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트라팔가르, 또다시 트럼프 승리 전망.."샤이트럼프 간과"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20. 10. 23. 18:12
사실은 샤이 트럼프가 믾아.
직장을 잃거나 실업은 아나지만 벌이 예전같지 않은 소외된 백인 노동자를 보통 말하지!
그들은 99%의 미국인이고...


윤선영 기자


■ 경제현장 오늘 '집중진단' - 조용찬 미중산업경제연구소 소장,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

미국 대선을 11일 앞두고 마지막 tv토론까지 마무리됐습니다. 한반도의 관심은 양측의 외교, 안보 기조였는데요. 세계의 관심은 미국 여론으로 향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4년 만에 또다시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까요. 마지막 TV토론과 최후의 승자에 따른 시나리오, 살펴보죠.

Q. 코로나19 대응이 가장 큰 이슈였죠. 대처에 대한 양측의 주장 뭐였습니까?

Q. 트럼프 대통령은 민주당이 발목을 잡았다고 주장했어요. 바이든 후보 측에선 경기부양책을 올렸는데 트럼프가 거부했다고 발언했고요?

Q. 세계의 최대 관심사는 TV토론의 최종 성적표 아니겠습니까. 여론의 반응은 어떻습니까? 또 6개 경합주 상황은요?

Q. 사전투표율을 보면 4년 전보다 8배 증가했다고요. 지지 정당별 사전투표 비율은 민주당 우세하다고요?

Q. 미국 대선 총 투표율도 역대 최대일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높은 투표율, 양측 후보에 유불리 전망이 궁금한데요?

Q. 트럼프 대통령이 4년 전에도 여론조사 부진 뒤집기에 성공했습니다. '샤이 트럼프', 이번엔 제대로 반영됐을까요?

Q. 트라팔가르 그룹이 4년 전에 이어 유일하게 트럼프의 승리 전망했습니다. 또다시 트럼프 대통령의 승리를를 확신했는데, 근거는 '샤이 트럼프'인가요?

Q. 이번 대선은 직전 대선과 여론조사 외 공통점이 뭡니까? 대표적으로 레이스 내내 민주당의 우세인가요?

Q. 오바마 전 대통령은 4년 전에 이어 이번에도 반트럼프 유세에 선두네요. 주목할만한 언행이 있었나요? 또 이에 따른 민심과 반응 어땠습니까?

Q.'악토버 서프라이즈'도 관심입니다. 승패를 뒤집은 사례, 이전에 있었나요? 아직 10월이 끝나지 않았으니 악토버 서프라이즈도 나올 가능성이 있을까요?

Q. 우크라이나 스캔들, 바이든 후보의 차남의 돈세탁 의혹 등이 양측의 막판 뒤집기 카드로 제시되는데요.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선 이미 막판 뒤집기 카드는 소진됐다는 관측도 나와요?

Q. 한국 입장에서 볼까요. 최후의 승자가 누구일지, 여부와 그에 따른 시나리오가 있다면 뭘까요?

Q. 트럼프 대통령 재선 땐 북한에 대한 기존 노선을 유지하겠습니까? 또 톱다운 방식은 유효할까요?

Q. 방위비 협상 관련해서는 바이든 후보가 트럼프의 동맹 압박 정책에 비판을 지속했죠? 한미 관점에선 이 비판, 어떻게 보십니까?

Q. 폼페이오 국무부 장관과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가까운 시일 내에 외교장관 회담을 가질 계획이라고요. 만약 바이든 후보가 당선 땐 계획이 바뀔 수도 있을까요?

Q. 시진핑 주석 입장에선 '트럼프 대통령도 싫지만, 바이든 후보는 더 껄끄럽다'는 한 언론사의 평도 있었어요.어떻게 보십니까?

Q. 세 번째 시나리오와 남은 변수 짚어볼까요. 트럼프가 대선결과에 불복할 가능성까지 내비쳤죠. 법정 투쟁을 하겠다는 뜻까지 시사했어요?

Q. 이 전략의 핵심이 뭡니까? 격전지의 개표 결과 교묘하게 회피한 건가요? 차기 대통령 취임일까지 관련 분쟁 지속되겠습니까?

Q. 미국만 대혼란인가요. 차기 리더십이 결정되지 않으면 한반도를 비롯 세계 외교안보경제는 패닉에 이를 수도 있지 않습니까?

Q. 렘데시비르가 미국 FDA에서 정식 사용이 승인됐습니다. 선거 직전 백신 개발이 발표되면 트럼프 대통령이 역전 가능할까요?

Q. 미국 대선 이후 선거 결과가 한반도를 비롯 세계 경제와 자산시장에 미칠 영향도 관심입니다?

Q. 미국 성장률과 GDP, 선거 이후 어떻게 변화하겠습니까? 최상의 시나리오는 민주당 압승인가요?

Q.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은 가능성은요? 미국의 4분기 성장률, '스테로이드성 회복'으로 추후 경기 회복이 둔화될 가능성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Q. 4분기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국은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0개 경제지표 중 7개가 회복됐다고 주장하는데요. 동의하십니까?

Q. 홍 부총리는 3분기 성장률 플러스 전환을 예상했습니다. V자 반등으로 봐야 할까요? 볼 수 없는 이유는요?

Q. 문재인 대통령이 내수 회복에 총력 주문했습니다. 4분기 경제회복 핵심과제는 고용회복과 내수회복인데요.어떻게 전망하십니까?

Q. 다행히 수출도 회복 조짐이라고요. 코로나19 장기화, 요동치는 세계 경제 속 한국경제의 미래는 어떨까요?

Q. 우리 기업의 선방 언제까지 지속될지 관심입니다. 선전이 예상되는 주력 산업 분야는 어디인가요?

Q. 화웨이 제재로 인한 반사이익도 있죠. 깜짝실적 삼성전자와 인텔 낸드를 인수할 sk하이닉스의 선방, 지속되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