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1월 23일 오전 09:56
저도 sony Xperia mini size를 쓰는데...
참 안타깝군요.
물론, 국산을 애용하면 좋겠지만...
미니 사이즈가 제 주머니에 쏘~옥 들어가기 때문에 컴퓨터 하는데만 있으면 들어가서 10분 20분 컴퓨터를 하기 때문에 가방을 잃어버릴까봐 싫어하는 저로서는 참 제격입니다.
무엇보다, 제 FB의 동생이 소니를 쓰고있어서요.
Identified하느라고 씁니다.
그리고, 아직 3세대 폰이라서 무제한 데이타도 됩니다.
스마트 패드에 허브를 하면, 인터넷도 스마트패드로 무제한 쓸 수 있거든요.
4세대 폰은 무제한이 아니라, 아직까지 옛날것을 고집합니다.
제가 써보니까, 기능상으로는 편리하던데...
왜 이렇게 된 것일까요.
그리고 미니인데도, 키보드가 하드로 되어있어서
채팅할 때도 속도를 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투기등급이라니...
참, 세상사 상전벽해입니다.
남의 얘기가 아니예요.
우리 뒤에도 대만, 중국, 인도 바짝 쫓아오고 있어요.
예전에는 일본이란 국가 자체가 부자였는데...
물론, 일본인도 부자들이 많았지만...
지금은 일본이 부동산 경기 침체로 재정부채가 늘어나서...
이 영향도 있는 것 같아요.
일본도 수출위주의 국가인데...
국가가 힘드니 기업들도 당연히 찌들릴 수 밖에 없겠죠.
그러나, 무엇보다 혁신에 앞서가지 않고, 반보라도 늦었기 때문입니다.
반보의 차이가 생존의 여부를 가른 것이죠.
오리지널, 개척자야말로 전자업계(다른 업계도 그렇겠지만)의 생존을 위한 전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日 부흥 이끈 ‘전자 제국’의 몰락… 열도 불안-초조감 증폭
■ 소니 신용 ‘정크’ 추락 충격
동아일보 | 입력 2012.11.23 03:12 | 수정 2012.11.23 05:14
댓글68마이피플 트위터페이스북더보기 싸이월드미투데이요즘툴바 메뉴
폰트변경하기
굴림 돋움 바탕 맑은고딕 폰트 크게하기폰트 작게하기 메일로 보내기 인쇄하기스크랩하기
내 블로그로 내 카페로 고객센터 이동 [동아일보]
파나소닉을 시작으로 줄줄이 이어진 일본 전자업계의 어두운 전망은 일본 사회에 엄청난 충격을 안겼다. 일본 국민과 함께 전후 부흥의 역사를 함께 써온 이 기업들이 일본 사회에서 차지하는 의미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최근 일본이 정치적 우경화의 길을 걷는 배경으로 이 기업들의 침몰을 거론하는 분석도 많다. 세계시장을 석권하며 'Japan As Number one(세계 제일의 일본)'이란 찬양을 받던 이 기업들은 이제 패배자라는 불안감과 초조감을 외부에 표출하고 있다.
소니와 파나소닉의 신용등급 강등은 어느 정도 예견된 일이었다. 파나소닉은 당초 2012회계연도(2012년 4월∼2013년 3월) 흑자를 전망했으나 지난달 31일 7650억 엔(약 10조500억 원)의 당기순익 적자가 예상된다고 고백했다. 2년 연속 7000억 엔 이상의 적자가 나 최근 20년분의 순이익을 모두 까먹는 꼴이 됐다. 피치는 파나소닉의 재무구조에 대해서도 상당 기간 실질적인 개선이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니는 7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고 올해 연간 매출액도 당초 전망보다 3%가량 내려 잡았다. 3개 기업의 주가는 올해 들어 모두 30여 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한국의 간판 전자회사들이 10년 전인 2002년보다 매출액과 이익이 늘어난 것에 비해 일본 기업들은 줄거나 비슷한 수준이다.
일본 전자 삼총사의 전망은 더 심각하다. 피치의 지적대로 이제는 실적 악화가 아니라 재무 리스크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에 몰리고 있다. 파나소닉은 매출이 7조 엔대에 이르는데도 올해 상반기(4∼9월) 현금흐름이 230억 엔에 불과하다.
소니라고 사정이 나은 것은 아니다. 올해 실적 전망을 일단 흑자로 유지하긴 했지만 7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올해 흑자 전망도 보험, 은행 등 금융사업에 기댄 것으로 본업인 전자사업은 적자를 면키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샤프는 올 회계연도에 4500억 엔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지분 매각과 인력 감축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하고 있지만 회생 여부가 불투명한 상태다. 피치는 올해 2월에 낸 보고서에서 이들 3개 업체를 '추락하는 천사'라고 불렀다. 후발 주자인 삼성전자, LG전자와의 경쟁력 격차가 갈수록 벌어지는 가운데 탈출구가 보이지 않는다는 의미다.
일본 언론은 이 기업들의 실패 원인에 대해 '갈라파고스 증후군'을 꼽고 있다. 육지에서 멀리 떨어진 섬에 독특한 생태계가 형성된 것처럼 세계의 흐름을 외면한 채 국내 시장에만 매달렸다는 것이다. 일본의 한 언론인은 "비단 기업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정치 흐름도 이와 무관치 않다"고 꼬집었다.
전자 삼총사의 몰락에 일본이 받는 충격은 단순한 경제문제 차원이 아니다. 이 기업들의 성공 신화는 패전국 일본이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떠오르는 과정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소니는 '워크맨 신화'를 쓴 모리타 아키오(盛田昭夫·1921∼1999) 전 회장이 창업한 회사로 일본의 기술과 혁신의 대명사였다. 모리타 회장은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愼太郞) 일본유신회 대표와 함께 미국을 겨냥해 '노(NO)라고 말할 수 있는 일본'이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다.
파나소닉은 일본인이 '경영의 신(神)'으로 추앙하는 마쓰시타 고노스케(松下幸之助·1894∼1989)가 창업한 마쓰시타전기의 후신이다. 샤프는 창업자 하야카와 도쿠지(早川德次·1893∼1980)가 1912년 창업한 회사로 '샤프펜슬'을 비롯해 세계 최초로 탁상용 전자계산기와 카메라폰을 개발한 기업이다.
도쿄=배극인·박형준 특파원 bae2150@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