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가 높아지면, 이자로 살아가는 은퇴자들, 100만원 미만의 저소득층들은 정말 어렵습니다.
즉, 복지가 구멍이 난다는 것이죠.
그렇다고 가계부채 1000조 시대에 물가를 고려해서, 금리를 높이는 것도 그렇고...
정말 진퇴양난입니다.
일단 국가에서, 고금리 대출자를 저금리로 갈아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겠구요.
집을 경매로 넘기기 보다, 우리은행처럼 일단 사주고, 나중에 신탁하는 것으로 해서, 숨통을 트여야겠습니다.
어쨌든, 물가를 안정시키려면, 일단 밥상 물가부터 적극적으로 안정시켜야되겠는데요.
공판장을 전국에 많이 만들어서, 농민들 주머니도 불리고, 우리 저소득층의 밥상도 푸짐해졌으면 좋겠습니다.
공판장이 전국에 많아지면, 시장 상인들이 중간단계없이, 저렴하게 사갔고 와서 저렴하게 팔겠죠.
저는 유모차가 비싼 것은 몇백만원씩 한다는 것에 정말 놀랐어요.
제 외조카를 키울때 그러니까 10년 전만해도, 유모차 쓸만한 것이 10만원대 였거든요.
유모차는 필수품인데
이런 것들부터 물가를 잡아야하겠습니다.
비싸도 너~무 비싸요 -_-
분유값도 내년에 가뭄으로 인해 사료값 상승으로 오른다고하는데...
이제는 정부가 분유값도 지원해야겠네요
에휴~
저소득층 물가상승, 고소득층보다 더 혹독했다
식료품비 비중 높은 서민이 물가상승에 더 취약
연합뉴스 | 입력 2012.11.25 04:57 | 수정 2012.11.25 05:59
내 블로그로 내 카페로 고객센터 이동 식료품비 비중 높은 서민이 물가상승에 더 취약
(서울=연합뉴스) 이강원 방현덕 기자 = 최근 수년간 저소득층의 물가가 고소득층보다 더 가혹하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수준에 따라 소비구조가 확연히 달라 계층별로 감내해야 할 물가부담의 정도가 크게 다르기 때문이다.
25일 통계청의 가계지출과 소비자물가상승률 자료를 토대로 소득분위별 물가상승률을 분석한 결과, 올해 3분기 소득 하위 20% 계층(저소득층)의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2.4% 올랐다.
반면에 소득 상위 20% 계층(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은 1.5% 오르는데 그쳤다.
이처럼 실제 물가상승률이 소득분위별로 편차가 심한 것은 해마다 예외가 없었다.
우선 2009년을 보면 고소득층의 물가는 전년 동기 대비 3.3% 올랐던데 비해 저소득층은 -1.5%를 기록했다.
그러나 2010년에는 전년 동기 대비 저소득층의 물가가 7.5% 치솟은 반면에 고소득층은 3.7% 오르는데 그쳤다.
특히 2011년 들어서는 저소득층의 물가상승률(6.5%)과 고소득층의 상승률(1.6%)간 차이가 더 확연해졌다.
올해 들어 1분기에는 저소득층이 전년 동기 대비 4.8%, 고소득층이 6.1% 올랐다. 그러나 2분기부터는 다시 저소득층의 물가상승률(5.0%)이 고소득층(4.3%)을 넘어섰다.
2010~2011년만 놓고 보면 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은 한국은행의 물가 관리 범위(3.0%±1.0%)에 안착했으나 저소득층은 이를 크게 벗어났다.
이처럼 고소득층과 저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이 차이가 나는 것은 이들의 소비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은 식료품 소비가 전체 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2008년 기준 20.1%)이 상대적으로 높다. 그러나 고소득층은 전체 소비규모가 커 지출에서 식료품이 점하는 비중(11.4%)이 작다.
이 때문에 식품 가격이 오름세를 보이면 저소득층의 감내해야 하는 물가가 더 가혹하게 오르는 것이다.
통계청 관계자는 "소득 하위 20% 계층은 농축산물 가격 등락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며 "다만 이러한 소득 분위별 물가는 표본과 조사 시장규모의 한계로 통계적 의미가 떨어질 수 있어 공식 통계는 발표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분석 기간 중 고소득층의 물가상승률이 저소득층을 웃돌았던 기간은 대체로 고소득층의 교육물가 상승이 두드러졌다.
2009년에는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이 전년 대비 14.4% 올랐지만 저소득층은 5.2% 떨어졌다. 올해 1분기에도 고소득층의 교육비 상승률(42.8%)은 저소득층(8.8%)과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높았다.
이는 고소득층의 교육비 지출 비중(14.1%)이 모든 지출 가운데 가장 크기 때문이다.
현대경제연구원 임희정 연구위원 "최근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안정적이지만 저소득층이 느끼는 체감물가는 안심할 단계가 아니다"라며 "당국은 서민의 체감물가를 낮추는 방법을 고려해 물가 정책을 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
gija007@yna.co.kr
banghd@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