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 송경재 | 2016.01.15 06:45
자동차, 금융에 이어 이번에는 미국 석유산업이 구제금융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CNN머니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텍사스, 오클라호마, 노스다코타주 등 석유산업 의존도가 높은 주의 경제가 위험 수준으로 치닫고 있고, 미 석유산업이 붕괴하며 결국 외국 석유에 대한 의존도가 크게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그 배경이다.
지난해 석유·천연가스 산업에서 사라진 일자리는 13만개에 이르고, 파산을 신청한 석유업체도 42 곳이나 된다. 텍사스 등 석유 의존도가 높은 3개주의 주택 압류 건수도 급증하고 있다.
유가 폭락으로 석유산업이 휘청거리면서 고용과 지역경제가 크게 타격을 입고 있어 연방정부의 구제금융이 설득력이 있다는 것이다.
호라이즌 인베스트먼츠의 수석전략가 그레그 밸리어는 이날 분석메모에서 미 석유산업이 붕괴하면 에너지 주권을 상실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주유소에 웃으며 기름 넣으러 가는 동안 우리는 석유수출국기구(OPEC)와 외국 석유에 대한 예종의 길로 깊숙이 빠져들게 된다"면서 "워싱턴이 대형은행들과 자동차 산업을 구제할 수 있다면 석유회사들은 왜 안되는가"라고 반문했다.
정치권에서는 리사 머코스키(공화·알래스카) 상원 의원과 프레드 업튼(공화·미시건) 하원의원이 만나 에너지 산업 지원 입법을 위한 논의에 나서기로 했다.
이들은 천연가스 수출 , 환경규제 완화 등을 통해 초과공급을 일부 해소하고, 생산단가를 낮춰주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유명 석유애널리스트인 존 킬더프 어게인 캐피털 창업자는 최근 CNBC 기고문에서 "너무 늦기 전에 SOS(조난신호)를 보낼 때"라면서 셰일석유 산업을 구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킬더프는 기고문에서 과감한 지원방안을 내놨다.
우선 석유업체들이 생산을 중단하면 이를 보상해 주는 것이다. 초과공급을 일부 완화할 수 있다.
이들이 기존 유정을 보존할 수 있도록 금융지원을 해 줘 유가가 다시 뛸 경우에 즉각 생산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도 제시됐다.
또 석유산업이 추락하지 않도록 채무지급 보증을 해주고, 석유업체 구조조정을 위한 파산규정 개정도 검토해야 한다고 그는 주장했다.
이와함께 연방정부가 시추공은 뚫렸지만 아직 생산 설비 완공은 되지 않은 유정들을 사들일 수 있도록 관련 법령도 개정해야 한다고 킬더프는 말했다.
그러나 석유산업에 대한 구제금융이 실제 현실화할 가능성은 지금으로서는 낮다고 CNN 머니는 전했다.
우선 대다수 미국인들이 반감을 갖고 있는데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12일 시정연설에서 석유산업을 '더러운 에너지'라고 지칭하는 등 행정부가 쉽사리 움직이기 어려운 상황이다.
환경·시민단체들의 반발이 불보듯 뻔하다.
로펌 두웨인 모리스의 에너지 담당 파트너 셰일라 홀리스는 의회와 행정부가 에너지 산업 구제에 나서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설득력이 있다"면서도 "그러나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반대 여론을 견뎌낼) 아주 튼튼한 방탄복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작 지원을 받게 될 석유업체들도 '터무니 없는 소리'라고 일축하고 있다.
아메리카 석유협회(API) 홍보 관계자는 이같은 논의는 금시초문이라고 말했고, 수천개 독립 석유업체 모임인 아메라키 독립 석유협회(IPAA)도 정부 지원에는 관심이 없다고 밝혔다.
휴스턴 로펌 헤인스앤드분의 버디 클라크 파트너는 텍사스 같은 지역은 독립성향이 매우 강하다면서 연방정부 지원 자체를 거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킬더프는 그 절충안으로 석유산업 출신 실업자들에 대한 실업수당 제도를 개선하거나 이들을 정부가 일시적으로 고용해 유전지대를 관리토록 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다.
dympna@fnnews.com 송경재 기자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인트루이스 연준 총재 "길어지는 저유가 우려" (0) | 2016.01.15 |
---|---|
亞 옮겨붙은 IS 테러.."안전지대 아니다" (0) | 2016.01.15 |
중국-인도 경제 흔들흔들..세계 양대 성장엔진 꺼지나 (0) | 2016.01.14 |
오바마 "부자들 배만 불렀다..중산층 살아야 (0) | 2016.01.14 |
오바마 "美 경제, 현재 세계서 가장 튼튼하고 견고" (0) | 2016.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