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낸셜뉴스
【워싱턴 베이징=장도선 조창원 특파원】 미국이 중국산 수입품의 절반가량에 대한 추가 관세부과를 확정하면서 양국 간 무역전쟁이 장기 전면전으로 갈 태세다. 이달 말 무역협상차 예정된 양국 고위급회담도 불발될 위기에 처해 세계 패권을 둘러싼 출구없는 경쟁으로 치닫게 됐다. 세계 주요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미중 양국을 넘어 신흥국을 포함한 글로벌 경제에도 충격이 불가피해졌다.
도널드 트럼트 미국 대통령은 1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오는 24일부터 중국산 제품 2000억달러(약 224조원) 규모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부과 결정 배경에 대해 "우리는 수개월 간 불공정한 (무역)행태를 바꾸고 미국 기업들을 공정하고 상호적으로 대하도록 촉구해왔지만, 중국은 변화의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우선 10% 관세를 부과한 뒤 연말 또는 내년 1월부터 25%로 올릴 예정이다. 관세 부과 품목은 지난 7월 발표했던 6031개보다 300개 가량 줄었다. 스마트워치, 블루투스 장비, 자전거 헬멧, 아기 카시트, 안전장치가 제외됐으며 제조용 화학 재료와 직물, 농산물도 빠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조치로 미국 소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생활용품 및 소비재가 주요 제외품목에 올랐다.
이번 조치로 미국이 고율 관세를 부과한 중국산 제품의 규모는 총 2500억 달러로, 지난 2017년 미국의 중국제품 수입 규모 5055억달러의 절반을 차지하게 됐다.
중국도 '대미 장기 항전' 태세를 갖추고 반격에 나설 조짐이다. 미국의 2000억 달러 규모의 관세부과 시기에 맞춰 중국도 600억 달러 맞보복 관세의 방아쇠를 당길 전망이다. 특히 미국에 상응하는 관세부과가 불가능한 중국은 각종 비관세 장벽 등 질적 보복 수단을 총동원할 것으로 보인다.미국에 대한 중간재·부품 수출을 제한하는 방안을 비롯해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에 대한 검열 강화 등 행정조치, 미국산 제품 불매 운동 등이 거론된다.
양국간 무역충돌로 글로벌 경제도 적잖은 충격에 빠질 전망이다.
미국과 중국간 통상전쟁은 양국 당사국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에 대한 수출의존도가 높은 주변국의 경제성장에도 타격을 줄수 있다. 더구나 심각한 환율 불안으로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는 신흥국들은 미중 무역전쟁 장기화라는 또 다른 대형 악재를 만나게 됐다. 터키, 아르헨티나, 남아프리카공화국, 인도네시아, 브라질 등 외화부채가 많은 신흥국이 환율불안과 채무부담에다 무역전쟁으로 인한 성장저하라는 암초를 만나 글로벌 경기도 요동을 칠 전망이다. jjack3@fnnews.com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G2격돌 크게 우려하지 않아도 될 5가지 이유 (0) | 2018.09.19 |
---|---|
"미중 무역전쟁의 진정한 승리자는 동남아 기업" (0) | 2018.09.19 |
무역갈등·디레버리징 악재 중국, 소득세제 개혁으로 '돌파' (0) | 2018.09.17 |
몰타·홍콩, 1년새 주택가격 15% 넘게 올라..한국은 2%↑ (0) | 2018.09.14 |
"세계경제 아슬아슬한 균형..중앙은행 실책 땐 내리막길" (0) | 2018.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