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루니, 안전자산 아니다"..캐나다 경제 '구조적 하강'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6. 3. 24. 07:04

뉴스1 | 박병우 기자 | 2016.03.24 06:49

 

오타와의 캐나다 의회 © AFP=뉴스1

 

(서울=뉴스1) 박병우 기자 = 캐나다 경제가 단순한 경기순환적 부진에서 점차 구조적인 하강으로 악화될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23일 경제전문가 스켄(Skene)은 롬바르드에 기고한 칼럼을 통해 캐나다 경제에 대해 '환율전쟁에 뛰어든 중앙은행(BOC)과 치솟는 재정적자 등 부정적 요인이 확대되고 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따라서 캐나다달러를 안전자산으로 인식했던 투자자들은 다른 곳을 찾은 게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스켄에 따르면 캐나다의 지난해 실질GDP 성장률은 0.5%로 2014년의 2.4%에서 주저앉았다. 교역조건, 수익성, 실질 투자 등 경기 순환적 요인들이 부진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 5개 분기 동안 교역조건은 9% 악화되고 수익성은 30% 줄었다.

 

고점대비 25% 떨어진 캐나다달러는 수입자본재 가격을 크게 높여 기업이익에 부담을 주었다. 환율과 실질 투자간 상관계수(0.89)를 감안하면 지난해 기업 투자율 감소는 당연하다고 스켄은 설명했다. 또한 중앙은행의 목표범위(1~3%)내에서 통제된 물가도 시간당 임금이 연율 3% 가량 증가하면서 위협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1% 수준에 막혀 금융위기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는 노동생산성의 부진은 경제의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스켄은 밝혔다.

 

지난해초 금리인하로 캐나다-미국의 2년물 금리차이가 역전, 미국 달러에 대한 캐나다달러의 가치가 떨어졌다. 환율(CAD/USD) 하락으로 교역조건에 도움을 주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는 소비와 자본지출에서 대가를 치르고 있다고 스켄은 평가했다. 최근 캐나다달러가 75에서 79까지 반등했으나 기업투자를 유도할 만큼 충분한 절상은 아닌 것으로 진단했다.

 

스켄은 또 “관료주의적 속성이 강해지면서 자원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승인기간이 길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원유 송유관 기업인 엔브리지사가 기존 설비를 활용해 송유 경로를 변경하기 위한 사업도 정부의 허가를 받기까지 무려 4년이 걸렸다.

 

스켄은 “낭비성 지출을 막기 위한 중앙은행과 정부의 공조 체계는 더 이상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중앙은행은 환율전쟁에 신경쓰느라 여유가 없고 미숙한 정부는 남발한 선거공약을 지키기 위해 비용을 따지지 않고 집행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설비투자 감소나 실업률 상승 등 문제점을 고치지 못하고 있다고 스켄은 밝혔다. 그 와중에 재정적자의 수위는 나선형 상승세를 그리며 높아지고 있다.

 

인프라 투자시 경제보다 정치적 결정이 개입되면서 설비투자 회복이 시급한 캐나다 경제는 단순한 주기적 부진을 벗어나 구조적 하강으로 변형될 수 있다고 스켄은 주장했다.

 

parkb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