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오 그래 그럼 내일 탈 퇴 한 데 모 레 탈 퇴 한 데 우리는 주식을 하기 땀 시 그게 중요한데...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3. 3. 22. 05:10


"구제금융 받아도 예금자 부담 없다"
키프로스 의회 '플랜B' 합의에 트로이카, 유동성 지원 중단 엄포서울경제|이태규기자|입력2013.03.21 18:13|수정2013.03.22 04:15




댓글17
마이피플


트위터
페이스북
더보기




툴바 메뉴폰트변경하기


폰트 크게하기
폰트 작게하기
메일로 보내기
인쇄하기
스크랩하기


고객센터 이동













"키프로스의 선택지가 줄어들고 있다. 결국 유로존에서 탈퇴할 수도 있다."(20일자 월스트리트저널)

"유럽중앙은행(ECB)이 다른 나라를 위해 키프로스를 (유로존에서) 놓아줄 준비를 하고 있다. 키프로스의 유로존 잔류 확신이 흔들리고 있다."(로이터)

키프로스가 1999년1월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출범 이래 최초로 단일 통화체계에서 탈퇴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다. 키프로스 의회가 유럽연합(EU) 등이 제안한 구제금융안(100억유로 지급 대신 예금자에 부담금 징수)을 부결한 후 예금자 부담금을 없앤 '플랜B'에 합의했지만 EU, 국제통화기금(IMF), ECB 등 이른바 트로이카가 반대의사를 밝힌 탓이다. 키프로스 은행의 생명줄을 쥐고 있는 ECB는 25일을 데드라인으로 정해놓고 EUㆍIMF와 합의가 없을시 유동성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키프로스는 유동성 지원이 끊길 경우 사실상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진다.




21일 AFP통신에 따르면 키프로스 의회는 이날 투자기금을 만들어 자금을 마련하고 예금에 일회성 부담금을 매기는 안은 삭제한 플랜B에 합의했다. 외신 보도를 종합해보면 투자기금은 연금기금을 국채로 전환해 42억유로를 조달하고 천연가스의 미래 수익을 담보로 채권을 발행해 최대 20억유로를 조달할 것으로 보인다. 아울러 문제가 된 키프로스은행과 파퓰러은행의 부실 자산은 배드뱅크로 보내고 건전한 자산은 러시아의 VTB뱅크에 파는 것도 논의하고 있다.

하지만 예금자 부담금이 있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는 트로이카는 반대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소식통들을 인용, "트로이카는 플랜B가 결국 또 다른 부채가 돼 국가 부채를 더 늘릴 것이라며 반대하고 있다"고 전했다. 트로이카는 은행 개편 방안에도 "누가 자산 건전화 자금을 댈 것이냐"며 반대하고 있고 VTB 또한 20일 "매입 계획 없다"고 발을 뺀 상황이다.

이에 유력 외신을 중심으로 키프로스의 유로존 탈퇴 가능성이 공공연히 제기되고 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ECB의 무제한 국채매입이 발동될 수 있으나 외부로부터의 감사와 대대적인 금융시장 개혁이 필요하므로 사실상 무용지물"이라며 "최악의 경우 유로존 탈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했다.

키프로스가 실제 유로존을 탈퇴한다면 유로존 탈퇴 1호로 기록되며 파장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키프로스의 경제규모가 작아 직접적인 타격은 크지 않겠지만 그리스나 스페인 등이 키프로스의 탈퇴 후 상황을 지켜보면서 뒤따를 수 있다. 사상 첫 유로존 탈퇴라는 오명을 꺼려하던 영국도 동참할 수 있다.

키프로스가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러시아로부터의 지원이다. 현재 러시아를 방문 중인 미할리스 사르리스 재무장관은 러시아에 50억유로를 5년 동안 갚을 테니 빌려달라고 요청한 상황이며 25억유로의 만기 상환 일정도 연장해달라고 요구했다. FT는 "러시아가 천연가스 개발권을 받는 대가로 지원을 할 수도 있겠지만 매장장소와 매장량이 불명확하다는 단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영국의 스카이뉴스도 "EU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가운데 러시아와 EU 간의 갈등도 증폭되고 있다.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는 21일 "중앙은행에 예치된 유로화의 비중을 재검토하겠다"고 밝혔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전체 지급준비금의 42%를 유로화로 보유하고 있다. 이는 세계에서 네 번째로 큰 규모다. 전날 메드베데프는 EU를 두고 "고삐 풀린 망아지처럼 행동하고 있다(Bull in a china shop)"고 직격탄을 날리기도 했다.

이태규기자 classic@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