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근 트럼프 언행 보고 강경 모드로 전환"
WSJ "美 금리인하 압박·中에 친근감 표시를 타협 의지로 해석"
어떻게 보면 어이없네요.
트럼프도 사업가이고, 더구나 부동산 사업가입니다.
이런 어처구니 없는 실수를 하다니...
일이란 협상의 적절한 때를 잘 살펴야 되는걸
시진핑 답지 않습니다.
그의 부친 시중쉰과 더불어 제갈량처럼 전략적인 시진핑이가 이런 실수를 하다니...
뭐든지 두가지로 접근해야 합니다.
그래야 상황이 바뀌어도 계속 승리로 이끌 수 있으니까요.
우리나라 영화인 '연개소문'을 보십시오.
적을 방심하게 하지만 결국 뒷통수를 쳐서 극소수의 군사와 기아의 허덕임에도 전쟁을 승리로 이끌죠.
그것은 착각하라는 얘기죠.
중국이 미국과 무역협상에서 이전보다 강경한 자세를 보이는 것은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언행을 미국 측의 타협 의지로 해석했기 때문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국 측 생각을 잘 아는 소식통들의 말을 인용해 중국이 이런 판단으로 담대해졌으며 협상에서 더 공격적인 태도를 취하기로 결정했다고 전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에게 기준금리 인하를 압박한 것이 중국의 판단 근거 중 하나가 된 것으로 전해졌다.
금리 인하 압박은 중국으로선 트럼프 대통령이 실제로 미 경제를 더 취약하게 본다는 증거로 비쳤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의 친교를 빈번하게 언급하고 미국산 대두 수입 확대 약속을 놓고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를 칭찬한 것도 중국을 더 고무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말 자신의 트위터에 "중국은 금리를 낮게 유지하는 동시에 자국 경제에 큰 자극을 주고 있다"며 "우리 연준은 끊임없이 금리를 인상했다"고 주장했다.
중국 경제성장률이 최악을 피해 6.4%로 비교적 안정됐고 중국이 지난달 일대일로 포럼에 40개국 정상을 불러모은 것도 중국의 자신감을 키운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지난주 베이징에서 열린 고위급 무역협상 이후 미국은 10일부터 2천억 달러 규모의 중국산 수입품에 적용하는 관세율을 10%에서 25%로 올리겠다고 위협했으며 중국은 관세 인상 강행 시 보복하겠다고 공언했다.
로이터통신은 앞서 중국이 미국과 무역 합의 초안을 대대적으로 번복했고 합의 이행 법제화와 같은 핵심 내용을 대부분 뒤집었다고 보도했다.
류 부총리가 이끄는 중국 무역 대표단은 9일 워싱턴을 찾아 미국과 이틀간 고위급 무역협상을 재개한다.
/연합뉴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에 3조원 투자' 신동빈 롯데 회장, 백악관 방문 예정 (0) | 2019.05.11 |
---|---|
결론 못 낸 미중, 내일 재협상 돌입..협상 장기화 관측 (0) | 2019.05.10 |
돼지열병 이어 이번엔 애벌레... 식량난 비상 걸린 중국 (0) | 2019.05.09 |
"미중 무역협상 타결 확률 80%"-JP모건 CEO (0) | 2019.05.09 |
미•중 무역 합의 불발 땐, 금리 인하 압박 (0) | 2019.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