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정다슬 기자] 미국 반도체업체 인텔이 16일(현지시간) 이스라엘의 인공지능(AI) 반도체 스타트업 ‘하바나 랩스’를 20억달러(약 2조 3400억원)에 인수했다고 밝혔다.
2016년 설립된 하바나랩스는 데이터센터에서 쓰이는 AI 반도체를 만든다. 지난해 AI 추론 프로세서 ‘고야’를, 지난 6월 AI 훈련 프로세서 ‘가우디’를 출시했다. 하바나랩스는 당시 가우디를 활용하면 같은 수의 그래픽처리장치(GPU) 탑재된 시스템에 비해 최대 네 배 빠른 연산 처리가 가능하다고 밝혔다.
인텔은 “하바나는 우리의 데이터센터용 AI 제품을 강화해 고성능 훈련용 프로세서 제품군과 점점 증가하는 AI 업무량에 대처할 수 있는 표준 기반의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수 후에도 하바나랩스는 이스라엘에 기반을 두고 현 경영진이 독립적으로 경영할 예정이다. 하바나랩스의 창업자이자 회장인 아비그도르 윌렌즈는 인텔 사업분야 고문도 역임하기도 했다.
인텔은 2024년까지 AI 반도체칩 시장이 250억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 중 절반이 데이터 센터에서 사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이 분야 투자를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데 이 중 하나가 하바나랩스였다. 하바나랩스는 지금까지 1억 2000만달러의 투자를 유치했는데 이 중 7500만달러가 지난해 11월 이뤄졌다. 당시 투자를 주도한 것이 인텔 산하의 인텔 캐피탈이었다. 당시 투자에는 삼성도 참여했다.
월스트티트저널(WSJ)는 하바나랩스 인수는 인텔의 데이터 센터용 반도체 제품군을 강화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를 통해 AMD과의 경쟁에서 앞서나갈 수 있다는 평이다. 다만 하나바랩스의 반도체칩은 인텔이 2016년 인수한 너바나 시스템즈의 제품과 일부 겹친다는 지적도 있다. 이에 대해 나빈 셰노이 인텔 총괄 부사장은 “앞으로 누가 최고의 AI 칩인지 경쟁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다슬 (yamye@edaily.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美국채 '사랑과 이별'..모으는 일본-등돌린 중국 (0) | 2019.12.18 |
---|---|
스모그·미세먼지 탓에 숨 막히는 지구 (0) | 2019.12.17 |
"USMCA, 美 무역협정 새 기준".. 세계무역질서 재편되나 (0) | 2019.12.16 |
'중국판 분양가상한제' 실패한 이유 (0) | 2019.12.15 |
미중 1단계 무역합의에도 불구, 제조업체 탈중국 이어진다 (0) | 2019.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