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중, 아람코도 뺏겨놓고서... 도쿄 금융허브 부상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20. 6. 23. 09:38

"도쿄를 금융허브로"..홍콩 흔들리자 기회 엿보는 日
이것만 해도, 올해는 풍년!

'도쿄 금융허브' 추진 위해 인센티브 방안 논의중
중국이 논란의 홍콩 국가보안법 제정을 예고한 가운데, 일본이 홍콩의 아시아 금융허브 지위를 가져오려는 움직임이 구체화되고 있다. 지난 11일 아베 신조 총리의 발언 이후 추가 소식이 이어진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1일 관계자들을 인용해 일본이 홍콩의 대체지를 찾으려는 글로벌 금융사를 도쿄로 유인할 방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일본의 한 관계자는 FT에, 일본정부가 지난 몇십 년간 도쿄를 금융허브로 만들려고 노력했는데 이번에는 '이전보다 더' 노력한다고 말했다. 홍콩의 불안한 상황을 기회로 보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보도에 따르면 일본 금융청, 외무성, 경제산업성, 도쿄도 등이 이번주 내 결론을 목표로 여러 인센티브안을 논의 중이고, 최근 관계자들이 홍콩 내 자금운용사를 대상으로 얘기 나누기도 했다.

탈 홍콩 금융사 및 금융인에 대한 인센티브 방안으로는 비자 면제, 고정 거주지 예외규정, 사무실 무료 대여 등이 언급됐다.

가타야마 사츠키 자민당 의원은 FT에 "홍콩보다 일본의 소득세가 매우 높다"면서 세금이 문제라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 11일 도쿄의 금융허브화 문제를 공식적으로 언급한 사람이다. 당시 참의원 예산위원회에서 가타야마 의원은 아베 총리에게 "홍콩(을 떠나려는) 금융인력을 일본이 받아들이는 것도 대안이 아닐까?"라고 물었고, 아베 총리는 긍정 답변을 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하루 뒤인 12일 자민당 경제성장전략본부가 '도쿄의 금융기능 강화 전략'을 논의했다고 보도했고, 당은 다음달 일본정부가 경제개혁 기본방침을 정하기에 앞서 논의를 정리해 금융규제 완화 등을 제안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중국이 홍콩보안법을 직접 만들기로 하면서 일국양제(1국가 2체제) 원칙 위반이라는 홍콩인들과 국제사회의 비판이 잇따르고 있다. 일본도 여기 동참했다.

지난해 송환법 문제로 촉발된 시위에 추가로 정치적인 문제가 생기자, 최근 홍콩 금융가에선 사무실 공실률이 2009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이탈 조짐이 보이고 있다. 아시아권 내 헤지펀드 운용자산 규모로 보면 싱가포르, 호주, 일본이 2~4위지만, 홍콩은 이들을 합친 것보다 큰 금융허브 역할을 해오고 있다.

김주동 기자 news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