF(이상을 증명하기 위하여)’라는 형식으로 자주 사용된다.
◈ without limiting the generality of the foregoing ◈
어떠한 사항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규정하고 그 중의 일부를 예시할 경우에, ‘예시일 뿐이며 앞의 일반규정내용을 한정하는 것이 아님’을 명확히 하는 어구이다. 예를 들면, “Neither party shall be liable to the other for any delay in performing or failure to perform any of its obligations on account of any event which is beyond the control of the party so affected. Such events shall include, without limiting the generality of the foregoing, force majeure, war, riot, fire, flood ……”라는 문언은 “당사자가 지배할 수 없는 사유로 인한 채무불이행이나 이행지체는 면책되며, 그러한 사유는 불가항력, 전쟁, 폭동, 화재, 홍수……등이며 여기에서 열거한 것들은 예시이며 앞의 일반규정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라는 의미이다.
“No claim of any Member against another Member shall include indirect or consequential damages such as, but not so as to limit the generality of the foregoing, loss of profit, loss of production, exchange loss or interest loss.”
``````````````````````````````````````````````````
계약上 Contract & Agreement
■ Contract와 Agreement
1. 문제 제기
영문으로 된 국제계약중 ‘contract’ (Shipbuilding Contract, Construction Conrtact, Sales Contract)라는 표제의 계약서도 많으나, 적지 않은 계약은 ‘agreement’ (Loan Agreement, Agency Agreement, Joint Venture Agreement)로 불리우고 있어 양자가 서로 다른 법적 의미를 갖는지 여부가 문제된다.
2. Agreement
‘agreement’는 2인 또는 그 이상 수인의 당사자 사이의 意思의 合致(consensus of two or more minds in anything done or to be done) 내지 당사자 상호간의 受諾 意思의 表明(manifestation of mutual assent)을 의미한다. 즉, 우리법상의 합의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법적 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합의 내지 법적 구속력이 없는 합의까지도 포함한다.
3. Contract
- 한편, ‘contract’는 우리법상의 계약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즉, contract는 2인 이상의 당사자 사이에 어떤 作爲 또는 不作爲를 할 의무를 부담할 것을 약정하는 의사의 합치로서 특히 당사자의 일방이 합의내용을 위반하였을 경우 타방당사자가 이행의 강제나 손해배상의 청구 등 일정한 구제수단을 행사할 수 있는 합의, 즉 구속력 있는 법적관계를 발생시키는 합의를 의미한다(an agreement between two or more persons creates an obligation to do or to abstain from doing some act which is intended to give rise to enforceable legal relation).
- 이러한 contract가 유효하게 성립하기 위해서는 자격있는 당사자, 합의의 목적, 법적으로 유효한 약인 그리고 합의 및 의무의 상호성 등의 요건을 갖추어야 한다(The essentials of a contract are competent parties, subject matter, a legal consideration, mutuality of agreement and mutuality of obligation).
- 따라서, contract는 그 성립요건이 보다 엄격한 대신에 그에 따른 효과로서 법적인 강제력이 주어진다는 점에서 단순히 당사자간 의사가 일치되었음만을 나타내는 agreement와 구분된다.
4. 결론
이와 같이 엄밀히 계약법적 의미에서 양자는 차이가 있으나, 개별 계약의 명칭으로 사용되는 때에는 단순히 ‘계약’을 나타내는 동일한 뜻의 용어로서, 또는 계약서 자체를 지칭하는 용어로서 의미의 차이 없이 관례적으로 사용된다.
``````````````````````````````````````````````````
국제계약서의 형식(1)
■ 국제 계약서 형식
1. 계약서의 표제(Title of Contract)
2. 두 서(Headings)
(1) 계약체결일(Date)
(2) 당사자(Parties), 계약체결지(Place)
3. 전 문(Premises)
(1) 설명조항(Whereas clause; Recitals)
(2) 약인문구(Consideration)
4. 본 문(Operative part)
(1) 정의조항(Definition)
(2) Duration and Termination
a. 계약의 존속기간
b. 계약 해제
(3) 계약양도(Assignment)
(4) 불가항력(Force Majeure, Acts of God)
(5) 완전합의(Entire Agreement)
(6) 지불 및 세금(Payment and Tax)
① 지불(Payment)
② 세금(Tax)
(7) 준거법(Governing Law; Applicable Law)
(8) 분쟁해결(Settlement of Disputes)
① 재판관할(Jurisdiction)
② 중재(Arbitration)
(9) 통지(Notice)
(10) 송달대리인(Process Agent)
(11) 계약의 수정.변경(Amendment.Change)
5. 최종부
(1) 말미문언(Terminal Wording)
(2) 서명(Signature)
(3) 날인(Seal)
■ 국제 계약서 표제
1. 계약서의 표제(Title of Contract)
[예 문]
CONTRACT
AGREEMENT
PROMISE
____ CONTRACT
____ AGREEMENT
CONTRACT BETWEEN A AND B FOR ____
[내용설명]
Shipbuilding Contract : 선박건조계약
Supply Contract : 물품공급계약
Loan Agreement : 차관계약; 금융계약
Relending Facility Agreement : 전대자금융자협정
Joint Venture Agreement : 합작투자계약
Plant Engineering Agreement : 플랜트엔지니어링계약
Distributorship Agreement (Agency Agreement) : 판매대리점계약
Sales Agreement : 매매계약
Technical Assistance Agreement : 기술원조계약
Patent and Trademark License Agreement : 상표 및 특허사용계약
[유의사항]
국제계약서의 標題(title), 즉 題目은 계약서 작성의 편의상 계약당사자나 제3자가 국제계약 전체의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목적에서 계약종류에 따라 붙이는 것이며, 표제를 붙이지 않아도 계약서의 법적효과에는 전혀 영향이 없다.
``````````````````````````````````````````````````
중요한 회계처리(2)
(1) 주식회사오뚜기상사발행주식500주(액면@5,000)를 1주당 6,000에 매입하고, 대금은 매입수수료 150,000과 함께 수표발행하여 지급하다.
차변(Dr.)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 3,150,000
대변(Cr.) 당좌예금(current deposits, checking acount, checking account deposits, checking deposits, deposit in current account) 3,150,000
(2) 위의 주식 300주를 1주당 \7,000에 처분하고, 수수료 \30,000을 차감한잔액은 현금으로 받아 즉시 당좌예금하다.
차변(Dr.) 당좌예금(current deposits, checking acount, checking account deposits, checking deposits, deposit in current account) 2,070,000
대변(Cr.)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 1,890,000
유가증권처분이익(gain on the sale of securities) 180,000
(3) 기말 결산시 위의 잔여주식 200주를 공정가액 @\6,000으로 평가하다.
차변(Dr.) 유가증권 평가손실(loss from securities revaluation, loss from valuation of securities, loss from write-down of securities) 60,000
대변(Cr.)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 60,000
**************AICPA수험생이 알아야할 중요 회계원칙****************
*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 일시(emergency, extra, extraordinary, incidental, casual, temporary)적 소유(possessions)의 목적으로 구입한 시장성(marketability)이 있는 주식(corporate stock, share, share of stock, stock), 사채(bond, bond payable, bonds and mortgage, corporate bond, corporate debenture), 공채(public bond), 국채(government securities, national bond, treasury bill) 등을 말한다.
*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을 구입(purchase)시 수수료(commission, factorage, fee, percentage)는 유가증권에 포함하여, 처분(disposition, liquidation)시 수수료(commission, factorage, fee, percentage)는 유가증권 처분이익(손실)(gain[loss] on the sale of securities)에 가감한다.
* 끝수이자(경과이자, 단수이자)-->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의 매매(dealing)가 이루어졌을 때 최종이자(interest) 지급일(date of payment * 지급이자interest expense)로부터 매매일(date of dealing) 까지의 이자(interest)를 말하며, 매매가격(price of dealing)과는 상관없이 별도로 이자수익계정(interest revenue account)으로 처리한다(process).
a) 대여유가증권(security lent to others)-->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을 빌려준 것
b) 차입유가증권(borrowed security)-->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을 빌려온 것
c) 예치유가증권(received security)-->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을 담보(collateral, pledge)로 제공한 것
d) 예수유가증권(security received as deposit[collaterals])--> 유가증권(negotiable instruments, negotiable securities, securities, valuable papers)을 담보(collateral, pledge)로 맡아둔 것
* 대여유가증권(security lent to others), 차입유가증권(borrowed security), 예치유가증권(received security), 예수유가증권(security received as deposit[collaterals]), 보관유가증권(securities deposited from others, securities in custody)은 회계상(in accounting) 거래(bargain, transaction, dealing trade)가 아니며, 비망기록(memorandum, tickler)하기 때문에 대차대조표(B/S, financial position statement, statement of condition, statement of resources and liabilities)에는 기입(recording)하지 않는다.
@ 미국의 회계학(특히, 국제회계)을 공부를 할 때, 처음으로 당혹감을 느끼는 것은 바로 회계용어들이다. 회계용어가 혼동될 뿐만 아니라 어떤 뜻인지도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 일단 수험생들은 중요하고 기본이되는 회계원칙들을 영어로 바꾸는 과정을 반복해야 한다. 회계전문영어의 기초가 형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