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홍콩 부유층, 불안감에 해외로 자산 옮긴다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9. 7. 16. 08:48

이게 바로 긁어 부스럼이군요

가만히 있었으면 중간이라도 가지

ㅉㅉㅉ

 

윤재준 기자입력

 

홍콩 정부가 대규모 시위를 촉발시킨 범죄인 인도법(송환법)을 추진하지 않겠다고 밝혔지만 부유층들은 자산을 싱가포르로 옮기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통신은 15일(현지시간) 홍콩 현지 프라이빗뱅킹(PB) 관계자들을 인용해 지난달 송환법 반대 시위가 촉발된 이후 자산 해외 이전 문의는 평소보다 4배나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대책이 이미 세워져있는 '슈퍼리치'로 불리는 갑부들보다 자산 1000만~2000만달러(약 236억원)를 보유하고 있는 부유층들의 문의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한 홍콩 PB의 최고경영자(CEO)는 자사 고객들이 자산을 해외로 이전하고 있지는 않지만 상황이 악화될 경우에 대비해 해외에 계좌를 개설하는 등 준비하고 있다며 홍콩 정부의 송환법 폐기 발표에도 관심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외 계좌 개설은 글로벌 금융 위기를 계기로 엄격해져 과거보다 길어진 3주에서 6주 걸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부유층들의 자산 해외 이전 움직임에 가장 반사 이익을 보고 있는 곳은 싱가포르다. 2조4000억달러 규모인 현지 자산운용업계는 정치적인 안정과 언어의 편리성, 중국과의 항로로 중화 자본들이 선호하는 도시다. 싱가포르의 한 웰스매니저는 최근 수주동안 홍콩에서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처럼 투자자들이 홍콩 대신 싱가포르로 눈을 돌리고 있는 가운데 싱가포르통화당국(MAS)은 홍콩의 시위에 따른 이익을 보고 있다는 인상을 주지않기 위해 자국 금융업계에 신중한 행동을 당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캐리 람 행정장관이 송환법이 '죽었다'라고 밝혔는데도 불구하고 시위는 홍콩 시내를 벗어나 외곽 지역으로 확산되는 등 수그러지들지 않아 지난 14일 40명이 경찰에 구속되고 22명이 다쳤다.

 

송환법 반대 시위를 계기로 홍콩의 투자자들까지 중국과는 다른 홍콩의 사법제도가 퇴색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2017년 홍콩 시내 특급호텔에서 중국 요원들에게 연행됐던 중국의 갑부 샤오 젠화의 행방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블룸버그는 홍콩의 혼란과 이에 따른 부유층들의 자산 해외이전은 매우 정치적으로도 민감한 문제여서 취재에 응한 PB 임원들 대부분이 익명을 요구했다고 전했다.

 

홍콩 종룬로펌 파트너 클리퍼드 응은 홍콩 시위를 계기로 일국양제가 끝나는 2047년에 벌써 대비하는 고객들도 생겨나고 있다고 밝혔다. 말레이시아 트러스트컴퍼니 포트컬리스그룹 회장 데이비드 총은 홍콩 시위를 계기로 자산 2억달러가 넘는 부유층들이 설립하는 자산운용사인 '패밀리 오피스' 상당수가 싱가포르 이전을 계획하고 있다고 말했다.

 

jjyoon@fnnews.com 윤재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