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한일 자유무역협정과 더불어, 사이버 수사의 필요성은 안보 문제 뿐만이아니라 일상생활의 프라이버시 침해문제, 명예훼손 문제등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습니다.
미국의 자유무역협정의 주도기관은 무역대표부(USTR)이며, 우리가 잘 알고있는 FRB(미연방준비은행)는 그 산하기관입니다.
따라서, 갈수록 USTR의 세력이 성장하고있는데요.
우리나라도, 통상분야의 성장을 위해서, 무엇보다도 사이버 수사의 능력이 발전되어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자신용장, 인터넷 무역, 사이버 무역, 인터넷 뱅킹, 전자화폐, 다단계 판매시장, 심지어는 경매사이트, 기부문화 등 다양한 금융의 흐름이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사이버 수사는 정보보안을 잘 이해하고, 적절한 전문용어 구사력과 상당히 숙련된 기술력 뿐만이 아니라 어학실력도 요구되고 있죠
어쩌면, 우수한 사이버 수사인력의 확보가 국가의 성장에 큰 인자로 작용하게 될 날도 머지 않은 것 같은데요.
신용사회에 있어서, 사이버범죄는 감당할 수 없는 경제성장의 저해요소니까요.
앞으로, 법원인력중에서도 카이스트 출신 판사, 검사가 많이 나와야할 것입니다.
미국식 로스쿨 도입은 긍정적 대응책이라 생각됩니다.
우수한 과학기술인력이 로스쿨을 진학하여, 기술범죄를 예방하고, 수사하는데 투입된다면, 가장 큰 국가경쟁력이 될 것입니다.
김지현회계법률번역은 과학대국 코리아를 희망하며, 안보수사용어를 게재합니다.
조금 거창하죠^^
가장(假裝)
----------------------------------------
비밀공작에 관계되는 인원, 시설, 조직, 물자, 활동 등 모든 사항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꾸민 내·외적인 모든 형태를 의미. 따라서 외부의 관측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위장보다 광의의 개념이며 자연가장, 인공가장, 신분가장, 행동가장 등의 유형으로 구분.
가장구실(假裝口實)
----------------------------------------
공작활동에 있어서 외관상 행동이나 신분 등에 관하여 가장을 입증할 수 있는 합리적인 진술을 의미. 실제의 경력이나 배경에 가깝게 꾸밈.
간첩통신(間諜通信)
----------------------------------------
간첩이 송수신 기기를 이용하여 북한의 공작기지로부터 지령을 받거나 보고하는 연락수단.
거동수상자(擧動殊常者)
----------------------------------------
주위사정이나 환경에 맞지않는 수상한 행동을 하는 자, 약칭 거수자라고 함.
거점(據點)
----------------------------------------
비밀공작이나 그밖의 어떤 활동의 근거가 되는 장소로서 근거지와 동의어로 사용.
※ 본래는 군사용어로서 공격부대의 전투를 지탱하는 중요한 지점 또는 적에 대한 공격의 실행이나 전선의
전개가 용이한 요지를 말함.
검열간첩(檢閱間諜)
----------------------------------------
남한내 또는 해외거점 등에서 암약중인 간첩의 활동상황 파악과 새로운 임무 부여, 공작금 전달 및 변절여부
등을 점검하기 위하여 활동하는 북한간첩.
고리
----------------------------------------
본래는 쇠붙이로 만든 환상의 물건을 말하지만, 공산당은 이를 역할 (근본원인, 요소)이라는 뜻으로 사용했으며
레닌(Nikolai Lenin:1870년 4월 ~ 1924년 1월)이 처음으로 사용.
공작(Clandestine Operation)
----------------------------------------
비밀공작의 약칭이며 정보기관이 비밀리에 수행하는 제반활동으로서 첩보수집공작·방첩공작·심리전공작
등으로 구분.
공작관(C/O: Case Officer)
----------------------------------------
비밀공작을 계획, 실행하거나 공작원을 채용하여 운용하는 정보관(Intelligence Officer).
공작모선(工作母船)
----------------------------------------
간첩의 호송을 전담하는 북한의 무장선박 (통상 60∼70톤급)으로 선미내에 해안침투용 소형선
박 ('자선'이라 칭하며 통상 5∼10톤급)을 수용 할 수 있는 장치가 있음. 공작모선은 목표해안
에 근접한 공해상에서 공작자선을 분리(하선)하여 목표해안에 침투시킨 후 복귀시까지 공해상
에서 정박 대기하나 자선으로부터 위험신호를 받으면 즉시 도주함.
공작원(Agent)
----------------------------------------
공작관의 통제하에 비밀을 탐지하거나 기타 부여받는 과업을 수행하는 자.
귀순자(歸順者)
----------------------------------------
반국가단체의 지배하에 있는 북한지역을 탈출하여 대한민국에 귀순한 자.
국가기밀(National Secrets)
----------------------------------------
국가차원의 정치·경제·군사 등 각 분야에 관한 기밀로서 누설될 경우 국가안전보장에 유해로운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 것.
국가보안(National Security)
----------------------------------------
국가안전보장과 관련한 인원·문서·시설·자재 및 지역을 각종 위해요소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예방활동.
국가정보목표우선순위(PNIO)
----------------------------------------
일정기간 (통상 1년)에 걸쳐 국가가 지향해야 할 정보활동 목표에 대하여 우선순위을 정해 놓은 것으로서
국가의 전 정보기관이 계획하고 수행해야 할 정보활동의 기본지침.
국내정보
----------------------------------------
자국내의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로서 국내보안정보와 국내정책정보로 구분.
【국내보안정보】 국내에서 활동하는 간첩·테러분자 및 기타 반국가 활동세력과 그 추종분자
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
【국내정책정보】국가발전 및 국민복지정책을 위한 국내의 정치·경제·사회·과학기술 등 제 분
야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
국외정보(Foreign Intelligence)
----------------------------------------
국외의 모든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로서 국외보안정보와 국외정책정보로 구분.
【국외보안정보】 아국 및 아국민의 안전에 위해가 되는 외국의 테러·간첩·선동·태업 등을 대상으로 하는 정보
【국외정책정보】 아국의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외국의 정치·경제·사회·과학기술 등 제 분야를 대상으로 하는
정보.
기본정보(Basic Intelligence)
----------------------------------------
모든 분야의 일반적이며 기초적인 사항을 기술한 정보로서 현용정보 (Current Intelligence), 판단정보
(Speculative evaluative Intelligence)와 함께 정보의 생산방법을 기준으로 한 구분.
기술정보
----------------------------------------
고도의 과학기술장비를 이용한 첩보수집활동으로서 사람이 직접 수집하는 인간정보
(HUMINT : Human Intelligence)에 대칭되는 개념. 영상정보 (IMINT:Imagery Intelligence)
와 신호정보 (SIGINT:Signal Intelligence) 로 대별되며, 신호정보는 통신정보(COMINT:
Communication Intelligence), 전자정보(ELINT:Electronic Intelligence) 등으로 구분.
난수표(亂數表)
----------------------------------------
간첩이 북한으로부터 지령을 받아 해독하거나, 자신의 활동결과를 보고하기 위하여 암호문을
작성할때 사용하는 5열(주로 노동당 연락부 소속 간첩 사용) 또는 6열(주로 인민무력부 소속
간첩 사용)로 된 다섯자리 숫자표시로서, 수신용(해독)과 발신용(보고)의 두가지가 있음. 남파
간첩은 통상 자신이 사용할 난수표와 포섭된 자에게 줄 난수표 등 2조를 소지.
드보크(DUBOK)→무인포스트(無人POST)
----------------------------------------
최근 북한에서 각종 공작금품을 전달하는 연락수단으로 적극 활용 직접 사람을 만나지 않고
자연물을 이용하여 지령문건이나 대북 보고문건, 공작금, 무기류 등 공작장비를 숨겨 놓은 뒤
필요시 발굴해 사용할 수 있도록 마련해둔 장소로 일명 '무인포스트' 또는 '무인함'이라고도
함.
디브리핑(Debriefing)
----------------------------------------
귀환한 공작원으로부터 공작활동의 결과 및 임무수행 내용을 보고 받는 것.
밀봉교육(密封敎育)
----------------------------------------
북한이 남파공작을 위하여 초대소에서 외부와 격리하에 실시하는 실무교육.
방첩(Counter Intelligence)
----------------------------------------
외국정보기관의 통제를 받는 세력 또는 추종분자가 첩보수집·전복·테러·태업 등 반국가활동을
전개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정보활동.
보안정보(Security Intelligence)
----------------------------------------
국가의 안전보장에 위해가 되는 간첩 기타 반국가활동 세력과 그 추종분자의 행위에 대비하기
위한 정보로서 정책정보에 대칭되는 개념.
부문정보(Departmental Intelligence)
----------------------------------------
정부 각 부처에서 부문정책을 수립·집행하는데 기초가 되는 정보로서 국가정보 (National
Intelligence)에 대칭되는 개념.
비밀(Secret)
----------------------------------------
국가기밀을 중요성과 가치의 정도에 따라 각급기관에서 분류한 것으로서 통상 Ⅰ·Ⅱ·Ⅲ급 (Top
Secret ·Secret ·Confidential) 등으로 구분.
시사정보(Current Reportorial Intelligence)
----------------------------------------
어떤 사실의 일부 또는 전부가 표면화 되어 시사성을 띠게 된 사건에 관한 정보로서 현용정보
(Current Intelligence)의 한 분야.
※ 현용정보와 혼용되기도 하나 현재 진행중인 사항이라도 시사성을 띠지 않으면 시사정보의
대상이 아님.
안착신호(安着信號)
----------------------------------------
공작원이 공작대상지역에 침투후 안전하게 침투한 사실을 공작기지에 보고하는 신호.
역용공작(逆用工作)
----------------------------------------
국내·외에서 자수 또는 체포된 간첩을 역이용하여 그 관련자 또는 배후조직을 탐지 색출하거나
상부선을 유인, 섬멸하기 위하여 행하는 비밀공작.
영상정보(IMINT: Imagery Intelligence)
----------------------------------------
영상장비 즉 사진기·적외선사진기 및 레이다 영상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첩보를 수집하는
정보활동으로서 기술정보의 한 분야.
외사정보(Foreign Affairs Intelligence)
----------------------------------------
국내에 주재하는 외국인·외국기관 및 해외에 거류하는 교포 입국자의 반국가활동으로부터 국가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정보.
※ 광의로는 자국영역내에 있는 외래자들로부터 수집하는 국제테러조직, 외국의 대한정책사항 등
일체의 정보를 포함.
우회침투간첩(迂廻浸透間諜)
----------------------------------------
북한에서 직접선발·교육·훈련된 간첩이 여권을 위조, 제 3국을 통하여 국내에 침투하는 경우와
북한이 미주·동남아 등 세계 각지역에 설치한 공작거점에서 한국을 왕래하는 내·외국인을 포섭,
간첩교육후 국내에 침투시키는 두가지 형태.
유인포스트(有人POST)
----------------------------------------
간첩의 연락방법의 하나로 상·하부선의 연락을 매개하여 주는 제3자인 중간연락자.
인간정보(HUMINT: Human Intelligence)
----------------------------------------
사람이 직접 첩보를 수집하는 활동으로서 기술정보 (Technical Intelligence)에 대칭되는 개
념.
인식신호(認識信號)
----------------------------------------
처음 만나는 공작원들이 서로를 식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신호. 통상 사전에 특정한 동작, 태도,
인상착의, 소지품 등으로 약속함.
정책정보(Policy Intelligence)
----------------------------------------
국가의 이익증대 및 국가안전보장을 위한 정책의 수립과 집행을 위한 정보로서 보안정보
(Security Intelligence)에 대칭되는 개념.
※ 보안정보 이외의 정보는 모두 이에 속하며, 적극정보(Positive Intelligence)라고도 함.
중심고리(中心고리)
----------------------------------------
연계의 체계 가운데서 어느 한 고리가 해결되면 그에 따라서 다른 고리들도 쉽게 해결되게 할 수
있는 중요하고도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고리. 북한에서 통용되는 공작용어임.
지하당공작(地下黨工作)
----------------------------------------
남파된 간첩을 통하여 지하핵심지도부를 구축하였다가 결정적 시기에 혁명의 매개체로 이용하기
위한 북한노동당 지하조직공작.
전자정보(Elint: Electronic Intelligence)
----------------------------------------
통신목적이 아닌 전자파를 포착하여 수집하는 정보 활동으로서 기술정보 (Technical
Intelligence)의 한 분야.
※ 전자전(Electronic Warfare)에서는 전자전지원책(ESM: Electronic Warfare Support
Measures)이라고 하며 레이다·미사일 등 무기와 장비의 위치·성능 등의 식별을 목표로 함.
정보관(I/O: Intelligence Officer)
----------------------------------------
정보전문직종에 종사하는 공무원으로서, 수집관 (Collector)·분석관 (Analyst)·공작관 (Case
Officer 또는 Operator) 등으로 구분.
정보분석(Intelligence Analysis)
----------------------------------------
부여된 정보과제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연구 검토하여 해석하는 작업으로서
정보생산의 한 과정.
※ 정보의 생산과정은 정보요구·자료수집·정보작성·정보배포 등 4단계로 이루어짐.
정보생산(Production of Intelligence)
----------------------------------------
정보를 생산하여 사용자에게 배포하는 과정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정보요구·자료수집·정보작성·정보배포 등 4개 단계로 수행.
※ 정보생산의 각 단계는 상호 밀접히 연관되어 연속적으로 수행되므로 정보순환 (Intelligence
Cycle)이라고도 함.
정보요구(Requirement of Intelligence)
----------------------------------------
정보사용자 (Consumer of Intelligence)가 지시 또는 협조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정보기관에
요청하는 것으로서 정보생산과정의 첫 단계. 정보기획 (Intelligence Planning)이라고도 함.
정보활동(Intelligence Activity)
----------------------------------------
정보기관이 수행하는 활동으로서 정보생산·첩보수집·방첩 및 대정부전복·비밀공작활동 등을
포함.
첩보(Information)
----------------------------------------
비공개적인 방법에 의하여 수집되는 평가·해석되지 않은 정보자료.
※ 확인되지 않은 자료이기 때문에 부정확하고 단편적이며 허위일 때도 있음.
출처(Source)
----------------------------------------
첩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자료의 보유원천 또는 중간경로.
※ 인물·문서·물건 등이 출처가 되며 비밀로 보호해줄 필요성의 여부에 따라 공개출처와
비밀출처로 구분됨.
태업공작(怠業工作)
----------------------------------------
비우호적인 국가나 집단을 반대하여 어떤 시설, 물자, 생산공정, 자연 자원 등을 일시적 또는
항구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적극적인 적대행동을 기도하는 공작형태.
통신보안(Communication Security)
----------------------------------------
국가기밀이 통신수단에 의해 전달되는 과정에서 직·간접적으로 누설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
하기 위한 제반 대책.
통신정보(COMINT:Communication Intelligence)
----------------------------------------
일반통신 및 비밀통신을 감청하여 정보자료를 수집하는 활동으로서 기술정보 (Technical
Intelligence)의 한 분야.
통일전선공작(統一戰線工作)
----------------------------------------
반혁명세력 타도를 목표로 남한내 각계각층의 조직 단체들과 긴밀히 연결시키는 북한의
조직공작으로 공산주의 3단계 혁명이론의 제1단계에 해당되는 전술형태.
특별첩보수집 요청(SRI: Special Requirement for Information)
----------------------------------------
첩보수집부서에 대하여 특정첩보를 제한된 기일까지 수집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것.
판단정보(Speculative evaluative Intelligence)
----------------------------------------
특정문제를 체계적이고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미래에 있을 어떤 상태를 예측, 판단한 정보로서
기본정보 (Basic Intelligence), 현용정보 (Current Intelligence)와 함께 정보의 생산 방법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
합동신문(合同訊問)
----------------------------------------
북한간첩, 귀순자 등에 대한 신문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관계기관으로 구성된
합동신문조에 의한 정보 추출 및 분석판단을 위한 신문활동.
현용정보(Current Intelligence)
----------------------------------------
모든 사건과 현상의 동태를 현재의 시점에서 설명한 정보로서 기본정보 (Basic Intelligence),
판단정보 (Speculative evaluative Intelligence)와 함께 정보의 생산방법을 기준으로 분류한 것.
※ 정보사용자에게 그때 그때의 정세 및 동향을 알리기 위한 정보이며 시사정보 (Current
Reportorial Intelligence)를 포함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