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용어
ㄱ.
. 가법혼색 (Additive mixture)
빛의 3원색 적.청.녹을 섞었을때 화이트가 되는
색의혼합 즉 수평각(horizont light) 에 적.청.녹
필터를 삽입하고 그밝기를 조절하면 각종 색을
만들 수 있고 밝고 진한색이 나온다
컬러TV의 작용에 쓰인다
녹+청=시안 : 적+청=마젠타 : 적+녹=황 :적,청,녹=흰색
. 감색 혼합 (Negative Mixture)
페인팅을 해보면 어둡고 진한색이 나오며
마젠타+시안=청 : 시안+황=녹 :마젠타+황=적
마젠타.시안.황=흑
. 게인 (Gain)
신호증폭의 정도로 오디오나 비디오 신호의 상대
적인 강도를 조절할 때 쓰인다.
. 고보 (Gobo)
조명으로 특수한 효과를 낼 때 쓰는 기구
촬영에 불필요한 산광을 막는 차광판, 어떤 방향의
소리를 막기위한 흡음성 이동가리개
( 마이크로폰=청음 발포수지)
. 고스트 (Ghost)
영상에 불필요한 빛 즉 광학계에서는 반사면을 많이
가진 색분해 프리즘의 정규반사광로 이외의 반사를
해서 촬상면에 달하는빛 또는 프리즘의 측면이나
경계에서 산란되어 촬상면에 달하는 빛등(이들 빛을
차단하기 위해 프리즘 앞면에 마스크를
붙이든가 산란하는 면에 흠을 내기도한다)
. 고품위 (High Difinition)
기존의 TV방식인 NTSC 525, PAL 625, SECAM 보다
주사선 수가 많은 1125개의선명한 TV 화상의 새로운 방식
NHK에서 개발 되었는데 디지털 TV개발로 빛을 보지 못함
. 고해상 (High Resolution)
TV주사선 1000~2000을 주사시켜 선명한 화상을 만들어
내는 카메라나 모니터를 가리킬 때 쓰는말
. 광각렌즈 (Wide Angle Lens)
아주 짧은 초점거리를 가진 렌즈로서 좁은 실내에서도
넓은 범위를 찍을 수 있음
. 광도 (Luminance Intensity)
광원에서 나온 빛은 방향에 따라 강도가 달라지는데
이것을 나타낸 것이 광도이고 , 한방향으로의 단위입체
각당 광속으로 표시한다. 단위는 칸델라(CD)
. 그룹샷 (Group shot)
루즈한 사이즈가 아닌 타이트한 사이즈로
세트에 있는 인물 그룹을 찍은샷으로 GS라함
. 콜로디온 (Collodion)
피부를 굴절시켜 흉터 등을 만드는 액체 SF 분장때 사용
. CCD (Charge Coupled Divice)
전화 결합소자를 말함 1970년 미국에서발표
고체촬상 디바이스로 쓰일 때는 기판에 입사하는 광량에
비례한 전하를 각 포텐셜 홈에 축적한다 이 신호 전하를
한쪽 방향으로 순차 전송시켜 신호를 내 보낸다
방송용으로 eng camera에 채용 인화와 코메트 테일, 잔상이
없고,소형, 경량에다 저소비전력, 안전성,수명이 길고
뛰어난 점이많음
. CCTV (Closed Circuit Television)
폐회로 TV - 통상의 TV 방송이 불특정 다수의 많은
사람들에게메시지를 전달하는 반면 특정한 사람을 대상으로
영상을 전하는TV 시스뎀을 말함 네트워크나 CATV 와 구별된다
. CATV (Cable Television : Community Antenna TV : Common
Antenna TV)
유성 TV 방송- 보내는쪽과 받는쪽을 동축케이블 광섬유 케이블로
연결하여 TV방송 프로그램의 재수신, 자주제작 프로그램 ,
스포츠등현장중계를 방송하는 외에 쌍방향 통신설비에 의해
각종 테이터베이스를 보낼 수도 있다 ( 원래는 난시청지역
공동안테나 역할을 했다)
. C N N (Cable News Network)
미국의 CATV용으로 통신위성을 이용하여 24시간 뉴스를
제공 하며 우리나라도 인델세트의 인공위성을 경우 수신한다
오너는 슈퍼스테이션 WTBS와 같은 테드 터너씨이다
. C U (Close Up)
클로즈 엎- 피사체를 화면 가득히 잡는 것으로
부분만을 더크게 확대하는 것을 B-CU 이라한다
. CK (Chroma Key)
크로마 키 - 대표적인 화면 합성방법 색차신호를 이용 전기
적인 마스크를 만드는 것이 특징
ㄴ.
. 니이샷 (Knee Shot)
인물 촬영 사이즈의 하나 무릎에서 머리까지 잡는 화면
. 노우즈/리드 룸 (Noseroom / Leadroom)
TV 화면속의 인물의 시선이 정면 카메라를 주시하지
않고 특정한 방향을 볼 때의 샷
. 노말-테이프 (Normal Tape)
자성재료로 침상산화철(Fe2O3)을 사용하며 주로
어학 녹음용으로 사용
. 논-리니어 회로 (Non-linear Circuit)
입력과 출력의 관계가 선형 방정식 또는 일차 방정식
으로 표시되지 않는 회로이다
. 네트워크 (Network)
네트위크의 기술적인 정의는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방송국들이 동일시각에 같은 프로그램을 동시에 방영
하는 것이다
*네트위크로 프로그램을 -송출하는 방송국을 키국(Key
Station) -수신하는 방송국을 가맹국 (affiliate, affiliated
station) 이라고하며 네트위크 가맹 조약은 2년마다
*FCC( 미국 연방 통신위원회)에 의해 결정되며 네트위크의
독점을 막기위해 프라임 타임중 네트위크가 프로그램
편성에 3시간 이상 참여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있고
미국은-NBC, CBS, ABC순으로 성장하고...
일본은-TBS, NIV, 후지 아사히 등 의 계열이있다
. N T S C (Nation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우리나라 일본, 미국,캐나다등에서 쓰고 있으며 미국 텔레비젼
시스템 위원회 약칭 컬러TV 방식의 하나로1953년 결정
흑백방식 (M 방식)의 주파수 대역에 컬러 신호를 끼워넣어
흑백 / 컬러 구별없이 방송 수신이 가능하게 하여 양립성을
도모한 세계 최초의 방식이다
ㄷ.
. 다운스트림 키 (Downsttream Key)
송출하는 영상신호에 문자나 도형을 삽입하여
수퍼 임포즈하는 기능
. 다큐멘타리 (Documentary)
본래의 의미는 기록이나 증거를 말하지만 영화나
비디오에서는 현실을 소재로 하여 촬영 하는 것을 말함
그러나....
다큐멘타리는 단지 사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고
일련의 연속된 사실속에 현실이나 그현재의 의미를 추적
하는 하나의 제작 수법이다.
. 달리 (Dolly)
카메라를 피사체 가까이 하든가 멀리 하면서 촬영하는
것으로 삼각대의 다리에 붙이도록 된 바퀴를 말하기도 한다.
. 달리 아웃 (Dolly Out)
카메라가 피사체로부터 멀어지는 것으로 달리 인의 반대
줌인과는 달리 실제로 피사체에서 멀어지는 느낌이 든다
레일을 쓰는방법과 페데스탈 달리를 쓴다
. 달리 샷 (Dolly Shot)
이동 샷의 일종 효과는 트럭 샷과 마찬 가지지만 레일이
필요없다
. 데몬 스트레이션 (Demonstration)
스폰서가 되려는 사람이나 광고 대행사를 위해 견본으로
TV프로그램을 특별히 제작 연출 하는 것
또는- 특수한 공개방송이나 공개실험
. 동기 (Sync)
수평과 수직동기는 여러 가지 드라이브 펄스로 구성되어
카메라에서부터 방영까지 비디오 영상신호의 수평 수직주사
순서를 정확하게 유지시킨다
. 동기 신호 발생기(Sync Generator)
만들어내는 펄스(Pulse) 발생기
여러대가 접속된 비디오 기기간의 기능과 비디오
신호의 기능을 통합하는데 필요한 동기신호를
.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
하나의 쉴드선과 하나의 심선으로 된 케이블로
광대역의 주파수를 신호의 손실없이 1000피트까지
보낼 수 있는 것 임피던스 75옴
. 듀레이션 타임 (Duration Time)
한 편집 단위의 길이 디졸브나 와이프하는 시간의 길이
. 드라이 리허설 (Dry Reheasal)
카메라를 쓰지 않코 세트에서 각 스탭이 입회 하는연습
. D B S (Direct Broadcating Stallite)
직접 위성방송으로 적도상공 36.000km의 정지퀘도
에 쏘아올린 인공위성을 경우하여 지상에서의 전파를
중계하고 직접 가정에서 수신하는 것을 목적으로하는
방송 서비스
. 디오라마 (Diorama)
원근 법을 써서 만든 미니어처 세트 (스튜디오에 설치
할수 없는실물크기의 세트 대신으로 쓰인다
. 디졸브 (Dissolve)
화면 전환기법의 하나로 현실과 환상을 원할이 하는
기법( 앞화면과 다음화면의 연결속에 진행을 돕는효과
. 디포커스 효과 (Difocus Effect)
특수효과를 내기위해 일부러 초점을 흐리게 하는 것
. 투스 왁스 (Tooth Wax)
이에 칠하는 왁스로 검정색은 이빠진 효과를 사용함
가지각색이 있음
. 디지털 (digital)
데이터나 물리적인 양을 0과 1이라는 2진 부호의 숫자로 표현하는 것.
디지털은 이산적인 수치로 표현되므로, 표시된 양은 최대 ±1 자리의
오차를 갖게 되는데 자릿수를 늘릴수록 정밀도가 높아진다.
디지털 컴퓨터에서는 1자리가 2가지 값을 갖는 2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 대응 용어: 아날로그 ( analog ):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물리량을 표현하는데 사용하는용어로-전압이나,전류의
변화또는 크기를 눈금으로 표시하는 것과같은 표현이다.
일반적으로 음성이나 영상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아날로그 양이다.
ㄹ.
. 라이트 오퍼레이터 (Light Operater)
LD (조명감독)의 지시를 받아 조명의 세팅 , 디머를 조작
하는사람
. 라이트 차트 (Light Chart)
특정한 프로그램이나 장면에 따라 조명기구의 위치나
밝기를기입한 도표 또한 스크립트
. 라이트 플로트 (Light Plot)
조명계에서 쓰는 대본 조명기의 종류나 조명의 순서와
위치 등이 적혀있다
. 레플렉터 판 (Reflecter Board)
반사광을 이용하여 조명 하기위한 도구로 야외촬영때
강한 빛이나 태양광을 반사시켜 그림자 부분의 밝기를
보완한다 반사율 높은 은종이, 알미륨호일,흰헝겁판 등
. 로우 앵글 (Low Angle)
대상보다 낮은 위치로 촬영하는 각으로 인물에서는 훌륭
하게 보이지만 강한 인상을 준다
. 로우 키 (Low Key)
명암의 대비가 강하게 되는 조명법으로 하이라이트가 중간
조명의밝기이고 어두운 쪽은 짙은 그림자로 묘사된다
. 로케이션 헌팅 (Location Hunting)
촬영이나 중계할 현장을 미리 살펴보는 것
촬영할 내용이나 주차위치, 카메라위치, 조명조건,
수전가부 마이크로 송신위치, 등을 사전조사한다
. 롱샷 (Long Shot)
어느정도 거리를 두고 장면 전체를 잡는 화면으로
그 세트의 전체 상황을 알려주는 샷 LS라 약칭
. 루즈 샷 (Loose Shot)
피사체의 주위에 상당한 여유를 주고 잡는 샷
반대 타이트샷
. 룩스 (Lux)
조도의 단위 LX 단위면적당의 광속으로 나타내며 광원이
비치는 표면에서측정 된다
. 리버스 샷 (Reverse Shot)
한 앵글의 반대 방향에서 되받아 잡는샷
. 리액션 샷 (Reaction Shot)
촬영하는 대상의 말이 주위 사람들에게 일으키는 반응
을 촬영하는 것
. 림 라이트 (Rim Light)
반역광적인 방향의 빛으로 인물조명에서는 입체감이나
머리카락의 디테일을 살리기 위해 쓰인다
. 립플 머신 (Ripple Machine)
배경에 물결이 움직이는 동적인 모양을 내는 장치
. L D (Laser Disc)
네덜란드의 필립스사와 미국의 M C A사가 개발 일본 파이오니사
가 상품화했고 - 레이저 빛으로 메모리 비트의 유무를 검출하고
그것을 전기신호로 변환 음성은 아날로그와 PCM 양쪽이 기록가능
ㅁ.
. 마스터 모니터 (Master Moniter)
영상의 초점, 내부와 외부의 동기, 수직과 수평
주사의 콘트롤 등을 할 수 있는 고성능 모니터
. 마크로 (Macro)
줌 렌즈 포커싱 군 이외의 렌즈 군을 움직임으로써
MOD (줌렌즈)보다도 짧은 거리에 초점이 맞도록
하는 기능을 말함
. 마크로 렌즈 (Macro Lens)
접사렌즈로 몇인치 떨어진 곳에서도 초점을 맞출 수 있음
. 먼셀 표색계 (Munsell Color System)
색을 표시할 때 색상 (H) , 명도 (V) , 채도(C)의
3속성을 HV/C 라는 형식으로 숫자와 기호로 나타내는
색표계로 H, V, C 감각적으로 똑 같은 간격으로 배열
되어있다 - 멘셀이 고안
. 멜트 (Melt)
화면전환 방법의하나로 화면의 휘도 레벨이 높은 곳이나
어두운 곳에 차례로 화면전환을 하는 것, 마치 앞화면이
녹아서 다음 화면으로 전환해가는 것처럼 보인다
. 메탈 테이프 (Metal Tape)
초 미립 순철(Fe)을 기본 자성재료로 사용 하기에 노말
테이프나 크롬테이프에 비해 높은 주파수특성으로 기록
할 수 있는 것이 특징 방송용 녹화기 베타캄SP등
약 1000에스테트의 항자력과 3000 가우스정도의
잔류자속 밀도를 지닌다
. 모듈레이터 (Modulator)
TV에서 영상신호를 AM, FM등으로 변화하는장치
모니터 에서는 IQ변조, 직각2상 변조, 링 변조 등이
밀접한 관계가있는 변조이다
. 몽타쥬 (Montage)
몇 개의 독립된 짧은 샷 등을 감각적으로 편집하여 화면상
으로하나의 새로운 의미와 효과가 있도록하는 영상표현 기법
. 미디엄 샷 (Medium Shot)
피사체가 인물이라면 무릎 위를잡는샷 ,중간으로 허리 위
부분을 잡는 샷
. 미라지 렌즈 (Mirage Lens)
다면 렌즈 즉 대물쪽의 면이 프리즘 모양의 표면에 작은
거울을 여러장 붙이고 모터로 회전하도록 된 것 여기에
빛을 비춰 거울의 반사광을 이용하는 특수효과 용구
눈이 내리는 효과를 만든다 미러 볼 이라고도 한다
ㅂ.
. 바스트 샷 (Bust Shot)
가슴위를 촬영하는 인물 샷 으로 , 남성은 -가슴의 포캣이
조금보이는 정도 이보다 조금 큰 사이즈를 TBS( 타이트
바스트 샷) 작은 것은 WS(웨이스트 샷) 이라고한다
. 바운드 라이트 (Bound Light)
직사광이 아닌 천장이나 벽, 리플렉터 판등을 이용한 반사광
으로 빛이 부드럽고 그림자가 생기지 않는다
. 반 도어 (Barn Doors)
조명기 앞면에 붙인 차광판으로 4장 또는 2장으로 되어있다
. 베이스 라이트 (Base Light)
스튜디오나 스테이지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비치는 조명
으로 키라이트나, 효과조명을 하기에 앞서 이 레벨를 제대로
정하는 것이 스튜디오 조명에서는 가장중요한 문제이고
화운데이션 라이트 라고도한다
. 베타 방식 (Beta System)
1975소니사가 개발 1/2인치 카세트 테이프를 쓰고
신호처리는 변환 주파수가 699KHz로 컬러 신호처리는 PI
(Phase Invert) 방식이다
. 베타캄 VTR (BETACAM VTR)
메카니즘은 가정용 VTR을 응용한 것인데 1/2인치 데잎
을사용하고 휘도 신호(Y)와 색신호 R-Y, B-Y를 따로 FM
변조하여 별도에 비디오 트랙에 기록하는 컴퍼넌트 방식
으로 색차 신호의 처리는 시간축 압축하여 1H 기간 내에
R-Y와 B-Y를 다중화 하고 있다
. 변조 (Modulation)
오디오나 비디오 신호를 미리 정해진 반송 신호에 실리는
프로세스-즉 - 디모듈레이트
. 보오더 라이트 (Border Light)
무대 상부에서 균등한 조명을 주기위한 조명기구로
렌즈를 쓰지 않고 반사경으로 확산광을 얻는다
. 버티칼 (Vertical Interval Time Cord-VITC)
수직 블랭킹 기간에 중첩하는 타임코드로
타임코드를 부정확하게 잃지 않도록 한 방법
비디오 편집 등에서 편집점을 정확하게 안다
. 버티칼 (Vertical Inverval Test Signal-VITS)
수직 귀선 기간 신호로
TV 프로그램에 다중해서 보내는 신호
TV 화상신호의 VBL(수직귀선 소거) 기간의
일부에 삽입해서 보내는 기준신호
. 블랭킹 (Blanking)
귀선소거 삭제하는 것, 블랭킹은 빔이 한주사선이 끝나는
데서 다음선의 시작으로 옮길 때 생긴다
. 블록킹(Blocking)
내용이 복잡한 촬영에서는 카메라 리허설을 2회씩한다
그첫번째 카메라, 조명,오디오을 테스트 하는 것을 블록킹
이라한다
두 번째을 리허설(런더루)라하며 촬영때와 똑같이 한다
. 비디오 분배 증폭기 (Video Distribution Amplifier -VDA)
동시에 여러대의 비디오 모니터 에 신호를 보낼 수
있도록 한 증폭기
. 벡터 스코프 (Vectorscope)
콤포지트 비디오 신호로부터 크로마 성분을 복조하여
크로마 신호의 진폭 , 위상을 R-Y. B-Y를 축으로 하는
CTR 표시로 컬러 바 신호를 입력하면 각 크로마 성분의
버스트에 대한 위상과 진폭을 알 수 있다
이때에 위상은 회전 방향으로-진폭은 직경방향으로
되어 나타난다
*조정은 전원을 넣은후 30분간 Warm up한 후에 한다
. 비선형 편집기(Non-linear Editing)
89년 Abid사가 NBA에서 미디어 컴포져 시스템으로 출시
비디오 압축기술, 네트위크 등 컴퓨터에 기반을 둔 디지털
편집을 말하며 비디오 내용 중 임의의 부분을 즉각적으로
액세스 할 수 있는 장비랄 수 있다
이전의 편집방식은 선형편집(Linear Editing)으로 아날로그
장비이다.
. 비동기 전송모드 (ATM:Asyncronous Transfer Mode)
최근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155mbps의 전송
속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분야의 급속한 발전으로 더욱
빠른 전송기술도 나와있다.
(비동기 전송모드는 ISDN과 같이 동기식 전송모드에 비해
전송하고자하는 정보를 셀단위로 분할하여 각각의 셀에
정보를 다중화하는 방식으로 전송률에 있어서도 동기식에
비해 월등하다.
. 블랙 버스터( Black Burst)
컬러동기신호에 셋업신호를 더한 것으로 영상시스템에서
영상신호와 서브케리어의 동기화를 유지하기 위해 기준
신호로 쓰이며 이 신호를 발생하는 장치를 블랙버스트
제너레이터라 한다.
. 블랙 레벨 ( Black level )
블랙 신호의 최고 한계에 해당하는 비디오 신호로 영상신호
는 이미지신호와 동기신호로 나눠지는데 이미지 신호의
최소레벨을 블렉레벨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영상에서 가장어두운 부분을 0 ire,
가장밝은 부분을 100 ire로정했는데 여기서 블랙레벨을
7.5 ire로 정하는 것을 ''셋업잡는다'' 라고한다.
ㅅ.
. 색상 (Hue)
색은 색깔로구별되고 색조를 색상이라한다
모든 칼라는 색상을 가지고 있고 색상은 파장으로 결정한다
. 색온도 (Color Temperature)
빛의 색성 샷-즉 분광 에너지 분포의 특성을 나타내는 것
캘빈온도라고도하며 ° K로 표시한다 -완전히 검은물체에
열을 가했을 때 방사하는 빛의 색을 말함 이것은 측색할 때
표준이되는 빛으로써 색온도는 2856k의 개스를 넣은 텅스덴
전구에서 방사하는 분광에너지 분포를 가진 빛을 표준광 A로
한다
. 국제 조명위원회(CIE) 규정이며
색온도가- 높은 빛일수록 단파장광-파랑, 보라색의 비율이
많고 낮은 빛은 장파장광-빨강, 오랜지색의 비율이 많음을
나타낸다* 자연광 의 차이를 도표로 나타냈고 색온도의
역수를 106 배한 미래드 (MRD)도있다
. 소프트 라이트 (Soft Light)
스쿠프 라이트나 플러드 라이트와 같이 베이스 라이팅을 위한
조명기구
. 소프트 크로마 키 (Soft Chroma Key)
화면전체에 부드러운 느낌을 주어 마치 안개가 낀 것 같은
효과를 내는 필터
. 샷 (Shot)
영화에서는 커트와 같은 뜻으로 쓰이나 카메라가 작동해서
정지할 때까지 연속된 화면을 말하고, 이 샷들이 모여 씬을
구성하며 , 앵글과 프레밍이 다른 카메라 샷을 말하기도 한다
. 슈퍼 임포지션 (Super Inposition)
특수효과 장치의 페이더 콘트롤을 써서 어떤 신호속에 다른
신호를 슈퍼 임포즈하여 영상을 중첩시키는 것, 인물에
겹칠 때는 그냥 슈퍼라고도 한다
. 슈퍼 VHS (Super VHS)
고주파 대역이 7MHz, 수평 해상도는 400TV선 이상이며
녹화는 Y/C 분리로 되고 전용의 고성능 테잎을 사용한다
. 슈퍼 임포즈 (Superimpose)
화면 합성 기법의 하나로 2개이상의 화면을 겹쳐서 하나의
화면을 만든다
어깨 걸이 등 데두리를 하프믹스 하는 방법
. 스위처 (Switcher)
여러개의 신호를 바꿀 수 있는기기로 보통 AVDL(Auto matic
Video Delay Line) 자동연상 지연 기능이 내장 된 정도의
포터블 스위처가 많이 쓰이며 아날로그에서는 MIX, NAM,
WIPE,CHROMA, KEY정도이고, 디지털 방식에서는 Y/C분리
모아레,디포커스,모자이크,멀티 프리이즈,DVE와이퍼 등의
효과가 증대 풍부한 고성능 다기능이 특징이다
. 스카이 라이트 (Sky light)
천연광의 대용으로 사용하는 스튜디오형 대형 조명기구
(큰 면적을 플래트하게 조명할 때 사용한다)
. 스쿠프 라이트 (Scoop Light)
플러트 라이트의 일종 둥근 바가지 모양으로 넓게 반사한다
. 스탠 바이 (Stand By)
리허설이나 녹화에 대한 준비, 출연자나 스탭에게 방송 또는
녹화개시를 알리는 지시, 여러 가지 뜻으로 사용
. 스트로보 촬영 (Strobo Shooting)
비디오 카메라의 1 프레임이 30/1초인 데 스트로보의 발광
시간은2000/1초로 극히 짧기 때문에 빠르게 움직이는
영상이라도거의 흔들림이 없는 선명한 영상이 되어 운동등
빠른 분석을 할 때 요긴하다
특히 스트로보 발광간격을 카메라 쪽의 동기 신호에 완전히
싱크로 (syncro)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 스트로보 효과 (Strobo Effect)
화면속에 움직이는 것의 궤적을 남기는 효과 -사진 촬영에서와
같이 펄스광으로도 얻는다
. 시나리오 (Scenario)
드라마등 각본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씬마다 나누어 설명문 과
지문, 대사 등이 기입되어 있는데 선진 구미에서는 연출대본과
마찬가지로 촬영에대한 세밀한 지시까지 되어있다
. 씨닉 라이팅 (Scenic Lighting)
드라마틱 라이팅
. 씬 (Scene)
장면 - 보통몇개의 샷이 모여 하나의 의미를 만드는 씬을
구성 하고 몇 개의 씬이 모여서 하나의 시퀀스를 구성한다
-시퀀스(국면)가 모여 한편의 작품을 구성한다
. 신세비젼 시스템 (Synthevision System)
카메라의 틸트, 팬, 줌, 포커스의 움직임 에 맞춰 크로마키의
배경 화상도 같이 움직이도록 하고 하나의 카메라로 촬영한
것과 같이 작성하는 장치
. SYNC (Synchronize)
영상에서는 동기를 말함 -더블 시스템에서는 동기주행을 말함
. 세캄 (SECAM : Sequentiel Couleur A Memorie)
1965년 프랑스에서 개발 2개의 색차신호를 라인 순차로
전환하여 FM변조하여 송신하는방식으로 주로-프랑스, 소련,
이란, 말레이시아 등 사용한다
* NTSC와 비교하여 PAL, SECAM,방식은 Flicker가 많다
. 샤무아 (Chamois)
가발이나 수염의 망을 죄어주는재료로 분장때 많이사용
. 싱크 (Synchronization)
동기화는 모든 텔레비젼 시스템의 중심이다.
모든 형태의 영상제작물들은 하나의 합성된 이미지를 창출
하기 위해 같은 형식으로 결합할 수 있는 소스들의 동기화를
필요로한다.
즉-믹스,와이퍼,인서트,키,이펙트와 같은 모든 과정들은
눈으로 볼 수 있는 화상을 만들어 내기 위해 동기화를
필요로한다
. 싱크 제너레이터 (Sync Generators)
동기 신호 발생기는 TV시스템의 요소들을 생성하는 다양한
영상들을 제어하기위해 필요한 모든 필수적인 타이밍
정보를 정확하게 만들어 내는 기능을 한다
텔레비젼 시스템 에서의 전형적인 동기 신호 발생기는
서브캐리어의 대략 3.58MHz이다
즉 전형적인 동기신호 발생기는 서브캐리어의 4배를 발생
하는 내부 오실레이터를 가진다
* 디지털 시스템의 오실레이터 기준은 세계적으로 27MHz고
* 아날로그 시스템에서의 주파수 대역 정확도는 1~10Hz며
디지털은 1Hz 이다
제네레이터 록킹 시스템(흔히 젠록이라부름)은 최대
50Hz 정도까지의 변화를 허용하며 보통의 경우 시스템 상에서
마스터 싱크 제너레이터에서 모든 슬래이브 싱크제너레이터
에다 블랙 버스트(Black Burst)신호를 분배해 준다
각각의 슬래이브 제너레이터들은 BB를 받을 수 있는 젠록이
있어야하고 내부 오실레이터가 입력된 리퍼런스(reference)와
같은 위상과 주파수로 록(lock)시킬 수 있어야한다
* 두 개의 제너레이터가 젠록 될 때 주파수는 안정도에서
동작한다
. S N G (Satellite News Gathering)
통신위성을 이용한 뉴스의 소재전송형태 -
취재, 촬영, 중계, 편집, 텔렙슈퍼, 스튜디오 제작, 스튜디오
생방송의 모든 기능을 가진 미니 방송국을 취재현장에 설치하고
이동 위성지국을 설치하여 직접 전파를 위성에 보내는 시스템
1984년 미국에서 처음 사용
. 싸이런트 필림 (silence filim)
자막,음악, 이미지로 작품을 구성한 필림(세계 최초 북극의
나눅 이라는 다큐멘터리가 이런 작품으로 탄생)
ㅇ.
. 아우트 포커스 (Out Focus)
촬영대상에 초점이 맞지 않는 상태 -흐린초점- 비 현실적이고
심리적인 영상의 표현 효과를 높이기위해 의도적으로 할 때도있다
. 아이 라이트 (Eye Light) -캧치 라이트
연필 모양의 작은 스포트라이트-이 라이트를 눈동자에 비추어
광원이 빛나서 반짝이고 눈동자가 생생하게 보인다
. 아이 라인 (Eye Line )
카메라에 대한 시선의 방향으로 애기하는 사람의 위치가 정해진다
카메라를 처다보면서 애기하면 보고 있는 상대는 같이 대화하는
인상을 받는다
. 아이리스 (Iris)
조리개 렌즈 사이에 장치된 얇은 금속판으로 촬상면에 들어오는
입사광량을 조절하는 기구로- 눈금은 F 넘버를 표시하고- 조명
에서는동심원 모양의 렌즈의 구경이 연속적으로 변화함으로써
밝기를조정하는 개구조리개( 밝기를 서서히 약하게하는)와
시야조리개(조명광의 넓이를 작게하는) 가 있다
* 핀스포트 라이트에는 아이리스 기구가 붙어 있어
아이리스 인/아웃을 할 수 있다
. I TV (Industrial Television)
공업용 TV-위험한 작업의 원격 조작이나 감시용으로 쓰이는
폐회로TV를 말함 방송용이 아닌 업무용 TV를 총칭해서도 씀
. 애니메이션 (Animation)
동화 ,아니마-즉 생명을 어원으로하여 생명을 준다는 의미를
갖는다프레임 마다 조금씩 움직여 촬영하면 마치 생명을 얻어
자력으로 움직이는 것 같이 보이는효과
. 애드 리브 (Ad Lib)
프로그램 제작은 대본에 따라 진행되어 가지만 상황 분위기에
따라 즉흥적인 이야기의 진행을 말한다
요즈음은 프로그램의 첫머리와 종료 부분만을 정하고 도중은
애드리브로 진행을 많이 한다 -좌담프로나 오락프로 잘할수록
인기의 척도로 본다
. 애스펙트 비 (Aspect Ratio)
이미지 사이즈의 종횡 비를 말함 -보통TV에서는 3 :4이고-
2,3인치 카메라에서는 6.6mm : 8.8mm 대각선 11mm가되며
하이비젼은 9 :16이다
. 엑센트 라이트 (Accent Ratio)
일부를 강조하는 특징으로 보통은 뒤에서 비친다- 터치라이트,
에지 ,라이트 등이있다
. 앰부랠러 라이트 (Umbrella Light)
우산모양의 커다란 후드와 전구를 결합시킨 조명기구로 - 후드의
내면은 반사율이 높은 은색이나 백색으로 되어 높은 확산 반사광을
얻는다
. A M (Amplitude Modulation)
진폭변조-TV의 영상신호는 이방식으로 방송되고 있다
. F M (Frequence Modulation)
주파수 변조 -오리지날 신호가 변할 때 방송주파수가 변화하는
방식으로 F M라디오 반송파에 실린 신호 TV방송의 소리는
FM 방식을 채용
. 엔코더 (Encorder)
비디오 카메라 회로의 제일 끝으로- RGB각 채널의 싢에서 휘도신호,
색신호를 만들고, 또 이것을 NTSC, PAL, SECAM 등의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
. 엘러쿠션 (elocution)
발성법으로 낭독, 암송, 연설 등이 모두포함
. 오버 랩 (Over Lap)
디졸브라고도 하며-앞 화면이 서서히 사라지면서 그 화면위에
겹쳐서 다음 화면이 서로 연관된 의미를 가지면서 장소의 변화,
동작의 생략, 시간의 경과를 나타내는 영상의 표현수법이다
. 오 더 쇼울더 (Over Shoulder)
마주보고 애기하고 있는 사람의 어깨 넘어로 촬영하는 카메라 사이즈
앞 사람의 어깨 너머로 3/4 정도 잡는다
. 오토 블랙 밸런스 (ABB Auto Black Balance)
아이리스를 닫았을 때 RGB 신호 레밸의 차이가 없도록(무채색이
검은색이 되도록)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기능
. 오프 샷 (Off Shot)
이야기하는 사람은 화면에 넣지 않고 그이야기를 듣는 사람을 잡는샷
이야기 내용에 따라 화면에 보이는 사람이 어떤 반응 (리액션 RA)
을 보이는지 나타낸다 * 오프 씬 이라고도 함
. 오프 스테이지(Off scence)
무대밖에 나와있는것 .TV에서는 스튜디오 내에 있더라도 카메라의
시야에서 벗어나 있는 것.영화에서는 그 사람이나 물건이 스크린에
보이지 않는 것.
. 온라인 편집(On-Line Editing)
편집한 것을 직접 또는 간접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방송에 쓰는 경우
이 편집을 말하는데,오프라인의 편집결과로 만든 데이터를 바탕으로
오리지널 소재를 실제로 편집하는 것을 가리킬 때가 많다. 편집시스템
으로서는 재생1대 수록 1대의 1:1방식과 재생 2대의 AB방식이 기본이
된다.온라인 편집은 VTR과 컴퓨터가 연결되어 편집되는데 이와는 달리
손으로 편집하는 것을 오프 편집(Off Editing)이라고 한다.
. 온 카메라(On Camera)
몇 대의카메라를 써서 방송이나 프로그램을 제작할 때 각 카메라에서
보내오는 영상을 스위처가 바꿔가며 하나를 선택하는데,이 때 선택되는
카메라를 온 카메라라고 한다. →오프 카메라
. 옴니버스(Omnibus)
하나의 테마를 여러 각도에서 다루어 각기 독립된 줄거리로 엮고,전체를
일관된 분위기로 나타내도록 구성한 드라마나 쇼.한 사람이 제작하기도
하고,여러 사람이 분담해서 제작하기도 한다.
. 와이프(Wipe)
TV나 영화에서 쓰는 화면전환기법의 하나.화면의 어느 부분에서
닦여지면서 다른 화면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효과인데,그 모양이
상하좌우,대각,원형,격자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또 그 경계를
흐리게 하든가,그 사이에 테를 두르든가,외부에서 변조신호를
가하든가 등,파형의 바리에이션과 결합시켜 다채로운 효과를 만든다.
. 와이프 아우트(Wipe Out)
와이프 중인 화면을 노멀,즉 와이프가 없는 화면으로 바꾸는 것.
. 와이프 인(Wipe In)
화면을 와이프 화면으로 만드는 것.
. 원 샷(One Shot)
화면에 한 사람 또는 하나를 촬영하는 것.
. 원근감(Perspective)
똑같은 것을 촬영 하더라도 사용하는 렌즈에 따라 공간의 넓이와
원근감이 달라진다.와이드 렌즈에서는 거리감이 없어 간격이
딱 붙은 인상을 준다.
. 위상(Phase)
TV화면의 주사와 같이 어떤 주기운동에서 시간적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2개의 신호가 동시에 일어나면 위상이 엇갈렸다고 한다.
. 위상변조(Phase Modulation)
VTR에서는 드럼 서보계내의 속도 제어 루프에 속한다.기준신호와
드럼의 태그 신호의 위상을 비교하여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 생기는
오차 전압에 의해 이상시켜 이 발진기 출력으로 세밀하게 제어된다.
. U 매틱
U-Matic 소니가 개발한 3/4인치 폭의 카세트 테이프를 쓰는 VTR.
최근에는 거의 쓰지 않는다.
. UV 필터 (Ultraviolet Filter)
자외선 흡수 필터.헤이즈 커트(Haze Cut)필터라고도 함.
대기 중에 끼어있는 400nm이하의 단파장 자외선을 흡수해서 깨끗한
화면을 만들고,아크라이트나 수은 등에 끼우면 자외선을 쉽게 제거
할 수 있다.
카메라에서는 렌즈 보호를 겸해 사용한다.=>스카이 라이트 필터
. 이동촬영(Dolly Shot)
Track Shot 카메라를 이동하면서 촬영하는 것.
카메라를 이동차에 싣든가,레일 위를 움직이는 이동차를 이용하는
외에 크레인을 써서 입체적으로 움직이는 방법도 있다.
손으로 들고 이동하는 것은 가장 간단한 이동촬영이다.연속되는
샷 속에서 움직이고 있는 것을 평행이동하면서 연속적으로 팔오루
하든가,카메라를 중심이 되는 대상물로 접근시키든지 멀어지게
함으로써 입체적인 이미지의 몽타쥬를 만든다.또 카메라를 손으로
들고 이동함으로써 등장인물의 눈이 되어 주관적인 표현을
할 수도 있다.드라마 이외의 로케이션에서는 스탭이 적으므로
조립식으로 된 소형 크레인이나 소형 이동차가 좋으며,
다양한 타입의 이동차들이 있다.특별한 곳에서는 모노레일 타입의
이동차나 하나의 롤을 이용하여 리모트 콘트롤되는 팬 헤드에 부착한
카메라를 모터로 상하이동시켜 엘리베이터 효과를 내는 장치 등도
나와 있다.
. 이미지 샷(Imaginery Shot)
작품의 테마를 교묘하게 상징하든가 인간의 내면에 호소해 인상을
강하게 하기 위한 상징적인 샷.스토리의 전개와 직접 관계가 없는
것일 때도 많다.
. 이미지 라인 (Imaginery Line)
같은 씬에서 인물이나 물건의 위치관계,방향성 등을 보는 사람이
혼란되지 않도록 촬영할 때 기준으로 상정한 선을 말함.
예컨대 마주보고 있는 두 인물을 촬영할 때 카메라 위치가 항상
두 사람을 잇는 선의 한쪽에 있으면,얼굴 방향이나 시선의 방향이
통일되어 불필요한 혼란을 피할 수 있다.운동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이 기준을 넘어 촬영한 샷을 연결하게 되면,
어떤 목적지를 향해 가고 있던 사람이 어느 사이에 되돌아 오는
인상을 낳게 된다.
. 이스태블리싱 샷 (Establishing Shot)
전체의 모양이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이 되는 샷.
롱 샷이라고도 한다.
. ENG (Electronic News Gathering)
비디오 카메라 뉴스 취재 시스템.카메라와 VTR 일체형으로 뉴스를
취재하는 시스템인데,미국의 CBS가 처음 이 방식을 쓰면서 ENG라고
부른데서 비롯되었다.현상과 편집을 필요로 하는 16mm필름 취재에
비해 속보성이 뛰어나다
. 이퀄라이져 (Equalizer)
자동이나 수동으로 이 이퀄라이져이션을 맟추는 비디오나 오디오 회로
. 인서트 (Insert)
연속되어 있는 장면속에 전혀 이질적인 샷을 끼워 넣어서 내용의
이해를 돕는다
앞 뒤 그림의 연결을 원활하기위해, 구체적인 설명을 첨가하기위해,
그곳의 상황을 강하게 인상 지우기위해 사용
. 1인치 헤리컬 VTR ( 1Inch Helical VTR)
1인치 비디오 폭의 테잎을 사용하는 헤리컬 주사방식의 VTR
현재는 일반적으로 1인치 C 포맷을 가리킨다
. 임피던스 (Impedance)
교류 회로에서 저항분 ,
교류전압과 교류의 비 로 직류회로의 저항에 상당하는데,
교류의 주파수에 따라 그 저항분은 변화한다. 교류저항이라고도 하고
임피던스가 높고 낮은 것을 Hi-z Low-z 으로표시한다
. A-B Roll Edit (A-B롤 편집)
일대일편집과 달리 편집에 원본 소스를 두 개이상 이용하는 것으로
시스템을 살펴보면 재생용VTR2대, 리코딩용VTR1대, 프로덕션 스워처
1대가 필요하며
1.일대일 편집의 단순한 작업뿐 아니라 다양한 편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2. 편집시 3대의 VTR을 컨트롤 해야하기 때문에 컨트롤러가 필수인 것이
또 단점이랄수있다
. A-D D-A 컨버터 ( 트랜스 코더 라한다)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를 ADC라하고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장치를 DAC라한다.
이러한 두가지 기능을 다 포함하는 장치를 TRANSCODER라고도함
. 안티알리아싱 (Anti-aliasing)
일반적으로 컴퓨터 그랙픽에서 많이 쓰는 용어로 낮은 해상도의
그래픽에서 작업된 이미지를 확대해서 보면 이미지의 edge 부분이
톱니모양으로 보일 때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효과
. APC (Automatic Program Control)
일종의 컴퓨터로써 방송국에서 방송시작에서부터 종료시까지의
방송 스케줄을 통제하는 것이다. 현재 모든 방송사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모든 송출시스템을 통제한다고 할 수 있다.
. 아카이빙 (Archiving)
비디오,오디오,테이터 등 모든자료를 보관하는 것으로 현재 디지털
방송의 본격개막을 앞두고 더욱 활성화될 전망이다.( 대용량의 저장
장치에 자료들을 압축하여 저장하고 보다 빠른 고속전송이 가능하다.
ㅈ .
. 자동게인 컨트롤 (Automatic Gain Control)
AGC-라하며 ,신호를 미리 정해진 레벨로 자동조정하는 전자회로
또는 자동볼륨 조정 (보통 오디오 기능을 가리킨다)
ALC-오토 레벨 컨트롤-자동 이득제어 라고도한다
. 잔상현상 (Persistence of Vision)
오늘날 영화나 TV 시스템을 가능하게 한 눈과 뇌의 기능, 즉
어떤 이미지라도 망막상에 남아 있는 것 첫 번 이미지와 똑같은
이미지가 연속해서 이어지면 그 두 이미지를 구별하지 못해서
움직임으로 지각 되는 현상
. 장 초점 렌즈 (Long Focus Lens) : Narrow Lens
표준 렌즈보다 긴 초점거리의 망원계렌즈로 장초점 렌즈를 사용함
으로써 인물촬영에서는 배경을 흐리게 하는 효과를 얻는다
. 점프 샷 (Jump Shot)
같은 동작, 같은 사이즈, 같은 방향의 샷을 연결하면 동작과 연속성
이 손상된다 이렇게 화면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고 튀는 샷을 말함
. 접사 / 접사렌즈 (Close Up / Close Up Lens)
피사체가 그렇게 작은 것이 아닐 때는 표준렌즈에 브록서를 끼우거나
마크로 기구를 이용해서 접사 할 수 있으나, 길이가 5~7mm정도가
되면 접사랜즈가 필요하게 된다
현재 비디오용 렌즈는 특별히 없고 필림렌즈의 마운트를 개량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1:1의 확대율까지 대응할 수 있다
그밖의 방법으로는 표준렌즈앞에 스틸용 접사렌즈를 끼워서 쓴다
확대율을 크게하면 화면이 어두어지므로 조명이 필요하며 ,조명으로
인해 자료에 열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글라스 파이버를 이용한 라이트도 쓰기에 편하다
. 조광기 (Dimmer)
라이트의 밝기를 가감하는 장치로,
저항기에 의한 방법과 오토스렌스에 의한 방법 그리고
진공관 (사이러 트론)을 이용한 방법이있다
. 조도 (Illumin nance)
수광면의 빛의 양 , 1m3의 평면에 1루멘 (1m)의 광속이 입사할 때
그 면의 조도는 1룩스라한다 단위는 룩스(Lux)
. 조작봉 (Control Pole)
높은 곳에 설치된 조명기구의 팬과 틸트를 조정하는 막대
쇠장식을 붙인 카본 파이버 막대를 사용한다
. 조정탁 (Con tror Console)
주조정실이나 부조정실에 있는 조정용 데스크로서 음성전류나
영상전류를 조정하는기기설비 흔히 CC라고함
. 주광선 (Main Light)
라이팅에서 주가되는 조명광 조명에서 가장 중요하다
. 주사 (Scanning)
화면을 많은 회선 (주사선)으로 분해하고, 그선상의 명암을
좌단으로부터 차례 차례 전기 신호로 바뀌어 가는 것을 말함
주사에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주사하는 수평 주사와, 위에서
주사하는 수직주사가 있다 주사선 수가 많으면 상이 선명해지고
1초간에 보내는 화면의 장수가 많으면 상의 깜박거림이 적다
각 국의 주사선과 매초 장순는 TV 방식에 따라 다른데 우리나라
에서는 525 라인에 30장, 영국 등에서는 625라인에 25장이다
. 주사 빔 (Scanning Beam)
주사에 쓰는 빛, 또는 전자 비임을 말함 현재 TV에서는
송수신이 모두 이 전자 비임에 의해서 된다
. 주파수 (Frequency)
하나의 신호가 매초 진동하는 수를 말하며 사이클 /초(CPS),
또는 헤르츠 (Hz) 로표시한다
. 줌 렌즈 (Zoom Lens)
원리 : 단위 렌즈와 피사체의 거리가 바뀌면 배율을 바뀌야 하지만
결상위치도 바뀌므로 똑 같은 결상 면을 얻기위해서는
초점을 맞추는 기능이 필요하다
2장의 렌즈를 사용하면 상의 배율을 바꾸면서 결상면을 바꾸지
않아도된다, 이것이 현재 가장 간단한 줌렌즈이다
이처럼 오목렌즈군과 볼록렌즈군의 2군 줌렌즈는 스틸용 35~75mm
등 줌비율이 적은 렌즈에서 사용되고 있다
*- 방송용 줌렌즈 : 상배율을 바꾸기 위한 오 목렌즈군을 바리에이터라
하고, 초점이 틀리는 것을 연동하여 보정하는 볼록렌즈 군을
컨팬세이터라 한다
. 줌 샷 (Zoom Shot)
줌렌즈로 잡은 이동화면 으로 롱샷에서 클로즈업으로 점점 다가가는
줌 인과 클로즈업에서 롱샷으로 점점 멀어져가는 줌 아우트가 있다
. 줌 팔로우 (Zoom Follow)
인물등 움직이는 물체를 줌렌즈로 사이즈를 수정해 가면서 따라주는 것
보통 움직이는 인물을 같은 사이즈로 팔로우 할 때는 이동차와 레일을
쓰는데 3각대에 카메라를 고정시켜 촬영할 때 줌 렌즈로 사이즈를
똑 같게 수정 하면서 찍는 것이 줌 팔로우 이다
중계차 (O B Van O B는-Outdoor또는 Outside로 Broadcating의 약칭)
이 차에서는 카메라, 영상스워처, 음성믹서 콘솔, 연락용 무전기, FPU
송신기, 영상음성 모니터, VTR, 케이블류, 등을 장비하고
스포츠 무대중계 등 국외의 프로그램 제작에 쓰인다
ㅊ.
. 채널 (Channel)
TV에서 TV방송에 맞춰진 주파수 대역의 공간을 말하며
그 넓이는 나라마다 다른데 미국에서는 6MHz 정도이고
조명에서는 독립된 조명 컨트롤이 되는 소자 수 이다
통상 조광제어소자 수를 의미하는데, 넓은 의미로는 조광 유니트
회로 수를 나타낸다
. 채도 (Chroma)-Chrominance
색의 3속성중 하나로 색의 선명함을 나타내는 척도, 휘도와는
구별되는 물체의 색상과 색농도을 말한다
. 초점 심도 (Depth of Focus)
렌즈의 영상 면과 촬상관의 타기트 에리어의 초점이 흐려지지 않는
허용오차 , 즉 촬상면상에서 결상한 상의 흐려지는 정도가 어느
일정한 범위보다 작은 경우, 흐려진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이 허용 착란원에 대한 초점의 범위를 초점심도라고 한다
또 초점심도에 대응하는 피사체 쪽의 범위를 피사계 심도라고 한다
. 촬상관 (Pick Up Tube)
렌즈에서 맺어진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진공관을말함
현재는 광전도를 효과를 이용한 플럼비콘, 사디콘 등의 축적관이
주류이며광도 전막상의 전하 변화를 전자 빔으로 주사하여 만드는
방법이 채댁 되고 있다
촬상면의 직경에 따라 1 4/1인치, 1인치, 3/2인치, 2/1인치가 있고,
구경이 큰 것은 주로 방송용 스튜디오 카메라에, 3/2인치는 주로
방송용.업무용 핸디카메라에 쓰이고 있다
2/1인치는 주로 홈 비디오 카메라에 쓰이는데 최근에는 C C D로
대체 됨
ㅋ.
. 카메라 (Camera)
비디오 시스템의 눈으로 불림
카메라는 빛을 흡수해서 촬상관,판 에의해 전기신호로 변환시킨다
빛에 감응하는 음극선관과 그에 영관된 전자회로, 렌즈의 광학계가
하나로 되어 어떤 잠면의 빛을 영상신호로 바꾼다
. 카메라 리허설 (Camera Rehear sal)
방송때와 똑같이 카메라를 써서 하는 총연습으로
연극에서는 드라이 리허설이라하고
*카메라 리허설은 통상 2번하는데 첫 번째를 블록킹 두 번째를
런드루(Run Through)라한다
. 카메라 믹싱 (Camera Mixing)
T D 가 여러대의 카메라에서 나오는 출력신호를 혼합하는 조작을 말함
. 카메라 앵글 (Camera Angle)
카메라 피사체를 잡는각도, 사각이라고도함
즉 대상에 대한 카메라의 상대적 높이로써 위에서 촬영하는 것을
하이 앵글 아이 레벨 밑에서 찍는 것을 로우 앵글이라함
. 카메라 포지션 (Camera Position)
피사체에 대한 카메라의 위치 관계
카메라 맨은 빠르고 정확하게 자기가 표현 하려고 하는 내용에
가장 알맞는 카메라 포지션을 잡는가로 승부한다
. 캐릭터 발생기 (Character Genertor)
TV 화면에 문자나 도형을 전기적으로 만들어 내는 기기
. 컬러 버스트 (Color Burst)
각 주사선의 시작에 넣어 컬러 신호의 위상을 결정하는 일련의
고주파신호, 영상신호의 백 포오치 부분에 삽입되는 색고신호의
기준이 되는 것 컬러 서부캐리어 3.58MHz가~8~11Hz이고, 그
위상진폭이 색신호의 복조를위해 기준신호로 쓰이는 색의 동기신호
. 컬러 필터 (Color Filter)
컬러 필터는 조명기구 앞에 붙여 빛의 색을 바꾸는 것인데
단지 색광을 바꾸는 것과 색온도를 바꾸는 컨버젼 필터가 있다
색광을 얻는 것은 프라스틱제와 글라스로 된 것이 있다
리 필터라 부르기도 한다
컨버젼 필터는 색온도를 높이는 것 (B)과 낮추는 것 (A)이 있다
. 컬러 프레임 (Color Frame)
NTSC 방식의 컬러 신호는 무채색의 화면에서 3.58MHz성분은
없으나,색이 있는 화면에서는 각각의 색에 맞는 위상의 서브캐리어
가 휘도신호에 실려있다 이 SC는 수평해상도로는 약 280라인의
성분이 되기 때문에 이것이 휘도신호에 방해되지 않도록 각 주사선
에 실리는 위상을 역상으로 하여 시각적으로 상쇄 시킨다
* 수평동기신호의 백 포치(BACK PORCH)에 삽입되는 기준
컬러 바스트의 위상에 대해서도 제1, 제2, 필드의 위상과
제3, 제4 필드의 위상은 역으로 된다
따라서 버스트의 위상이 완전히 반복되는 주기는 4필드이다
-이단위를 컬러 프레임이라 부른다
. 큐 (Q)
시작을 지시하는 신호
프로그램 속에서 액션이나 음악을 지시하기 위해 미리 약속되어
있는신호로 큐를 주는 것을 큐사인 이라한다
각 방송국 간의 절환신호도 큐라하며 편집 작업 중에는 편집점을 말함
. 큐 시트 (Cue Sheet)
TV방송중 각 모멘트마다 연기자나 카메라맨, 기술자가 해야할
액션이나 작업순서를 기록한 일람표라하며
1.제작단계의 큐시트를 매뉴얼 큐시트라하고
2.자동송출 시스템인 컴퓨터에 넣는 큐시트를 APC (Automatic
Program Control) 큐시트라한다
. 크루 (Crew)
영화에서는 실제로 촬영에 관계된 사람들을 가리키지만
TV에서는 디렉터를 포함 , 로케 스테프 전원을 가리키는 의미로 씀
. 클라이막스 (Climax)
드라마나 사건 등의 절정 ,최고조
. 클로즈 샷 (Close Shot)
카메라의 사이즈를 화면 가득히 잡는 것
테이블 위의 컵이나 사람의 얼굴 , 손이나 발 등과 같이 특별이
세부만 확대해서 잡은 화면
. 클로즈 업 (Close Up: CU)
인물의 경우는 보통어깨애서 머리까지를 잡는 화면
키네스코프 레코딩 (Kinescope Recording)
TV화상을 필림으로 촬영하여 영화 필림으로 만드는 것
처음엔 CRT 상의 화상을 그신호에 동기하는 녹화 카메라로 직접
촬영하는 방식이었쓰나
지금은 전자빔을 쓰거나 RGB의 3개 레이저광을 TV신호로 각각
변조하고 다이크로믹 미러에서 하나의 비임으로 하여 필림면에
직접 노광하는 직접방식이 쓰인다
. 키 라이트 (Key Light)
피사체를 조명하는 몇 개의 빛 중에서 중심이되는 조명으로
피사체의 형상이나 특징을 잘 표현하는 빛이다
보통은 스포트라이트나 메인 라이트가 키라이트가된다
. 콤포넌트 신호 (Component signal)
비디오 카메라 등으로부터 최초로 출력되는 신호는 R G B
신호이며, 이 신호에서 휘도 신호와 색신호로 분리한 신호가
Y . R-Y . B-Y 이다
. 콤포지트 신호 (Composite signal)
비디오 신호는 영상신호, 동기신호, 블랙킹으로 구성되는데,
NTSC 신호와 같이 이들의 신호가 합성된 것을 말함
즉 - 당근+ 야쿠르트= 주스
ㅌ.
. 타이트 샷 (Tight Shot)
화면에 빈틈이 없이 피사체가 강조되도록 크게 잡은 샷
. 티어링 (Tearing)
TV 에서 주사선 동기의 부분적 결함으로 인한 화면의
부분적인 혹은 전체적인 붕괴현상
. 타이틀 (Title)
자막으로- *메인 타이틀: 처음에 나오는 제명, 스탭캐스트 등의
톱 타이틀이있고-*아트 타이틀 : 미술적인 의장이나 글씨로 쓴
자막으로 대부분의 메인 타이틀에 쓴다 * 서브 타이틀 : 설명
자막으로간단한 해설이나 연대, 장소 등을 나타내며
캡션(Caption)이라고한다
* 엔드마크 : 끝을 알리는 자막 4가지가 있다
. 타이틀 슬라이드 (Title Slide)
프로그램의 표제나 제공자 등을 나타내는 스라이드
. 테스트 패턴 (Test Pattern)
TV 수상기를 조정하도록 방송되는 도형인데 이 화상으로 화면의
크기,찌그러짐, 해상도 , 컨트라스트 등을 조정할 수 있다
. 테크니컬 디렉터 (Technical Director) -TD
프로그램 제작에서 조명 ,카메라, 음향 등 기술 스텝의 책임자로
스튜디오에서는 일반적으로 스워쳐도 겸한다
. 트랙 킹 (Tracking)
비디오 헤드가 비디오 테잎상에 기록된 비디오 트랙상을 재생할 때
정확하게 추적 조사하는 것을 말함
재생때 재생되는 컨트롤 신호의 위상과 헤드 드럼의 회전 펄스
위상을 일치시키도록, 서브를 걸어 캡스턴의 회전
(테잎 주행속도)을 컨트롤하여 정확히 추적한다
* 다이나믹 트래킹 헤드를 쓰면 재생테잎의 오차로 생기는 트랙킹
각도를 보정한다
. 트럭 샷 (Truck Shot)
이동샷의 일종 레일 위에 이동차를 놓고 그위에 카메라를 실어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것
. 트럭킹 (Trucking)
달리가 달려있는 삼각대나 카메라 페디스탈을 사용해서 카메라를
전후좌우로 움직이는 것
. T B C (Time Base Corrector)
시간축 보정기-VTR이나 비디오 디스크의 재생 신호는 시간축
변동이 있다, 이것은 모터의 회전 얼룩이나 디스크의 편심에 의해
발생한다, 이것을 제거하는 회로가 T B C회로이다
ㅍ.
. 팔로우 샷 (Follow Shot)
피사체가 움직이는 데 따라 카메라를 팬 또는 트랙해 서 따라가며
촬영하는 것을 말함
팔로우 팬-움직이는 피시체를 카메라가 따라가면서 패닝
팔로우 포커스-화면속에서 대상이 움직이는데 따라 여속해서
초점을 이동 시키는 것(초점 이동)
. 페디스탈 (Pedestal)
스튜디오 카메라를 싣는 카메라 페디스탈 의 약자
* 실제로 촬영하는 영상신호의 블랙레벨 선정을 페디스탈이라고한다
* 페디스탈은 통상 영상의 블랙 부근의 디테일을 포함한 노이즈가
클립되지 않도록 세트 업보다 2.5~5% 올린데에 설정된다
R G B각 채널을 각각 조정하여 블랙 밸런스를 잡는데, 이에더해
토탈 페디스탈로 전 채널을 동시에 똑같이 움직일 수 있으므로
C CU 나 리모컨이 잇는 카메라에서는 토탈 페디스탈로
영상에따라 블랙 레벨의 일시적인 팔로우를 할 때도 있다-세트 업
. 페이드 아웃 (Fade Out) -F O
영상레벨을 내려 화면을 차츰 어둡게 하여 보이지 않게 하는 것
오디오에서는 소리를 점점 사라지게 하는 것을 말한다
페이드 인의 반대
. 포그 필터 (Fog Filter)
화면전체가 안개에 둘러싸인 것처럼 뿌옇게 보이는 특수처리 필터
. 프레임 인 /아웃 (Frame In/Out)
촬영대상이 화면 밖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인 반대를 아웃이라함
촬영하면 화면연결이 부드럽고 시간과 장소를 생략하거나
비약시킬 수 있다
. 프롬 프터 (Prompter)
*연극이나 오페라에서는 무대뒤에 숨어서 출연자에게
대사나 가사를 알려주는 사람
*TV 에서는 가사나 대사를 적은 종이를 카메라 밑에 두든가
프롬프터 스크린을 써서 보여준다
. 프리 뷰(Preview)
편집때 작업전 비디오 신호를 모니터 하는 것
. 프리이즈 효과 (Freeze Effeect)
움직임이 있는 영상을 결정적인 커트에서 스톱모션을 하는 것
즉 VTR을 정지화 하는 것과 프레임 메모리의 프리이즈를
이용하는방법
. 플래트 키 (Flood Key)
화면속에서 밝은 부분이나 어두운 부분이 적고 중간조 가 많은 톤
. 플러드 라이팅 (Flood Lighting)
베이스 라이트 처럼 씬 전체를 똑같은 밝기로 비추는 것을 말함
. 플로어 디렉터 (Floor Director)
프로그램 디렉터 PD를 보좌하는 연출 조수 보통은 FD라하며
촬영때에는 스튜디오 플로어에서 부조정실의 PD로부터 지시
를 받아 스탭이나 출연자에게 전하든가 준비단계 에서는 제작
스케줄, 연기자의 수배 등을 하는 프로그램 제작의 주체이다
. 플리커 (Flicker)
껌벅거림 즉 화면전체의 영상이 순간적으로 밝아졋다 변화하는
것 1초간에 프레임 수가 모자라면 화면에 껌벅임이 생긴다
그원인은 -광도전막의 표면전위 변화와 그에 의한 빔 벤딩
때문인데타기트 상에서 부분적인 전하가 주기적으로 남기
때문이다또 빔 직경이 작을수록 , 광도전막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발생하기 쉽고 빔 엔딩 에러에도 크게 좌우된다
. 핀 스포트 라이트 (Pin Spot : Follow Light)
솔라 스포트와는 반대로 투사면에 원형의 뚜렷한 윤곽을
만들고, 연기자의 움직임을 따라가며 무용이나 쇼 등에서 중심
인물을 부각시키는데 쓴다
. 필 라이트 (Fill Light)
보조광으로- 키라이트로 생긴 그림자 부분과 어두운 부분을
보완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라이트
인물조명에서 필라이트와 키라이트의 비율은 통상 2/1~3/1을 쓴다
. 팔 (PAL: Phase Altemation Line)방식
칼라TV 방식으로 1962년 서독의 텔레픈켄사에서 개발
2색차신호 중 R-Y를 주사선마다 위상반전 시켜 변조한다
1초간에 25프레임이기 때문에 NTSC의 30프레임보다 어른거림이
다소 눈에 띠나 주사선 수가 625라인 이기 때문에 영상의
결이 세밀하여 화질은 좋다
칼라 위상의 찌그러짐이 적고 송출계 시스템의 기술이 간소화
되지만 수상기가 복잡하여 코스트가 높다
주로 서독, 영국 네덜란드 북한 등이 사용하고 있다
. 프레임 / 필드 (Frame / Field)
TV 의 영상은 1초간에 30매의 화면으로 구성된다
1매의 화면을 1프레임이라하고 1프레임은 525라인의 주사선
이필요하지만,어른거림 등을 없게 하기 위해서 525라인의
반 인 262.5라인의 주사선을 사용하여 60/1초로 화면을 만들고
다음에 나머지 262.5라인의 주사선이 마찬가지로 60/1초로
앞의 주사선 사이를 주사하여 만든다 이것을 비월주사라 하며
60/1초에 만들어진 눈에 거친 화면을 필드라 한다
또 이 필드의 앞의 것을 기수필드, 뒤의 것을 우수필드라
하며, 두 개의 필드로 1개의 프레임을 만든다
. 파형 모니터 (Wave Moniter)
보통 사용상태는 2라인 주기 2필드 주기로 사용하고 있다
측정의 목적에 따라 수직축의 주파수특성을 전환한다
주로 FLAT로 사용하지만
1.루미넌스 성분을 관측하고 싶은
때에는 LPASS(Low Pass)의 위치,
2.크로미넌스 성분을 측정하고 싶은 때에는 CHRM (Chroma)
의위치을 선택하며 주파수의 특성은 거의 6MHz까지 평탄한
특성이 얻어진다
입력영상 신호에 큰레벨 변화나 APL의 변화가 있으면 파형이
상하로변동하여 보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영상 신호의 백 포치
부분을 OV에 크램프하여 상하의 드리프트를 없게 할 수가 있다
이것을 DC레스토아라 한다
VTR 모니터 채크에서 CTL파형이나 RF에벨로프 파형을 관측
할 때에는 DC레스토아를 OFF로 하고 외부 SYNC에 록크
시키는 것이 체크하기쉽다
. 팬 스틱 (Pan Stick)
기본 피부색을 만들어 주는 화운데이션 (기본 분장)
ㅎ.
. 하이 샷 (High Shot)
눈 눞이 보다 더 높은 곳에서 잡는 앵글 샷
. 하이 포지션 샷 (High Position Shot) HP
크레인 이나 지미 짚 등을 사용해 높은곳에서 촬영하는샷
. 합성 마스터 (Composite Master)
제각기 녹화된 테이프의 부분들을 새로운 테이프에 편집해서
만든 오리지널 프로그램
. 해상력 (Resolving Power)
렌즈 및 필림에서 쓰이는 용어로 TV 카메라를 평가할 때는
해상도와는다르다 해상력은 렌즈 분해 능력의 한계를 나타내는
수치로서 통상 정현파 차트에서 상의 세밀한 재현성을 살핀다
TV는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모니터 상에 재현하는
것이므로, 렌즈의 분리 한계능력 보다도 전기게의 주파수
대역에 의해 좌우되는 수치가 문제로 된다
. 핸디 촬영 (Handy Camera)
카메라를 삼각대에 고정시키지 않고 손으로 들고 촬영하는 것
특히 뉴스나 다큐멘타리 등 에서는 다음에 어떤 일이 일어날지
예상할 수 없으므로 즉시 대응 할 수 있고, 카메라 포지션을
쉽게 바꿀 수 있는 등 장점이 있다
. 호리 존트 (Horizont)
스카이라인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극장의 무대 안쪽에
설치한 회색으로 된 막이나 스튜디오의 주변에 설치한 흰 벽
여기에 조명을 비춰어 하늘이나 무한의 공간을 표현한다
벽의 상부가 수직으로 된 것을 룬트 호리존트, 만곡으로 된 것을
쿳벨 회리존트라 한다 - 사이클로라마와 같음 (cyclorama)
. 호리존트 크로마 키 (Horizont Chroma Key)
크로마 키를 사용할 때 전용의 블루 막을 사용할 때가 많으나
호리존트를 착색하여 블루 백으로 이용하는수법 등
조명의 변화로 배경을 순간 적으로 합성 영상으로 바꾸는
인상적인 연출을 할 수 있다
. 확산 (Diffusion)
빛의 산란 으로- 빛이 작은 요철면에 입사할 경우, 또작은
입자로 된 물질을 통과할 때, 빛은 확산 반사 또는 확산통과한다
. 효과 조명 (Special Light)
특수효과용 조명기구로써 구름이나 ,눈, 파도와 같은 효과를 만든다
그 재료가되는 운모 판이나 프라스틱 판을 에팩트 디스크라 하고
이것을 회전시기는 기계를 에팩트 머신이라한다
. 휘도 (Luminance : Brightness)
물체나 그 물체에 대해 만들어지는 비디오 신호의 밝기
즉 -발광면 또는 반사면의 관측 방향에 대한 빛나는 정도,
휘도의 단위는 촉광/평방센치(cd/m2)로 나타내고, 스틸브라한다
카메라의 영상레벨은 피사체의 휘도에 반비례한다
. 휘도 신호 (Luminance Signal)
씬을 흑백의 밝기 만으로 표현하는 영상신호 ,통상 Y 신호라한다
. 휘도 컨트라스트 (Luminance Contrast)
피사체 컨트라스트에 조명 컨트라스트를 곱한 것 ,
TV 조명설계에서 휘도설게가 중요한 이유는 휘도 컨트라스트가
영상레벨에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 휴 (Hue)
물체의 색을 지정하는 일차적인 요소로서 휴 또는 틴트 (Tint
: 색상 )가 있다
컬러 TV 의 경우는 3.58 MHz의 색신호 위상각에 의해 이휴가
변화한다
이조정기를 휴 콘트롤 또는 틴트 콘트롤 이라고 부르며,
이것을 크로마 신호를 검파하는 축으로써 로컬 오실레이터
3.58MHz위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컬러 바를 모니터에 입력시켜 휴를 조정하는 것이 가장
정확한 방법이다
. HDTV (High DefinitionTV)
고품위 TV -하이비젼이라고하며-1125 TV선 / 60Hz의 유럽방식이다
. 화면비 (Aspect rate)
TV나 영화화면의 종횡비로 현재 우리나라 아날로그 방식인 NTSC
방식은 4:3이고 디지털 방송에서HDTV의 종횡비는 16:9이다.
* VJ란 무엇인가
VJ란 1인이 기획·취재·편집·방송을 도맡아 하는 저널리스트를 일컫는다
VJ란 제작당사자 가카메라를 직접·조작취재한뒤 얻어진 영상,음성정보를편집해 완성된 영상물로 제작하는 저널리스트를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1인제작시스템’(one-man Produeing System)인 것이다.
1인제작시스템이기 때문에 혼자서 기획·취재·편집·방송까지 전과정을 책임진다.
기존 제도권방송의 제작시스템과 많은 차이를보이고 있다.
제도권 방송의 제작은 대략 이렇다. 한 프로를 제작하기 위해 담당 프로듀서, 작가, 조명, 음향, 마이크 등 최소한 다섯 명은 필요하다. 장비들을 차에 실으려면 일반 승용차로는 안 된다.
봉고차 정도의 큰 차가 동원되야 한다. 현장에 도착해 장비를 내리고 세팅하고 준비하는 시간만해도 몇시간은 걸린다.
그리고 덩치 큰 방송용 카메라인 '베타캠'으로 촬영하기 때문에 취재원들은 다소 긴장을 하게 되고 입이 얼어 말도 제대로 못한다. 그러면 담당 프로듀서는 자상하게도 종이에 취재원의 얘기가 아닌 자신의 얘기로 아니 좀 더 솔직하게 말하자면,
방송용 언어로 그들에게 멘트를 땄으면 그걸로 끝이다. 필요한 것을 건졌기 때문에 더 이상 그곳에 머물러 시간낭비(?)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심층취재가 안되고 단발성식 취재가 돼 버리는 것이다.
VJ시스템은 안일한 기존 방송제작시스템에 대항해 탄생된 것이다. VJ시스템은 일인제작이기 때문에 단 한사람만 필요하다.
취재할 때도 혼자 나가기 때문에 같이 나가는 사람을 기다리는데 드는 시간이 필요하다. 덩치큰 '베타캠'이 아니기 때문에
취재원들은 부담없이 그들의 얘기를 털어놓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취재하고자 하는 내용의 대부분, 아니 그 이상을 얻어 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 카메라이다
보니 항상 소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 카메라이다 보니 항상 소지할수 있어 기동성이 뛰어나다. 사건, 사고라는 것이 예고하고 일어나는 것이 아니어서 현장에만 있다면 특종도 건질 수 있는 최대강점을 지니고 있다.
VJ시스템을 최초로 도입한 사람은 미국의 존 앨버트이다(72년 초).
그는 택시운전사였는데 노조에서 활동하던 동료들의 활동을 카메라에 담으면서 영상저널리즘에 눈을 떳다.
그가 유명해지게 된 계기는 미국이 전혀 들어갈 수 없는 곳만 찾아서 취재를 했기 때문이다. 쿠바를 찍은 일화가 그렇다. 국교가 단절된 관계로 쿠바인들의 박대가 심했는데 그는 거기서 포기하지 않고 일단 사람들과 친해지려고 노력했다. 친해지고나면 거부감도 덜 들 것이고 그러다 보면 자연 취재가 가능할 거라는 계산하에서였다.
그의 계산은 정확히 맞아떨어져 1년간 그들과 야구를 같이 하면서 쌓은 친밀감으로 밀착취재에 성공했다.
그때 촬영한 것이 'CUPA People'(1974)이다.
존앨버트가 'VJ시스템의 원조'라면 마이클 로젠블럼은
현재 미국의 '대표적 VJ'로손꼽히는 사람이다. 그는 CBS방송국의PD였는데 TV의 무정함에 회의를 느껴VJ가 된 케이스이다.
그는 이스라엘 가자지구의 난민촌으로 들어가 동거동락하면서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았다. 그후 그는 92년 기자출신 폴세건과 함께 뉴욕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24시간 지역뉴스 채널인 <뉴욕 원 뉴스>를 설립했고 이듬해인 93년
단독으로 비디오 뉴스 인터내셔널(VNI)이라는 회사를 설립했다.
이외에도 현재 활동하고 있는 동양인 VJ로는 일본의 노나까 아히로와 한국의 안해룡씨 등 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VJ제작시스템을 처음 도입한 곳은Q 채널이다.
Q채널의 '아시아 리포트'는 지난 96년, 5년차 PD들로 구성돼
만든 것으로, 현재는 다큐멘타리분야에서는 아주 '기둥같은 존재'이다.(야구장속의 일본인'이 첫작품임). Q채널의 '아시아
리포트'를 시발로 아리랑 TV, YTN, 인천방송의 리얼TV'와 KBS의 '세계는 지금' 병원24시' 현장르포 제3지대' 'TV문화기행' 'SBS의 대표적인 시사프로그램인 '그것이 알고싶다.
VJ시스템으로 제작해 시청률 1위를 점유하고 있는 '출발! 모닝와이드'등이 현재 1인제작시스템으로 운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프로그램들이다.
현재 독립적으로 프로덕션을 차려 활동하는 VJ들은 그리 많지 않다. '아시아 프레스'의 안해룡씨, '푸른영상'의 김동원씨, '서울영상집단'의 홍형숙씨, '다큐인'의 박성미씨, 에센스 프로덕션의 이창재씨, 정수웅씨 등 열 손가락 안에 들 정도. 하지만 아직 실망할 단계는 아니다.
앞으로 VJ제작시스템은 소수의 인원, 저렴한 제작비용, 밀착취재, 기동성 등의 장점으로 기존 제도권 방송의 한계에 대안을 제시해주는 분수령같은 존재로
수요가 늘어나 VJ지망생들의 갈증을 풀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