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MO 표시 법안' 시행 앞두고 식품법계 혼란
머니투데이 | 최광 기자 | 2016.03.21 09:39
[머니투데이 최광 기자] [유지하자니 소비자 압박 우려…제거하자니 가격인상 불가피]
GMO 라벨이 붙어있는 식품 /사진=블룸버그
미국 식품업계는 오는 7월부터 버몬트 주에 판매하는 모든 식품에 유전자변형식품(GMO) 성분 라벨을 부착해야 하는 법안에 따라 큰 혼란을 겪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까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식품 업계에서 버몬트 주는 큰 시장은 아니지만, 공급 사슬의 측면에서는 더 큰 효과를 지니고 있다. 제너럴밀은 버몬트의 62만6000명의 명의 사람들을 위해 별도로 라벨링을 달리하는 독립적인 공급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너무 큰 비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일부 기업은 라벨이 소비자를 놀라게 할 수 있는 '주홍글씨'로 작용할 것이라며 모든 재료를 교체할 것이라고 전했다.
유기농 식품 업체인 프리덤푸드도 GMO 사용은 하지 않지만, 법률준수 우려로 인해 버몬트에서 판매를 연기하기로 했다.
다른 기업들도 특별한 라벨 사용에 혼란을 느끼고 있다.
버몬트 주에서는 달걀이나 고기와 같은 식품은 비 GMO 인증을 받으면 GMO 라벨이 면제 된다. 또 성분 중 어느 것도 유전자 변형이 없거나, GMO 성분이 전체의 0.9% 미만일 경우에도 면제를 받는다.
미국에서 옥수수와 콩류의 90% 이상이 GMO 식품인 상황이다. 일부 가공식품에서도 GMO 고기가 사용된다. 이 중에서 제품 무게의 1%를 차지하는 기준이 명확지 않아 혼란이 가중되는 것.
일부 식품 기업은 GMO 표시 대신 제거를 결정했지만 가격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유니레버의 자회사인 벤&제리 홈메이드는 주 법이 통과되기 전 소비자 압력에 대응해 아이스크림에서 GMO를 제거하기로 했다. 단지 쿠키 반죽과 카라멜과 같은 재료에서 GMO를 제거하는 데만 3년이 소요됐으며, 제품 가격은 평균 11% 상승했다.
최광 기자 hollim324@mt.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