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2012년 11월 12일 오전 11:21

김지현회계법률번역 2012. 11. 12. 11:21

참 큰일입니다 -_-
인구 고령화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우리나라도 미국처럼 적극적으로 이민정책을 실시해야될 것 같아요.
다문화 가족이 여성이 젊기 때문에 대체로 아이도 둘 이상씩 낳고, 열심히 삽니다.
특히, 중국의 경기 둔화시 한류를 동경하며 오는 많은 중국인 유학생들 그리고 이민희망자들을 적극 받아들여야될 것 같아요.
그들이 한국 경제를 짊어질지도 모릅니다.
화교의 천국을 만들자는 것이 아니라, 다문화 가족이 한국에서도 충분한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수있어야, 한국 경제의 미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인구가 부족한데, 무슨 성장이 있겠어요.
마치 아무리 드넓은 땅이 있어도, 농사지을 사람이 없으면, 황무지나 마찬가지인 것이죠.


OECD "한국, 2031-2060년 성장률 1%로 추락"<세계파이낸스>
입력 2012.11.12 08:04:55, 수정 2012.11.12 08:08:06
우리나라의 경제성장이 점진적으로 둔화, 2031년부터 2060년까지의 평균 성장률이 1%에 그칠 것으로 전망됐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9일(현지시간) 발표한 '2060년까지의 장기 세계 경제전망 보고서'를 통해 구매력평가(PPP)를 기준으로 한국의 평균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2030년까지는 2.7%를 유지하겠지만 2031년부터 30년간은 1.0%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2031-2060년 성장률 전망치 1%는 42개 OECD 회원국 가운데 룩셈부르크(0.6%)를 제외하고 독일·폴란드와 함께 최하위에 속한다.

한국의 2011-2060년 평균 성장률은 1.6%를 기록, 42개 회원국 중 35위로 떨어질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이러한 성장률 둔화의 주된 이유는 우리나라가 OECD 국가들 가운데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생산가능 인구가 감소할 것이기 때문이라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OECD는 현재의 글로벌 경제위기가 극복되고 나면 세계경제는 향후 50년간 연평균 3% 정도 성장하겠지만, 경제성장률은 지역별·국가별로 큰 편차를 보일 것이며 신흥국의 성장도 결국에는 둔화돼 OECD 회원국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2025년에는 중국과 인도의 GDP 규모가 G7(주요 7개국)을 넘어설 것이며, 2060년에는 OECD 회원국 전체 규모를 초과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현재의 경기 사이클이 지나면 글로벌 경상수지 불균형이 다시 증가, 2030년에는 경제위기 이전의 최고점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과감한 정책변화가 없을 경우 글로벌 불균형이 증가하면서 경제성장을 저해할 것이며 많은 OECD 국가들이 과도한 정부부채 때문에 금리와 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세계파이낸스 뉴스팀 fn@segyef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