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투데이 김신회 기자] ["정치적 불확실성 탓"…가격상승, 인플레 헤지 수요도 금 투자 부추겨]
중앙은행을 비롯한 공공 부문 투자자들이 보유한 금이 18년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브렉시트) 결정, 도널드 트럼프의 미국 대선 승리 등에 따른 불확실성에 안전자산인 금 수요가 급증했다.
공적통화금융기구포럼(OMFIF)에 따르면 전 세계 중앙은행, 공적연금, 국부펀드 등 33조5000억달러의 자산을 운용하는 공공 부문 750곳이 순보유한 금은 지난해 377t 늘어난 3만1000t으로 추산됐다. 1999년 이후 가장 많은 양이다.
사진=블룸버그
다나에 키리아코풀루 OMFIF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공공 투자자들이 금에 몰린 건 금이 안전자산인 데다 가격 상승 기회를 잡기 위한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1년간 정치적 불확실성이 컸다"며 "브렉시트와 트럼프라는 큰 정치적 충격이 투자자들을 금으로 복귀하게 했다"고 말했다.
금값은 지난해 6월 영국의 브렉시트 국민투표와 같은 해 11월 미국 대선 이후 급등세를 보였다.
알리스테어 휴잇 세계금협회(WGC) 시장정보 책임자는 공공 부문 투자자들이 금 매입을 늘린 건 달러 강세에 따른 헤지(위험회피) 수요 때문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주요 6개 통화대비 달러 값을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지난해 6월 브렉시트 국민투표 이후 같은 해 말까지 10% 넘게 올랐다.
휴잇은 상당수 신흥국 중앙은행이 달러를 대거 보유하고 있는데 이들이 달러 강세를 맞아 보유 외환의 달러 집중도를 낮추기 위해 금을 매입했다고 설명했다. OMFIF에 따르면 신흥시장에서는 지난해 중국, 러시아, 카자흐스탄 중앙은행의 금 매수세가 돋보였다.
영국 자산운용사 에르메스인베스트먼트매니지먼트의 세이커 누세이베 CEO(최고경영자)는 인플레이션 헤지 수요도 금 매수를 부추겼다고 봤다. 물가상승을 의미하는 인플레이션은 화폐가치의 하락을 의미한다. 화폐 가치가 떨어져도 실물자산인 금의 가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금은 대표적인 인플레이션 헤지 투자처로 꼽힌다.
OMFIF에 따르면 세계 경제 성장 전망은 올해 안정적이지만 공공 부문 투자자들은 여전히 정치적 불확실성을 경계하고 있다. 금 수요 증가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말이다. 트럼프를 위기로 몰아넣은 러시아 스캔들, 테리사 메이 영국 총리의 조기총선 도박 실패에 따른 브렉시트 향방의 불확실성 등이 악재로 꼽힌다. 전 세계 중앙은행과 공적연금, 국부펀드들은 OMFIF의 조사에서 향후 1년 동안의 가장 큰 걱정거리로 지정학적 리스크를 지목했다.
또한 이들은 향후 2년간 부동산이나 재생에너지 등 실물자산 투자를 늘리는 식으로 수익을 추구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750개 공공 투자자가 운용하는 자산은 지난해 1.3% 늘었다. 공적연금의 투자수익이 전체 자산 증가세를 주도했다.
김신회 기자 raskol@mt.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연준, '99.6% 가능성' 금리인상 이후의 스탭은? (0) | 2017.06.14 |
---|---|
'월가의 황소' JP모건 "골디락스 증시테마로 갈아타라" (0) | 2017.06.13 |
美 셰일오일의 힘 (0) | 2017.06.09 |
英총선·ECB 통화정책 회의 하루 앞..소폭 하락 (0) | 2017.06.08 |
증시는 울고, 안전자산은 웃고 (0) | 2017.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