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근혜노믹스, 수혜 업종은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2. 12. 20. 13:23

머니투데이|송선옥 기자|2012.12.20 11:40


[머니투데이 송선옥기자]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가 당선되면서 증시는 수혜업종 찾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증권업계는 박 후보의 당선으로 우선 정권말기 정책 공백에 대한 불확실성이 완화되었다는 평가다.

소득 불균형 및 분배 문제 개선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높은 만큼 이에 대한 이행 노력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박 후보의 당선으로 높은 강도의 개혁과 규제보다는 점진적이고 완화된 방향의 개혁이 진행될 것이란 전망이 대다수다.

◇경기부양과 건설업= 장화탁 동부증권 연구원은 내년 1분기까지 추경과 관련된 부분에 주목할 것을 주문했다. 박 당선자의 경우 추경과 관련해서는 유보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하지만 '국민행복 10대 공약'에서 중산층 70% 재건 프로젝트와 맞물린 약속의 상당부분은 경기부양 속에서만 실천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추경이 진행된다면 내수부진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건설경기 활성화방안과 맞물려 진행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건설업종은 이날 오전 11시28분 현재 2.61% 상승하며 업종별로 가장 높은 오름세를 연출하고 있다. 현대건설이 3%대 상승세이며 동아지질 대우건설 대림산업 등 오름세다.

건설업종과 관련한 박 당선자의 주요 공약은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등 대규모 건설투자 △취득세 감면 혜택기간 연장 △분양가 상한제 폐지 △20만호 행복주택 프로젝트 △전월세 상한제 등으로 요약된다.

조주형 교보증권 연구원은 "박 당선자의 공약이 국내 토목 발주 시장과 아파트 분양시황에 획기적인 개선을 기대할 정도는 아니나 현재보다 발주 물량이 증가하고 아파트 가격 안정을 통해 추가적인 분양시장 침체는 막아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선거보다는 글로벌 리스크= 건설업종 뿐만 아니라 IT(정보기술) 및 소프트웨어 관련 업종, 복지관련 내수주 및 바이오 제약업종 등도 대선 이후 수혜가 기대되는 업종이다.

탈원전에 대한 의지도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유틸리티 업종에 대한 우려는 다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소상공인 영업활성화 지원 정책으로 유통업의 규제 리스크는 지속될 전망이다. 한편으로는 경기개선을 위해 소비 진작에 나서야 하는 만큼 오히려 유통업종이 소비진작 수혜를 받을 수 있다는 엇갈린 분석도 나온다.

유익선 우리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박 당선자의 정책 우선순위가 경기부양보다 경제 민주화, 친서민, 양극화 해소 등 구조적 문제해결에 집중되고 있어 정책 기대감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면서도 "글로벌 경기가 뚜렷한 방향성을 보이지 못하는 현 상황에서 추후 내수 부양 정책이 현재 공약보다 보강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