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 기자
우동명 기자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 결과에 환호했던 뉴욕증시는 하루만에 큰 폭으로 하락했다. 금리가 발목을 잡았다.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의 완화적 발언도 인플레이션 공포를 달래기엔 역부족이었다. 두드러지는 경기 회복 신호도 금리 급등을 부추겼다.
그러나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최근 금리 상승이 유동성 회수가 아닌, 경기회복 신호라며 증시 방향성은 명확해졌다고 강조했다. 실적 가시성이 높은 경기 민감 가치주에 집중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53.07포인트(0.46%) 떨어진 3만2862.30을 기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58.66포인트(1.48%) 내린 3915.4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409.03포인트(3.02%) 급락한 1만3116.17에 거래를 마쳤다.
금리 급등이 증시에 충격을 줬다. 이날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1.75%를 넘기는 등 급등했다. 증시 마감까지 1.7%를 웃돌았다. 30년 만기 국채 금리도 2.5%로 2019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전날 파월 의장의 발언도 널뛰는 금리를 잡지 못했다. 파월 의장은 경기 회복이 가시화 되기 전까지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약속했다. 그러나 장기채 금리 급등에 대한 별도의 조치가 없어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까지 종식시키지 못했다.
가파른 경기 회복 속도로 인플레이션 상승 전망을 뒷받침했다. 필라델피아 지역의 3월 제조업 지수는 51.8로 전월대비 28.7포인트 급등했다. 시장 예상치인 23.3를 크게 웃돌았다.
금리 부담이 높아지면서 기술주에 대한 하방 압력이 커졌다. 테슬라는 6.9%, 넷플릭스는 3.8%, 애플은 3.4% 급락했다. 반면 금리 상승 수혜주인 JP모건(1.7%), 웰스파고(2.5%) 등은 상승했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오히려 주식 시장의 방향성은 명확해졌다고 설명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투자전략팀장은 "코스피를 비롯한 글로벌 증시의 방향성은 더욱 명확해졌다"며 "금리 상승을 압도하는 경제성장률, 기업이익 모멘텀에 근거한 상승추세를 재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향후 경제성장과 기업이익 개선을 주도하는 업종들이 상승 추세를 이끌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 팀장은 "2020년 이미 역사적 최대 이익을 넘어선 인터넷, 2차전지 업종과 2021~2022년 사이 최대 이익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는 반도체, 자동차 업종에 대한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서정훈 삼성증권 연구원은 "최근 금리 상승은 중앙은행의 유동성 회수 우려가 아닌 경기회복 신호를 더욱 강하게 반영하고 있다"며 "실적 가시성이 높고 밸류 부담이 낮은 경기 민감 가치주에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태현 기자 thkim124@mt.co.kr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월 FRB의장 "미국 경제 회복, 아직 멀어 계속 부양책 쓸 것" (0) | 2021.03.23 |
---|---|
BMO "넷플릭스 최선호주..기술주 매도에도 FANG 종목 선호" (0) | 2021.03.22 |
2023년까지 제로금리 유지 연준에 다우, 3만3,000 첫 돌파 (0) | 2021.03.18 |
유럽, 미얀마 군부 추가 제재.."미얀마에 돈줄 끊는다" (0) | 2021.03.17 |
뉴욕 제조업지수 2년4개월래 최고..'V자 반등' 힘 실린다 (0) | 2021.03.16 |